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31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영국의 캐노니컬(Canonical)에서 개발하는 우분투(Ubuntu) 14.04 LTS Trusty Tahr 리눅스 커널의 새로운 기능 추가와 버그 수정 및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HWE 커널 4.4.0-112 버전이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LTS : Long Term Support - 5년 간의 장기 지원
*HWE : Hardware Enablement -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커널로, 6개월마다 4번에 걸쳐 판올림하면서 지원
*GA : General Availability - 출시 당시의 커널로, 5년 간 판올림 없이 지원

--

이번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에서는 Intel, ARM, AMD CPU와 관련된 2건의 보안 취약점인 스펙터(CVE-2017-5715, CVE-2017-5753)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가 다음과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inux-lts-xenial (4.4.0-112.135~14.04.1) trusty; urgency=low
  * linux-lts-xenial: 4.4.0-112.135~14.04.1 -proposed tracker (LP: #1745011)
  * linux: 4.4.0-112.135 -proposed tracker (LP: #1744244)
  * CVE-2017-5715 // CVE-2017-5753
    - x86/cpuid: Provide get_scattered_cpuid_leaf()
    - SAUCE: Fix spec_ctrl support in KVM
    - SAUCE: s390: improve cpu alternative handling for gmb and nobp
    - SAUCE: s390: print messages for gmb and nobp
    - [Config] KERNEL_NOBP=y

※ 스펙터(Spectre) : Intel CPU의 멜트다운(Meltdown) 취약점과 함께 발견된 Intel, ARM, AMD CPU의 보안 취약점으로,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는 웹 기반 공격이 가능하다고 발표됨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Changelog 정보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영향을 받는 리눅스 커널 및 업데이트 버전]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 / 리눅스민트 18.x / 하모니카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

※ HWE 커널 4.13 → HWE 커널 4.13.0-32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4.13.0-32.35~16.04.1

※ GA 커널 4.4 → GA 커널 4.4.0-112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4.4.0-112.135

※ 2021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 / 리눅스민트 17.x / 하모니카 2.1 Rosa

※ HWE 커널 4.4 → HWE 커널 4.4.0-112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lts-xenial/4.4.0-112.135~14.04.1

※ GA 커널 3.13 → GA 커널 3.13.0-141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3.13.0-141.190

※ 2019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 / 리눅스민트 13 Maya

※ 2017년 4월 28일 지원 종료

--

그러므로 우분투 LTS 사용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그리고 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 사용자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메뉴를 실행하여 해당하는 커널 내에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아울러 업데이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에 반드시 재부팅을 하기 바랍니다.

--

배포판의 종류와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을 알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기 바랍니다.
$ lsb_release -a && uname -a

--

리눅스민트 18, 18.1, 18.2, 18.3은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7, 17.1, 17.2, 17.3은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3 Maya는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을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은 리눅스민트 18.3 Sylvi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2.1 Rosa는 리눅스민트 17.3 Ros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출처: http://la-nube.tistory.com/331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
    Playing 2018.02.08 15:14

    잘 봤습니다

    리눅스를 믿는 게 힘든 게 아니고 인텔사를 못 믿겠습니다  크크크크크킄


    AMD 사도 더 지켜봐야 확실하게 나올꺼 같지만 인텔보다는 나은거 같고요


    아오~ 부디 양심있으면 판매한 제품들 보안문제 완전히 고쳐질때까지 지원 계속되길

  • ?
    Moordev 2018.02.09 09:12
    사실 이 문제가 밝혀진것이 리눅스커널 메일링 감독(?)중에 이상한 메일이 자꾸 나와서 알려진거였지요.

    메일 CC에 자꾸 인텔과 AMD관계자 이름이 찍히고 비슷한 소스위치에 비슷한 패치가 계속 올라오니 커뮤니티에서 이를 파낸것이 해당버그를 알게된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역으로 말하면 리눅스 같은 체계가 없었다면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과 인텔이 대충 쑥덕쑥덕 한다음 덮어버렸을지도 모르는 일인거지요.

    아마도 본래는 커널패치가 완료된 후 어느정도 안정화되면 구렁이 담넘어가듯 발표하려고 한 것 같은데 커뮤니티의 힘은 무서웠습니다.(하트블리드 사태때 배운것이 있다보니 감독이 강화된것도 있었습니다.)

    이제 하나둘씩 패치가 되고 있고 사람들도 많이 인지하고 있으니 이번 CPU게이트도 슬슬 잠잠해지지 않을까 싶네요.
  • profile
    그럴sudo 2018.02.15 23:06

    캐노니컬은 레드햇처럼 섣불리 패치 했다가 부팅 불능 버그같은게 나와서 롤백하는 사태가 없도록 신경을 많이 써서 부디 잘 완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989
666 테크래빗(TechRabbit) 정보유출로 인한 해외결제 주의 1 0 la_Nube(누베) 2018.05.25 814
665 사지방 하모니카 aws ec2 2 0 johnb 2022.11.04 813
664 qb토렌트에서 시스템 트레이 최소화 설정을 활성화 시키고 싶은데 선택 할수 없더군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3 file 0 라루미 2022.08.13 813
663 인터넷 연결 오류에 대한 질문 5 file 0 해연 2021.11.17 813
662 저도 생각보다 보수적이게 되었군요. 1 0 Moordev 2020.07.25 813
661 동기화 프로그램 syncthing에 대한 문의입니다. 1 0 신성 2019.09.16 813
660 윈도우랑 리눅스 듀얼부팅시 시간 안맞을 때 1 0 Ohnine 2018.07.31 813
659 질문드림. 홈페이지 관련(로그인 상태 표시) 2 0 세벌 2017.12.25 813
658 윈도우처럼 장치 관리자 상세히 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2.07.22 812
657 하모니카 업테이트 어찌하나요. 2 0 뱃살왕자 2022.01.04 812
656 우분투 18.10 우주 오징어 배경 화면 콘테스트가 열립니다 6 0 행복한펭귄 2018.07.14 812
655 하모니카6.0으로 웹게임 히어로즈 해 본 소감.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2.12.06 811
654 와인설치 관련 우분투 질문있습니다. 2 0 라루미 2022.08.05 811
653 하모니카5.0에서 텔레그램 업데이트. 2 0 기즈모 2022.06.08 811
652 로그인이 무한 반복 됩니다 3 0 레프 2020.07.22 810
651 정부에서 했으면 하는 것. 1 0 세벌 2018.10.17 810
650 우분투 스냅스토어에서 멀웨어 숨겨진 패키지 발견 4 file 0 PEACH 2018.05.14 810
649 Ubuntu 18.04 LTS 기반 Ultimate Linux 운영 체제 ExTiX 발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8.04.20 810
648 지원 종료 : 우분투 14.04, 리눅스민트 17.x, 하모니카 2.1 로사 0 la_Nube(누베) 2019.05.10 808
647 배틀넷 오류가 이렇게 뜹니다 루트리스로 설치후에.. 1 file 0 라루미 2022.08.10 807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