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812
어제:
3,175
전체:
4,701,561

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만날 질문만 뿌려대고 있어서 대단히 죄송합니다.ㅠㅠ 

한글 입력기 nimf에서 카카오톡 문장부호가 마지막 글자 앞에 찍히는 문제 때문에, 

kime로 갈아탔습니다. 

입력기를 바꾸자마자 문장부호 문제는 해결이 되었는데요. 

문제는 그러고 나니까 megasync 앱이 실행이 안 됩니다. 

nimf로 바꾸고 부팅하면 올라오고, kime로 바꾸고 부팅하면 안 올라와요.ㅠㅠ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도 알 수가 없는 컴알못이라..ㅠㅠ 

혹시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ㅠㅠ

nimf에서 문장부호 문제를 해결해 주면 참 좋겠습니다.ㅠㅠ

  • profile
    ChatGPT 2025.07.11 22:05
    안녕하세요! 하모니카OS에서 한글 입력기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제안드리겠습니다.

    1. 입력기와 관련된 설정 확인: KIME 입력기를 사용할 때 메가싱크가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충돌이나 설정 문제일 수 있습니다. 설정에서 KIME 관련 환경 변수나 설정을 재조정해보세요.

    우선, KIME 입력기를 사용 중일 때 다음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KIME 입력기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해보세요.

    kime &

    이 명령어로 KIME를 수동으로 실행하면서 오류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입력기 전환 시 스크립트 사용: 입력기를 전환할 때, 특정 스크립트를 통해 메가싱크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IME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해보세요.

    #!/bin/bash
    kime &
    megasync &


    이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두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저장 후 실행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3. nimf를 복원하는 방법: 만약 nimf에서 문장부호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nimf의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업데이트 버전을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nimf는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니 설정을 확인해보세요. nimf의 공식 문서로 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모니카 매뉴얼](https://docs.hamonikr.org/).

    4. 커뮤니티에 질문하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하모니카 커뮤니티 게시판에 방문하여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는 사용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링크를 통해 관련 정보를 찾아보세요: [하모니카 커뮤니티 질의응답](https://hamonikr.org/hamoni_board).

    혹시 더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메가싱크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로그 파일이나 오류 메시지를 제공해주시면 추가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답변은 AI 기반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제공된 정보를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로 요청하세요. 답변을 여전히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profile
    context 2025.07.11 22:47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입력기와 관련된 환경 변수 설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kime가 어떤 방식으로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지 확인하고, Megasync 실행 시 문제가 되지 않도록 조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Megasync을 터미널에서 실행하여 오류 메시지 확인:
    kime로 설정된 상태에서 터미널을 열고 megasync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해 보세요. 어떤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면 문제 해결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QT_QPA_PLATFORMTHEME 또는 XDG_CURRENT_DESKTOP 등과 관련된 메시지가 있는지 주목하세요.

    환경 변수 수동 설정 시도:
    Megasync이 실행되지 않을 때, 특정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QT_IM_MODULE 이나 GTK_IM_MODULE 같은 변수가 입력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습니다.

