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판이 아닌 독립적인 배포판인데 무척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FreeBsd 스타일. 최소경량의 단순함. 견고함. 그리고 롤링 릴리즈.
시스템드 대신 runit 을 쓰는게 특징인데, 시스템드의 수백분의 1 분량의 짧고 안정적아 코드 베이스와 부팅속도가 특징입니다.
시스템드 논쟁은 노 시스템드 os 배포판 모임을 따로 만들었더군요. mxlinux 도 sysint 를 쓰는 nosystemd 였구요.
xbps 패키지 관리자도 무척 쉽고 빠르며, 아치에서 많이들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이런 진짜배기 롤링릴리즈 리눅스는 한글유저에겐 쥐약이네요 ;;;;;;;;;;;;
FreeBsd 스타일. 최소경량의 단순함. 견고함. 그리고 롤링 릴리즈.
시스템드 대신 runit 을 쓰는게 특징인데, 시스템드의 수백분의 1 분량의 짧고 안정적아 코드 베이스와 부팅속도가 특징입니다.
시스템드 논쟁은 노 시스템드 os 배포판 모임을 따로 만들었더군요. mxlinux 도 sysint 를 쓰는 nosystemd 였구요.
xbps 패키지 관리자도 무척 쉽고 빠르며, 아치에서 많이들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이런 진짜배기 롤링릴리즈 리눅스는 한글유저에겐 쥐약이네요 ;;;;;;;;;;;;
adobe flash나 google chrome같이 재배포가 안 되는 패키지를 설치할 때 xbps-install로 설치가 안 되고 xbps-src로 수동으로 컴파일 해줘야 되서 artix linux로 옮겨갔습니다. 최소한 artix linux로 가면 yay를 이용해서 AUR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고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명령어 하나로 모든 패키지의 설치와 업그레이드를 다 하고 싶으면 void linux는 사용하기 힘듭니다.
yay같은 도구가 void linux에 나오면 void linux를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artix linux에서는 openrc와 runit 둘 중에 하나 선택 가능합니다. openrc와 runit을 둘 다 써봤는데 runit은 간단하지만 의존성 관리면에서 취약합니다. openrc는 runit보다 복잡하지만 의존성 관리는 잘 합니다. openrc가 좀 더 복잡하지만 설정 파일을 좀 더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runit은 나쁘진 않은데 개선이 필요합니다.
노트북에서는 artix linux 사용하고 데스크탑에서는 젠투 사용중입니다. 젠투에서만 깔 수 있는 패키지가 있고 젠투에서만 쉬운 작업이 있어서 젠투를 아직 빠져나가지는 못하고 있는데 젠투 그만 쓰고 싶습니다... 젠투에 적응은 끝났지만 관리가 좀 복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