하모니 게시판
의존성 환경을 맞춰준다는건 무슨 의미인가요
2021.02.21 22:46
의존성이 뭔지는 알겠는데 ㅋㅋ
자꾸 질문해서 미안합니다...
자꾸 질문해서 미안합니다...
댓글 3
-
마이쮸가이
2021.02.22 01:04
-
Moordev
2021.02.22 08:50
쉽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윈도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깔면 .Net framework나 DirectX, Visual C++ Runtime 같은것을 설치해야한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그 프로그램은 Visual C++ Runtime에 의존이 있다 이런 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게 일종의 의존성이에요. 특정 프로그램은 이것들이 같이 있어야 돌아간다는 것이지요.
다만 의존성을 맞출때 리눅스는 이걸 저장소에서 긁어오는 것이고 윈도는 윈도업데이트에서 가져온다 정도의 차이 입니다. 그리고 이게 수동이기도 하고 자동이기도 합니다. -
K-Lint.net
2021.02.23 23:01
와.. 설명을 정말 쉽게 한방에 이해가 되게 잘하시네요!
저도 호기심 많은 일반사용자라.... 100프로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서 설명이 조심스럽습니만
보통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파일들이 존재를 합니다. 이를 프로그램이 해당 파일들에 의존성을 가진다 이야기하는데
이를 기준으로 의존성 환경이라고 대충 불리우는 것은 프로그램 실행시에 필요한 파일들이 운영체제가 설치될 때 같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 할 것 같습니다.
고로 의존성 환경이 좋지 않다는 말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필요한 파일들을 일일이 찾아 설치를 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런 부분은 리눅스 초보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라, 구글 검색으로 해당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서 대응을 해야하는데, 대부분 영어로 작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애로사항이 꽃이 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