    Bash

    env QT_IM_MODULE=xim megasync
    env GTK_IM_MODULE=xim megasync
    또는 다른 입력기 관련 환경 변수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변수는 kime의 설정이나 다른 입력기 설정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한개교 2025.07.12 09:31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건 참고하겠습니다. 요상한 일이 생겨서요.^^;
    제가 하모니카 설정에서 입력기를 kime로 둔 상태에서, im-config를 통해 nimf로 바꾸고 재부팅을 했는데요. 인디케이터에 nimf와 kime가 동시에 올라왔습니다.-_-; 그리고는 메가싱크가 올라왔고요. 한영키를 누르면 nimf 인디케이터가 바뀌는 걸 보면, 입력기는 nimf가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문장부호가 끝자 앞에 찍히는 카카오톡의 오류도 방금 잠시 확인해 본 바로는 안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영문인지 통 모르겠지만, 일단 당장의 문제가 사라졌으니 이대로 사용을 해보겠습니다.^^; 사용하면서 다른 문제가 생기는지 확인해 보고, 혹 문제가 있으면 다시 도움을 청하겠습니다. 입력기 두 개가 떠 있는 게 괜찮은 건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건드리면 뭔가 또 안 될까 봐 겁이 나서 그냥 둬 보겠습니다.ㅠㅠ 혹 다른 문제가 생기면 그때 말씀해 주신 대로 시도를 해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귀한 도움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한개교 2025.07.12 10:31
    음.. 일단 터미널에서 megasync를 실행해 봤습니다. 오류메시지가 이렇게 나왔습니다.
    megasync: symbol lookup error: /usr/lib/x86_64-linux-gnu/qt5/plugins/platforminputcontexts/libkimeplatforminputcontextplugin.so: undefined symbol: _ZdlPvm, version Qt_5
    그리고 적어주신 env QT 어쩌고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megasync가 올라옵니다.
    터미널을 닫으면 다시 죽네요.
    계속해서 적용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도와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profile
    context 2025.07.12 13:14
    echo $GTK_IM_MODULE

    echo $QT_IM_MODULE

    위 두명령을 실행하니 nimf라고 나온다면,
    megasync를 실행할 때 해당 환경 변수를 nimf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실행해 보세요:

    Bash

    env QT_IM_MODULE=nimf megasync
    env GTK_IM_MODULE=nimf megasync
    보통 이 두 명령어 중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작동하지만, 혹시 모르니 둘 다 설정해서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megasync가 nimf 입력기를 통해 한글을 입력받을 수 있을 거예요.
  • ?
    한개교 2025.07.12 14:41

    네, 감사합니다. 일단 QT 명령으로 되는데요. 문제는 터미널을 종료하면 죽어요. 터미널을 닫아도 지속될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추가. 쉘 스크립트를 작성하라고 가르쳐주신 걸까요? 처음 질문에도 쓴 것처럼 문외한이라서 말귀도 못 알아듣습니다.ㅠㅠ

  • profile
    context 2025.07.12 17:03
    터미널을 닫아도 megasync가 계속 실행되도록 하려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터미널을 닫을 때 프로세스에 SIGHUP (hangup) 시그널이 전달되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nohup은 터미널 세션이 종료될 때 프로세스에게 보내지는 SIGHUP 시그널을 무시하도록 해줍니다. &는 명령어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여 터미널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Bash 에서

    nohup env QT_IM_MODULE=nimf megasync > /dev/null 2>&1 &

    위 명령을 해주면 터미널을 꺼도 megaync가 동작됩니다.
  • ?
    한개교 2025.07.12 17:54
    주말에 바쁘실 텐데 시간을 내어 귀한 댓글을 계속 달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시 한 번 제 상황을 말씀드리면,
    1. 저는 쉘 스크립트 관련 문외한이라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혀 모릅니다. 물론 말씀해 주시는 대로 뭔가 해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입력기를 nimf로 하면 kime가 같이 실행되고, 실제 사용은 nimf인 것 같은데 nimf에서 나타나던 입력 오류 문제가 안 나타나는 형편입니다. mega는 실행됩니다.
    3. 입력기를 kime로 하면 kime만 실행되고, 그러면 nimf에서 나타나던 입력 오류는 나타나지 않는 대신 mega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4. 3의 kime 상태에서 알려주신 명령어를 넣으면 kime 상태에서도 mega가 실행됩니다. 제가 바라는 건 이 상태를 부팅할 때부터 유지하는 것입니다.
    5. bash를 입력하고, 이어서 써주신 명령어를 넣어보았는데, 재부팅을 하면 mega가 올라오지 않습니다. 시스템 시작할 때 mega가 올라오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다시 한 번 도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rofile
    context 2025.07.12 22:58
    (방법) .desktop 파일 생성 또는 수정 (고급)
    데스크탑 환경의 GUI 설정 도구는 결국 사용자의 ~/.config/autostart/ 디렉토리에 .desktop 파일을 생성합니다. 수동으로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도 있습니다.

