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57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저꼐 노트북에 

윈도우 mbr방식으로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대충하고

하모니카 태백을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제 윈도우가 mbr방식인데 태백 설치가이드에는 부트로더를

efi에 설치하라고 명시되어있는데

 

제가 설치할 당시 물리적 하드2개라  sda0 자료저장용 하드

sda1 윈도우 깔려있는 ssd 256 기가인데 65G 파티션 분리해놓은 상황에서

햇갈려서 재확인도 안하고 그냥 부트로더 설치할장소를 

sda1에 설치하면 되겠지 해서 그냥 경고창 무시하고 다 예스 눌렀습니다..

그뒤에 처음에 윈도우로고가 뜨길래 설치가 잘못된거 같아 시스템리커버리 버튼누르니까

태백으로 전환되길래 와.. 성공이다 하고 부팅usb뽑고 전원빼고 재 실행 하니까

태백만 켜지고.. 윈도우가 안들어가집니다..

 

당황해서 일단 확인해보니까 윈도우가 안보여서 

나중에 윈도우 설치 파티션이 살아있는지

윈도우 설치 usb cmd로 확인해보니까 

따로 디스크 선택 안하고

두 명령어 실행해보니까 

boot rec / fixmbr 동작함 , /fixboot 못찾는다고 나오고.. 

윈도우 파티션은 있는데 mbr gpt표식이 없어서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w857lcwa.png

위 이미지는 예시인데

 

디스크 0 같은 상태입니다. 

디스크 1은 제가 gpt로 구웠는지 

gpt로 띄워주길래 당시에는 당황에서 체크 못하고

 

현재는 그냥 봉인상태입니다... 

 

긴글읽어주셔셔 감사드리고 

혹시 복구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윈도우에 학교문서등 프로그램 자료들이 있어서 왠만하면 포맷 안하고 싶습니다..

 

 

  • ?
    JamesBae 2023.03.16 10:56

    안녕하세요 JamesBae 입니다.

     

    우선 윈도우 부팅으로 돌리기 위한 방법 한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dev/nvme0n1p1 efi 파티션을 기억해두세요

     

    1. 라이브 USB로 하모니카를 부팅합니다.

    2. Ctrl + Alt + T 버튼을 이용해 터미널을 열고 mkdir mnt 를 입력합니다. (마운트할 폴더 생성)

    3. sudo mount /dev/nvme0n1p1 마운트합니다.

    4. cd mnt 이동합니다.

    5. sudo nemo . 을 입력하시면 파일관리자가 떠서 좀 더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뛰어쓰기와 . 까지 입력해야합니다)

    6. EFI 폴더에 들어갑니다.

    7. ubuntu 라는 폴더가 존재하는데 이 파일을 통째로 복사해 둡니다 (다른 usb를 준비하거나 보관을 해두세요 - 문제가 생겼을시 다시 복구해야함)

    8. ubuntu 라는 폴더를 통쨰로 지웁니다.

    9. 다시 재부팅해서 윈도우 부팅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10.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다시 live 부팅을 해서 마운트를 하고 보관해 두었던 파일을 다시 원상복구 하시면 됩니다.

     

    해당 방법은 EFI에 기록되어 있는 부트로더를 지우는 방법입니다.

    남은공간에 설치되었던 리눅스는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따로 제거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1 <질문> wine에서 한글 출력이 되지 않을 때. 4 file 0 만화가엄두 2021.11.03 1196
1890 <질문> 리눅스에서 윈도우 msconfig 파일을 열 수 있을까요? 1 0 만화가엄두 2020.09.05 898
1889 <질문> 카카오톡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라며 실행되지 않습니다. 2 0 만화가엄두 2022.09.02 1375
1888 <질문> 하모니카 5.0 업데이트 도중 문제가 생겼는데요... 7 0 만화가엄두 2022.01.26 794
1887 <질문>사지방에서 wireshark를 사용해도 될까요? 2 0 saroro 2020.09.30 956
1886 <질문과 잡담> 하모니카 5.0으로 업글시, 이전의 어플이나 설정은 그대로 남겨지나요? 2 0 만화가엄두 2022.01.24 694
1885 "2차 인증을 도입했다"는 것이 아니라 기술 및 보안성 등 "어떤 2차 인증을 도입했느냐"가 관건 file 0 BaroPAM 2023.03.31 1301
1884 "AI가 날 자르라고 지목했다" 구글서 잘린 직원들 폭로에 대해 1 0 나나슈 2023.03.01 802
1883 "공인인증서 20년만에 폐지"…전자서명법 개정안 입법예고 2 0 행복한펭귄 2018.03.29 771
1882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다"는 것이 아니라 기술 및 보안성 등 "어떤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느냐"가 관건 file 0 BaroPAM 2023.07.05 1317
1881 "리눅스올킬" 이라는 리눅스 Q&A 및 커뮤니티 모음앱 공유~ 3 file 0 하늘땅별땅 2021.05.01 1687
1880 'ISS 안착' 머스크의 첫 유인우주선, 어떤 SW 사용했나 0 taiyin 2020.06.08 697
1879 '네이버톡' 이라는 '오픈채팅' 서비스가 있네요~ 0 말없는벌새 2023.08.14 678
1878 '자동 로그인' 설정으로 인한 해킹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책은? file 0 BaroPAM 2024.02.20 181
1877 (건의) 한글 입력기 KIME 하모니카에 적용 31 0 행복한펭귄 2021.02.16 1917
1876 (초보)하모니카 설치에서 계속 오류 떠요 도와주세요ㅠ 4 file 0 도와주세요제발 2021.04.27 1644
1875 (해결) 4k 모니터에서 해상도 설정이 잘 안 됩니다 3 file 0 재롱이 2020.11.28 2705
1874 (해결좀 해주세요 ㅠ)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해서 xorg 세션으로 로그인 하면 접속한 pc화면과 다른 화면이 나옵니다. 4 0 뚜두두둔 2020.02.10 1320
1873 1 0 blacklink 2023.01.18 610
1872 1 카카오톡설치후 로그인은 안되네요. 2 euc-kr? 2 0 자유의지 2020.01.18 12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