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41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08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7월 10일에 리눅스 커널의 보안 취약점 CVE-2017-11472, CVE-2017-11473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로컬 사용자가 커널 메모리에서 민감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CVE-2017-11472와 로컬 사용자의 권한 상승에 관한 보안 취약점 CVE-2017-11473이며, 2개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중요도는 모두 보통(Moderate)입니다.

CVE-2017-11472 : http://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7-11472
CVE-2017-11473 : http://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7-11473


<Debian>

위 보안 취약점에 대하여 데비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데비안 9 Stretch (Stable)
 : linux 4.9.30-2+deb9u2 는 취약하며, 보안 패치가 아직 나오지 않음 <vulnerable>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 linux 3.16.43-2+deb8u2 는 취약하며, 보안 패치가 아직 나오지 않음 <vulnerable>

데비안 7 Wheezy
 : linux 3.2.89-2 는 취약하며, 보안 패치가 아직 나오지 않음 <vulnerable>


*우분투(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 포함) 사용자에게도 데비안의 발표가 중요한 이유는 우분투가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즉, 데비안에서 취약하여 보안 패치가 필요한 부분은 우분투에서도 취약하여 보안 패치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RHEL/CentOS>

위 보안 취약점에 대하여 레드햇에서는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RHEL 7.3-1611 / CentOS 7.3-1611
 : 취약한 지를 알기 위해 조사 중 <Under investigation>

RHEL 6.9 / CentOS 6.9
 : 취약한 지를 알기 위해 조사 중 <Under investigation>

RHEL 5 / CentOS 5
 : 지원종료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oss.sios.com/security/kernel-security-vulnerability-20170721
https://security-tracker.debian.org/tracker/CVE-2017-11472
https://security-tracker.debian.org/tracker/CVE-2017-11473
https://access.redhat.com/security/cve/CVE-2017-11472
https://access.redhat.com/security/cve/CVE-2017-11473

출처: http://la-nube.tistory.com/208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7007
1026 리눅스 systemd-resolved 보안 취약점 CVE-2017-9445 0 la_Nube 2017.06.30 4716
1025 리눅스 systemd 보안 취약점 CVE-2017-1000082 0 la_Nube 2017.07.09 4350
1024 리눅스 sudo 취약점 발견…"보안강화 시스템 오히려 위험" (CVE-2017-1000367) 1 0 la_Nube 2017.06.08 6618
1023 리눅스 Samba, Heimdal 보안 취약점 CVE-2017-11103 0 la_Nube 2017.07.14 4445
1022 리눅스 Samba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7494) 보안 업데이트 권고 6 0 la_Nube 2017.05.25 8594
1021 리눅스 QEMU 보안 취약점 CVE-2017-9524 2 0 la_Nube 2017.07.09 4921
1020 리눅스 PHP5, PHP7 7개 다중 보안 취약점 0 la_Nube 2017.07.11 4427
1019 리눅스 OS가 작동되면 배터리 충전이 되질 않습니다. 2 0 OS루키 2021.08.18 3143
1018 리눅스 ncurses 다중 보안 취약점 CVE-2017-11112, CVE-2017-11113 0 la_Nube 2017.07.09 4308
1017 리눅스 Libgcyrpt 보안 취약점 CVE-2017-7526, CVE-2017-9526 0 la_Nube 2017.07.04 4345
1016 리눅스 GNU C Library 보안 취약점 CVE-2017-1000366 1 0 la_Nube 2017.06.20 5512
1015 리눅스 bind9 다중 보안 취약점 CVE-2017-3142, CVE-2017-3143 0 la_Nube 2017.06.30 5040
1014 리눅스 Apache httpd 보안 취약점 CVE-2017-9788, CVE-2017-9789 0 la_Nube 2017.07.16 4289
1013 리눅스 10가지 유용한 활용법 6 0 행복한펭귄 2017.10.31 3342
1012 르누아르는 하모니카os 지원안하나요? 3 0 스크린세이버 2022.04.24 866
1011 루프 장치란 무엇인가요?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18 6058
1010 루트권한 얻는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0 스크린세이버 2023.03.09 768
1009 루트 비번 뭐에요? 4 0 금총이 2014.12.02 17162
1008 루분투와 주분투 중에서 어떤 것이 더욱 가볍습니까? 2 0 행복한펭귄 2018.04.13 5849
1007 롤링 릴리즈 대 포인트 릴리즈 5 0 행복한펭귄 2017.03.09 7979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