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669
어제:
3,046
전체:
3,950,852

자유게시판

조회 수 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50202_064132.png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시스템의 각 계층(레이어)에 독립적인 인증 방식을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분산형 보안 방식이다.

이는 기존의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이 가진 단일 지점 공격(Single Point of Failure)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1. 주요 개념

1) 탈중앙화된 보안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 등 다양한 IT 인프라의 각 구성 요소(레이어)에 개별적인 인증 체계를 적용한다.

2) 단일 지점 공격 방지

특정 계층의 인증이 뚫리더라도 다른 계층의 인증이 시스템을 보호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인다. 마치 여러 겹의 자물쇠를 채우는 것과 같다.

3) 보안 강화

민감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 무단 접근을 방지하여 정보 유출 위험을 줄인다.

2. 다계층 인증의 필요성 및 이점

현대 IT 환경은 클라우드 컴퓨팅, 원격 근무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경계가 모호해지고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계층 인증 체계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며 필수적인 보안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1) 보안 사고 방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하고 잠재적인 보안 사고를 예방한다.

2) 정보 유출 위험 감소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고 무단 접근을 막아 정보 유출 위험을 줄인다.

3) 규제 준수

정보보호 관련 규제 및 표준을 준수하는 데 기여한다.

4)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구현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하라"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원칙의 핵심 요소로, 모든 접속을 철저히 검증하고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여 내부 위협 및 외부 공격에 대한 보안을 강화한다.

3. 다중 인증(MFA)과의 차이

"다단계 인증"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개념으로 "다중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이 있다.

둘 다 보안을 강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다루는 범위가 다르다.

1) 다중 인증(MFA)

사용자 인증에 초점을 맞춘다.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때 '지식(비밀번호)',  '소유(스마트폰, OTP 기기)',  '고유(지문, 얼굴 인식)'와 같은 두 가지 이상의 인증 요소를 요구하여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OTP를 추가로 입력하는 것이 MFA의 대표적인 예시다.

2) 다계층 인증 체계

MFA를 포함하여 시스템 전반의 다양한 계층에 보안을 적용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사용자 인증뿐만 아니라 각 서버, 네트워크 장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에 독립적인 인증 및 접근 제어를 적용하여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강화한다.

결론적으로, 다계층 인증 체계는 중앙 집중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로 촘촘한 그물망처럼 보안의 위험을 분산하여 시스템의 모든 계층에 걸쳐 보안을 강화하여 잠재적인 공격으로부터 전체 IT 인프라를 보호하는 포괄적인 보안 전략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다계층 인증 체계와 다중 인증(MFA)과의 차이 file 0 BaroPAM 2025.06.15 75
2103 AMD, OpenAI의 최신 칩을 활용한 AI 서버 공개 (feat. 엔비디아) 0 context 2025.06.15 113
2102 삼성폰 이번 업데이트 불편하신분들 해결방법 공유해봅니다. file 0 해바라기29 2025.06.13 88
2101 중앙 집중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의 중요성 file 0 BaroPAM 2025.06.03 185
2100 작업 표시줄 아무 것도 안될때 다양한 방법이 있네요 1 file 0 깔치 2025.06.01 255
2099 검색엔진으로 쓸만한 국내 ai서비스 0 context 2025.05.30 252
2098 네이버 페이,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내놓는다 0 context 2025.05.30 134
2097 원격코드 실행(RCE) 공격에 사용되는 리버스 쉘과 바인드 쉘의 대응 방안 file 0 BaroPAM 2025.05.25 322
2096 디지털 디톡스 전용폰도 있네요 file 0 해바라기29 2025.05.22 294
2095 시나몬 한글입력 안 되는 문제 간단한 분석 1 0 Moordev 2025.05.21 334
2094 원격 코드 실행(RCE, Remote Code Execution)이란? file 0 BaroPAM 2025.05.19 334
2093 '6년 절치부심' 진격의 샤오미, 자체 AP 출격 1 0 context 2025.05.18 288
2092 세레브라스 WSE-3 최고 속도 AI 칩 0 leaveoiop 2025.05.17 146
2091 챗GPT 학습에 8자리 숫자 비밀번호 3시간 만에 뚫는다 file 0 BaroPAM 2025.05.14 529
2090 가입 인사 드립니다. 0 깔치 2025.05.12 167
2089 화웨이, 자체 OS 탑재 첫 노트북 출시…"MS·애플에 도전장" 0 context 2025.05.09 336
2088 현재의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다 file 0 BaroPAM 2025.05.04 431
2087 오늘부터 연휴인데 다들 어디가시나요? 0 해바라기29 2025.05.02 197
2086 SKT 유심해킹 관련한 사용자들의 대비 방안 1 0 context 2025.05.02 393
2085 wine mono 설치 저만 이럴까요? 1 file 0 kaboom45 2025.04.28 3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7 Next
/ 107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