    ~/.config/autostart/megasync.desktop 파일을 생성하거나 엽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있습니다. 꼭 동일하지는 않을 겁니다.

    [Desktop Entry]
    Type=Application
    Exec=env QT_IM_MODULE=nimf megasync
    Hidden=false
    NoDisplay=false
    X-GNOME-Autostart-enabled=true
    Name=MegaSync
    Comment=MegaSync Cloud Client
    Terminal=false
    Icon=megasync # 아이콘이 없으면 이 줄은 삭제하거나 다른 아이콘 경로로 변경

    다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래 내용을 추가해야 하는 것입니다.
    Exec=env QT_IM_MODULE=nimf megasync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PC를 재부팅해도 megasync 가 동작하게 될 것입니다.
  • ?
    한개교 2025.07.13 10:30
    오, 감사합니다.ㅠㅠ 말씀하신 대로 Exec 부분만 바꾸었더니, 기본 입력기는 kime를 사용하면서 메가싱크가 nimf를 끌고 올라오네요.ㅠ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1 Kevin 2019.11.18 351884
2668 wine으로 설치한 한컴오피스 2014 업데이트 문의 11 file 0 생강 2025.09.20 266
2667 PDF 기본 뷰어 설정 문제 3 0 생강 2025.09.20 142
2666 HDD SMART 정보, 우분투에서만 에러 출력이 나옵니다. 3 file 0 블랙커피 2025.09.13 267
2665 하모니카8.0 업데이트 오류 입니다 우분투 서버 문제일까요? 2 0 친절한우주인 2025.08.27 453
2664 하모니카 8.0 백두 일반과 라이트의 차이, 최저사양? 2 0 Luciere 2025.08.08 585
2663 아치 리눅스 설치했는데... 5 0 생강 2025.07.30 980
2662 winehq 블랙스크린. 질문입니다. 6 0 블랙커피 2025.07.18 943
2661 아래 부팅메뉴가 계속 나오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 공유 및 이슈 사항이 있는거 같습니다... 3 0 기즈모 2025.07.17 727
2660 윈도우용 프로그램 까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제발...... 5 0 박희주 2025.07.15 863
» /도와주세요/ 한글입력기와 동기화 앱 간 충돌인 것 같은데요. 10 0 한개교 2025.07.11 825
2658 윈도우에서 파이어폭스 사용할 때만 하모니카 게시판이 영문으로 나옵니다. 1 0 한개교 2025.07.05 777
2657 리브레오피스 라이터 폰트 관련 질문입니다~^^; 7 0 한개교 2025.07.05 781
2656 삼성 R530 노트북에서 Xorg가 가끔 죽는 문제 관련. 3 0 김경철 2025.07.04 832
2655 일부 와이파이7 칩셋 인식 불가 문제 관련 4 0 HJOW 2025.07.03 769
2654 grub 설정 관련해서 /etc/default/grub 이거 외 다른 설정 파일도 있을까요??? 2 0 기즈모 2025.07.01 817
2653 grub 부팅메뉴를 안보이게 하고 싶습니다...ㅠㅠ 4 file 0 기즈모 2025.06.30 862
2652 윈도우의 음성입력 기능 처름 하모니카에서도 음성입력이 가능할까요? 2 0 옥포정 2025.06.25 549
2651 우분투에서 유선 마우스가 말썽입니다. 5 0 블랙커피 2025.06.25 838
2650 군부대 사이버 지식 정보방 메가스터디 강의 재생 1 0 군수생. 2025.06.22 1008
2649 갤럭시북4 비디오 문제 2 file 0 killsystem10 2025.06.21 8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4 Next
/ 134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