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56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이젠 리눅스 시스템을 전사적으로 도입할만한 분위기가 조성되고있습니다.

단순한 분위기로 머물지 말고 실제적으로 도입하고 개선되어서 합리적인 경영이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 데스크톱 도입 팁 6가지

http://www.bloter.net/archives/47959


개인 및 기업, 각종 단체에서 리눅스 데스크톱을 고려한다면 고려해야할 도입 팁 6가지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2008년 7월 청송종합전기라는 업체에서는 이미 전사적으로 리눅스 데스크탑을 도입하여 기업에 사용하는 첫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때 당시 우분투 리눅스 기반의 시스템을 도입하여 캐드 부분과 경리 파트를 제외하곤 모두 우분투 리눅스에서 회사 업무를 보도록 조치한 사례가 있습니다.


우분투 전사 OS 적용 첫 사례 탕생

http://weblogic.tistory.com/69


지금은 개발이 중단되어 배포되지 않지만 다이나시스템에서 개발한 다이나 리눅스도 도입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외부와의 자료 호환성 문제때문에 캐드 부분과 경리 부분에 대한 조치를 그 후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모르지만 리눅스 시스템이 상당한 수준이 아닌 2008년도에도 이렇게 적용하여 기업에서 사용했습니다.


개인용 리눅스 시스템의 시작, 다이나 시스템 운분투 리눅스

http://www.nextdaily.co.kr/news/article.html?id=20081223800038


토종 리눅스 새장을 연다 '다이나 리눅스'

http://media.daum.net/breakingnews/view.html?cateid=100000&newsid=20090727134406732&p=etimesi


오래전 얘기이지만 여하튼 국내 배포판 중에 하나인 다이나 리눅스 도전이 있었고 그때 당시의 수준으로도 (무려 8년 전의 얘기임) 실제 기업 및 개인에게서 적용 문제가 없음이 증명되었습니다.


이젠 8년이 세월이 흘렀고 우분투 배포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배포판 수준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서 어떤 배포판을 선정하든 기업에 도입하는데 상당한 수준까지 이르렀기에 더욱 도입의 범위가 넓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부정적인 시각에서 볼려면 한도 끝도없는 얘기들이 쏟아지겠지만 말입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국내 배포판 중의 하나인 다이나 리눅스 개발이 중단된 사실이 아쉽습니다. 나름 유명한 배포판 중의 하나였는데.... 알짜 리눅스, 미지 리눅스, 한컴 리눅스, 와우 리눅스, 다이나 리눅스, 기타 등등...

외국에서 개발된 배포판들이 국내 환경을 고려하여 나름 개발이 많이 진행되어서 그나마 다행이고 지금은 서버용과 데스크탑용으로 각각 2개가 여전히 활동하고 있어서 다행입니다.

SU Linux, 안녕 리눅스, 하모니카 리눅스, 넘버1 리눅스가 국산 리눅스의 맥을 이어오고 있네요. 그나마 다행이네요.


조금만 생각을 바꾸고 기업에서 서로 협력하면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는 하겠지만, 많은 부분에서 리눅스 시스템 도입으로 다양한 혜택을 실제적으로 누릴 수 있습니다. 막연한 추측이 아니라 이미 나름 상당한 수준까지 성장해 왔고 리눅스 시장의 10년은 더욱 성장할 것이 확실하기에 장기적으로 보면 특정 업체에 종송되지 않고 스스로 시스템을 운영하는 오픈소스 세계에 발을 들여 놓는 것이 기업 경영에도 도움이 될 것이 확실합니다.


전사적 리눅스 도입이 널리 펴지길 기대합니다. 특별한 배포판을 고려하지 않고있다면 하모니카 리눅스 배포판을 고려하는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PS


경리 파트와 캐드 파트 부분도 지금은 상당한 수준으로 해결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현장에서 쓰는 캐드 데이타와의 호환성, 경리 파트의 호환성 부분에 대해선 조금 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경리 부분에 솔직히 잘 모르겠고, 캐드 부분은 오픈소스 캐드에서 상당한 수준까지 이미 해결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찾아보면 상당한 수준의 오픈소스 캐드도 이미 준비되어있습니다. 몰라서 그렇지요.


개인적으로 국내 배포판도 좀더 전문적인 영역에서 확고하게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각자 따로 놀지말고 서로 협력하여 서버 분야, 데스크탑 분야에서 확고한 발전이 이뤄지길 기대합니다.


왜? 대한민국에는 아직도 진정한 리눅스 포탈 사이트가 없는 것일까?

검색엔진 포탈시이트 하면 네이버, 다음이 있듯이 리눅스도 진정한 리눅스 포탈 사이트를 만들어서 각자 분주하게 성과없이 노력하는 것이 아닌 집중해서 서로 협력하여 성과있게 리눅스를 발전시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012
1625 [의견] 컨설팅을 도입했으면.... 1 0 행복한펭귄 2016.08.24 5709
1624 Shotwell 0.22.1 버전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8 5706
1623 하모니카 2.1 로사 설치 후...다시 이전버젼으로 변경했읍니다. 1 0 프리 2016.02.29 5705
1622 [잡담] 하고자 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OS로서 거듭나길... 2 0 행복한펭귄 2016.08.09 5694
» 리눅스 시스템 전사적으로 도입하기 0 행복한펭귄 2016.08.21 5693
1620 구글 퓨샤 2 0 string 2016.08.23 5688
1619 메인노트북 하모니카 실사용 1일차 - 블루투스 연결 문제 3 file 0 maumc 2016.04.13 5683
1618 id Tech 4 게임 엔진 0 행복한펭귄 2017.04.28 5680
1617 야후 털리다 4 0 string 2016.09.24 5679
1616 [홍보] 2016 공개SW 헤커톤 행사 안내 (KOSS Hackathon) 2 file 0 하모니카 2016.09.07 5678
1615 오픈소스 대명사 리눅스, 탄생 25돌 맞았다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3 5677
1614 [소식] 모질라 파이어폭스 45.0.2 릴리즈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4 5665
1613 LibreNMS와 연동하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3 0 후니76 2021.08.03 5661
1612 안녕하세요 버추얼박스에 제 첫리눅스로 하모니카를 깔았습니다. 2 0 늅늅이의꿈 2016.05.22 5659
1611 [질문]감사합니다...부팅순서 변경..질문드려봅니다. 2 0 나무아래서 2016.03.15 5658
1610 버그관련 이야기 ^^ 2 0 바람곰돌 2016.05.19 5652
1609 다른 보드에 하모니카 깔린 하드 껴도 잘돌아가네요 2 0 앞집꼬마 2016.12.31 5649
1608 [질문] 외부 네트워크에서 DAAP로 음악을 듣고 싶을때... 3 0 바람곰돌 2016.07.21 5646
1607 폰트에 대하여... 0 행복한펭귄 2017.04.11 5635
1606 3일차 - 윈10과 하모니카 듀얼부팅 및 블루투스 문제에 대해.... 1 0 maumc 2016.04.15 5630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