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중앙 집중화 방식에서 벗어나 탈중화화 방식으로 보안의 위험을 분산시켜 단일 지점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는 보안 방식이다. 즉,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저장장치 등 각 단계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다.
1. 다계층 인증 체계의 주요 특징
1) 단일 지점 공격 방지
한 곳이 공격당하더라도 다른 레이어의 인증 체계가 시스템을 보호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인다.
2) 더 강력한 보안
여러 계층의 인증을 거쳐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인증 방식보다 보안 수준이 높다.
3) 최소 권한 원칙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여 불필요한 권한 남용을 방지한다.
4) 심층 방어
다양한 레이어에서 보안 조치를 취하여 시스템의 취약점을 줄이고, 침입 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 다계층 인증 체계의 적용 예
1) 웹사이트 로그인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기본적인 인증 외에, 2차 인증(추가 인증)을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2) 서버 접속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SSH 키, 2차 인증 등을 활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에 다중 인증 체계를 적용한다.
3) 네트워크 접근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특정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에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설정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한다.
3. 제로 트러스트 모델과 다계층 인증 체계와의 관계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외부의 모든 접속을 철저히 검증하고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한다.
다계층 인증 체계는 제로 트러스트 모델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각 레이어별로 인증을 강화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혁신하고 있다.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 = "아무도 믿지 마라" = "계속 검증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