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04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글쓰는 것은 오랜만이네요.

리눅스에 대해 생각하면서 생각났는데, 하모니카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하모니카가 리눅스 민트를 어떻게 수정을 했으며 어떻게 하면 소스코드 컨드리뷰트에 참여할 수 있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하모니카의 개발 참여가 많이 독려가 되어 개발자들의 관심으로 계속 비전공자와 전공자등의 다분야의 사람이 토론하여 창의적인 기술 개발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한글 사용문제는 물론 하모니카는 한국 리눅스의 입지를 확실히 다져나갈 것입니다.

우선 이런 것이 가능하게 되려면 친절한 개발 참여 설명이 필요할 것입니다. 하모니카에 개발자 코너가 생겨서 하모니카 기술에 대해 토론하는 커뮤니티가 생기고 개발 참여 과정을 한글로 잘 설명하고 소스코드에 대해서도 잘 문서를 만들어서 설명해서 참여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유의미 하려면 리눅스 민트 저장소와 연동이 되야됩니다. 하모니카의 문제점 중 하나가 한글 패치 소스가 리눅스 민트 공식 소스와 연동이 되지 않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리눅스 민트가 버젼업을 하면 저희들의 노력은 무의미해집니다. 그러므로 공식 리눅스 민트 저장소에서 참여를 할 수 있게 되고 그 위에 하모니카의 자체적 기술이 개발되어야 합니다.

이런 것이 되야 되는 이유는 하모니카를 국가적 오픈소스 독려 프로그램으로 활용해서 많은 사람들이 오픈소스에 대해 시도해 보면서 자신이 쓸 운영체제에 대해 의견을 내고 조율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는 시도를 우리나라가 해보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성공적이게 되면 코딩에 대해서는 우리나라가 선진적 문화를 갖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Playing 2016.12.31 20:58

    글 잘 봤습니다

    그런 점이 있군요


    무언가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럴려면 토론하면서 생각을 조율하는 자리가 절실한거 같네요


  1.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한국형 리눅스에 대한 재정의가 이뤄져야할 때...

  3. 한국형 ○○○ 추진했다가 실패한 정책들

  4. 한국어 설정이 완료된 LinuxMint 18.2 Sonya를 배포합니다.

  5. 한가지 여쭤보려구요..

  6.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무조건 최신 기술이 좋은게 아닌가요?

  7. 한/영 전환 관련

  8. 한/영 키 전환 .....문제

  9.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10. 하모니커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11. 하모니카후원사이트는 없나요? + 게시판 검색기능 수정요청드려요.

  12. 하모니카의 소스코드 공개를 요청합니다

  13. 하모니카의 생명은 이어지고 있을까?

  14. 하모니카의 새로운 버전이 나왔습니다! HamoniKR-ME

  15. 하모니카의 nimf 다국어 입력기능 추가 요청드려요

  16. 하모니카에서는 오라클 버전 몇까지가 설치가 되나요?

  17. 하모니카에서 한글문서 편집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18. 하모니카에서 팬속도 '쉽게' 조절하는 법을 알려주십시요.

  19. 하모니카에서 클립보드 매니저 사용하기

  20. 하모니카에서 커서 테마는 어떻게 바꾸나요?

  21. 하모니카에서 적용해볼만한 PPA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