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130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54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CentOS 프로젝트(The CentOS Project)에서 '빨간 모자'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의 커널 소스를 가져와 개발하는 CentOS 6 리눅스 커널의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 또는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커널 2.6.32-696.23.1.el6 버전이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


이번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에서는 Intel, ARM, AMD CPU와 관련된 보안 취약점인 멜트다운(CVE-2017-5754) 및 스펙터(CVE-2017-5715, CVE-2017-5753) 취약점을 완화(경감)하는 보안 패치가 다음과 같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보안 패치는 레드햇에서도 1월 초부터 현재까지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6 // kernel-2.6.32-696.23.1.el6


* CVE-2017-5715 : Speculative execution branch target injection (s390-only)

* CVE-2017-5753 : Speculative execution bounds-check bypass (s390 and powerpc)
* CVE-2017-5754 : Speculative execution permission faults handling (powerpc-only)


※ 스펙터(Spectre) : Intel CPU의 멜트다운(Meltdown) 취약점과 함께 발견된 Intel, ARM, AMD CPU의 보안 취약점으로,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는 웹 기반 공격이 가능하다고 발표됨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Changelog 정보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영향을 받는 리눅스 커널 및 업데이트 버전]

□ CentOS 7


※ 커널 3.10 → 커널 3.10.0-693.21.1.el7 버전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


https://www.redhat.com/archives/rhsa-announce/2018-March/msg00004.html

※ 2024년 6월 30일 지원 종료 예정

--

□ CentOS 6


※ 커널 2.6.32-696.20.1.el6 및 이하 버전 → 커널 2.6.32-696.23.1.el6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access.redhat.com/errata/RHSA-2018:0512

※ 2020년 11월 30일 지원 종료 예정

--

□ CentOS 5


※ 2017년 3월 31일 지원 종료

--

배포판의 종류와 커널 버전을 알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기 바랍니다.
$ lsb_release -a && uname -a

--

그러므로 CentOS 사용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 sudo yum update

아울러 업데이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에 반드시 재부팅을 하기 바랍니다.



출처: http://la-nube.tistory.com/354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0 19:18

    센토스가 업데이트되었네요.

    센토스를 바탕으로 한 "안녕 리눅스"도 서버 운영에 관심있으신 분은 관심가져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la_Nube 2018.03.21 12:25

    안녕 리눅스 라는 것도 있었군요! ㅎㅎ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1 18:51

    안녕 리눅스 소개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85%95_%EB%A6%AC%EB%88%85%EC%8A%A4


    안녕 리눅스 공식 사이트

    https://annyung.oops.org/


    김정균님이 개발하여 배포하는 서버 전용 배포판입니다.


    현재 데스크탑 용으로는 서자룡님의 넘버원 리눅스가 서버 용으로는 김정균님의 안녕 리눅스가 양대 산맥으로 개인 사용자가 배포판을 개발, 보급하고 있습니다. 서버 용으로 SULinux도 유명한데 이는 기업 차원에서 유료 서비스로 지원하는 서버 배포판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완전하게 활성화되어 운영하는 배포판은 위에 언급한 배포판과 하모니카 리눅스와 그 녀석들(커뮤니티 배포판)이 유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 리눅슥도 실제 서버 운용에 적용한 결과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몇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만 제가 아주 전문적으로 사용해 보지 않아서 솔직히 어느 정도 최적화가 이뤄졌는지 까지는 언급 못하겠습니다. 그러나 센토스 계열을 따르면서 한국 실정에 맞게 최적화된 배포판으로 알려져 있고, 서버 운영에 전혀 차질이 없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Moordev 2018.03.21 00:08
    센트가 서버용이라 그런지 2.6.32를 아직 쓰네요. 우분투 10.04가 2.6.35였던거 같은데 2.6커널을 정말 오랜만에 봅니다.

    역시 레드햇이라 그런지 지원기간을 정말 길게해주는군요.
  • ?
    la_Nube 2018.03.21 12:24

    CentOS 6은 2.6.32를 아직 쓰고 있고, CentOS 7은 3.10으로 올라왔죠 ㅎㅎ

    레드햇 센토스 계열은 약 10년 간 지원해주죠. 꽤나 깁니다 ㅎㅎ

    물론 새 버전이 나오는 주기도 약 3-4년 정도이니 ㅋㅋㅋ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1 18:54

    센토스 계열은 지원 기간이 길고 SULinux 같은 경우도 커널이 아직도 2대와 3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SULinux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안에 최적화된 국내 환경에 가장 적합한 서버 배포판을 지향하는 서버 배포판 SULinux는 아직도 커널 2대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ㅋㅋ


    수 리눅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ulinux.net/web/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2380 태블릿 분리형 노트북에도 하모니카 설치가 가능한가요? 3 file 0 하모태백 2023.12.16 456
2379 하모니카에서 (EBSi를 제외한) 인터넷 강의를 들을 수는 없을까요? 4 0 제이산화구리 2023.12.15 872
2378 하모니카 리눅스가 터치스크린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나요? 3 0 하모태백 2023.12.15 449
2377 넘버락키가 부팅할때마다 해줘야하는데요 1 0 로케트박 2023.12.14 452
2376 설치 문제 6 0 레티 2023.12.13 449
2375 궁금한게 있습니다 5 0 로케트박 2023.12.12 403
2374 커널 5 buildroot 에서 커널 6로 변경후 UEFI 콘솔출력이 안됩니다 1 0 화정큐삼 2023.12.11 384
2373 카카오톡 설치 문의 드립니다. 4 file 0 땀나는주전자 2023.12.09 482
2372 하모니카 부팅 문의 드립니다. 4 file 0 땀나는주전자 2023.12.09 429
2371 휴... 태백에서 금강으로 업그레이드 3시간 33분 걸림 2 file 0 에쎄 2023.12.03 532
2370 하모니카7.0 패널 설정 메뉴 1 0 포토슬럼프 2023.12.03 464
2369 하모니카 7.0 설치가 안됩니다. 5 file 0 땀나는주전자 2023.12.03 573
2368 7.0 한/영 전환이 안 돼요 3 0 자장러로허 2023.12.02 438
2367 Ubuntu 서버에 하모니카 OS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을까요? 2 0 인턴학생 2023.12.01 390
2366 RS-232 usb to serial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리눅스에서 어떻게 사용할수있나요? 1 0 Japser 2023.12.01 382
2365 금강으로 업데이트 문의 1 0 포토슬럼프 2023.12.01 425
2364 하린이(하모니카리눅스 초보)입니다. 윈도우11 멀티 부팅이 안되네요. 7 0 telnet 2023.12.01 549
2363 하모니카내 소프트웨어 매니저 1 0 빅파이프 2023.12.01 455
2362 윈도우에 설치된 exe 파일을 wine 프로그램로더로 실행합니다. 바탕화면 아이콘으로 어떻게 만들수있나요? 5 0 Japser 2023.11.29 60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