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357
어제:
12,429
전체:
3,763,639

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출처: https://news.hada.io/topic?id=20025

 

LibreOffice는 Microsoft Office의 무료 오픈소스 대안이며, 최근 주당 다운로드 수가 100만에 가까워짐

 

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작동하는 스탠드얼론 데스크탑 소프트웨어로 무료 사용 가능

 

이는 202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최근 25.2 버전 출시 이후 다운로드가 급증

 

Apache OpenOffice 등 경쟁 오픈소스 오피스 제품은 점점 존재감이 줄어들고 있음

 

대부분의 사용자는 비용을 피하기 위해 LibreOffice를 선택함

 

Microsoft Office와 Google Workspace가 클라우드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로컬 설치형 솔루션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함

 

Gartner의 분석가 Jason Wong은, LibreOffice가 비용 절감 대안으로 평가되지만 유지 관리에는 전문 리소스와 기술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언급

 

LibreOffice를 만들고 있는 The Document Foundation의 Mike Saunders에 따르면 사용자 수는 약 2억 명으로 추정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상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음

 

기존에는 주로 가정용 사용자에게 인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기업과 정부 기관의 관심도 증가 중임

=> 예: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는 30,000대의 PC를 Microsoft Office에서 LibreOffice로 전환 예정

 

사용자 비율은 Windows(85%)가 가장 많고, 그 뒤를 macOS, Linux가 따름

 

사용자들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독 없는 구조, AI 비활성화를 선호함

 

AI가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을 Clippy와 같은 과거의 실패 사례로 여김

 

LibreOffice는 AI 기능을 기본 내장하지 않을 계획이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AI 확장 개발을 장려 중임

 

The Document Foundation은 클라우드 기반보다는 데스크탑 버전에 집중함

 

많은 Linux 배포판이 LibreOffice를 기본 탑재하고 있어서, 이로 인해 실제 사용자 수는 불명확함

 

==================================================================================

 

(사족)

그런데 업무에서 ms office를 버릴 수 없는 현실인데

ms office와의 호환성은 많이 좋아졌나 모르겠네요.ㅠㅠ

 

 

 

  • ?
    자유의지 2025.04.06 22:06
    호환성이 매우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 ?
    context 2025.05.18 00:51
    5년 전 쯤에 libreoffice로 doc 문서 만들었는데 MS office로 그 문서를 loading 하니 기존의 표양식이 깨져서 보이더라구요. 프린터로 인쇄해도 그대로 깨진대로 출력되고요. 그래서 그 당시 리브레 오피스 사용을 접었었습니다. 지금은 어떤지 많이 호환성이 개선됬는지 궁금하긴하네요.
  • ?
    Moordev 2025.05.18 10:51
    사실 해외의 MS오피스랑 우리나라에서의 MS오피스는 조금 사용방식이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내용과 표, 삽화의 위치의 관계를 중요시 여기는 편입니다. 그래서 표와 다단기능 활용하고 그림위치를 중요시 여깁니다. 한글이 여기서 영향받아 그림을 글자처럼취급하는 옵션이 있지요.

    그러나 해외에선 페이지에서의 그림위치를 중요시 여깁니다. 표나 그림은 종이에서 뽑았을때 위치가 중요합니다. MS오피스를 자세히보면 그림이나 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옵션이 다양한걸 볼 수 있는데 doc의 영역은 딱 거기까지입니다.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조판(QuarkExpress나 Adobe 인디자인, LibreOffice Draw 등)에서 조정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에 PDF로 내놓는게 당연한것이고요. (정확히는 유럽에서 이런식으로 문서를 작성하더군요. 그래서 한글같은 올인원 워드프로세서는 너무 기능이 많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양식깨지는건 신경을 안 씁니다...우리나라식 문서는 도리어 ppt에서 더 신경쓰는편이지요. 레이아웃관련 호환문제는 앞으로도 해결 안 될 가능성이 큽니다. 도리어 Libre Draw쪽 호환은 엄청나게 좋아졌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8 디지털 디톡스 전용폰도 있네요 newfile 0 해바라기29 2025.05.22 20
2097 시나몬 한글입력 안 되는 문제 간단한 분석 1 0 Moordev 2025.05.21 43
2096 원격 코드 실행(RCE, Remote Code Execution)이란? updatefile 0 BaroPAM 2025.05.19 55
2095 '6년 절치부심' 진격의 샤오미, 자체 AP 출격 0 context 2025.05.18 67
2094 세레브라스 WSE-3 최고 속도 AI 칩 0 leaveoiop 2025.05.17 42
2093 챗GPT 학습에 8자리 숫자 비밀번호 3시간 만에 뚫는다 file 0 BaroPAM 2025.05.14 217
2092 가입 인사 드립니다. 0 깔치 2025.05.12 48
2091 화웨이, 자체 OS 탑재 첫 노트북 출시…"MS·애플에 도전장" 0 context 2025.05.09 184
2090 현재의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다 file 0 BaroPAM 2025.05.04 185
2089 오늘부터 연휴인데 다들 어디가시나요? 0 해바라기29 2025.05.02 102
2088 SKT 유심해킹 관련한 사용자들의 대비 방안 1 0 context 2025.05.02 212
2087 wine mono 설치 저만 이럴까요? 1 file 0 kaboom45 2025.04.28 198
2086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탈중앙화 방식의 다계층 인증 체계 도입의 필요성 file 0 BaroPAM 2025.04.25 1846
2085 구글이 크롬을 매각해야 할 경우 퍼플렉시티가 크롬 인수를 원해. 0 context 2025.04.24 1230
2084 다계층 인증 체계의 필요성 file 1 BaroPAM 2025.04.19 2909
2083 제로 트러스트 모델과 다계층 인증 체계와의 관계 file 1 BaroPAM 2025.04.12 2732
2082 솔직히 무섭네요 0 민지렁이 2025.04.10 1078
2081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이젠 막을 수 없다. file 0 BaroPAM 2025.04.06 1986
» 사용자들이 구독 비용을 피하기 위해 LibreOffice 다운로드 증가 3 0 context 2025.03.30 1037
2079 다계층 인증 체계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file 0 BaroPAM 2025.03.28 19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