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사이버 보안이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만큼 정보 보안 산업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황에서 PC 운영체계인 Windows 10과 Windows 서버의 보안 기준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조항을 삭제했다.
 
KISA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조항이 이용자 불편만 초래할 뿐 보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구글이 지난 해(2021년) 자사 서비스에 자동 활성화 시킨 2단계 인증을 통해 계정 해킹을 50% 줄였다고 구글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최근 재택근무가 빈번해지고 기업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SMS 기반 피싱 공격이 증가했다. 범죄자들 역시 피해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격을 감행한다. 직원 역시 고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쯤이면 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 때문에 짜증이 나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나온 정책’의 폐해를 드러내는 사례다.

 

20220918_053234.png

 



비밀번호를 강력히 해야 한다는 표면의 내용만을 가지고 사용자들에게 모든 부담을 전가하는 게 바로 이 ‘과도하게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이고, 사실 보안에 유의미한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SMS 통한 인증코드 전달하는 방식을 본인이 직접 인증코드를 생성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 또는 추가 인증(2차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20220918_053234.png

 

정보자산의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비밀번호를 매번 사용할 때마다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솔루션으로 대체 했을 때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비밀번호 단방향 암호화 불필요.
2. 비밀번호 관리지침 적용 불필요.
3.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음.

4. 비밀번호 / 리셋 증후군에서 해방.
5. 사용자 정보 유출 되어도 로그인 불가능.
6. 비밀번호 도용 및 불법접속 불가능.
7. 중간자 공격에도 안전.
8. 비밀번호 분실 및 도용 등에 따른 초기화 불필요.
9.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지원.
 
"정적인 비밀번호, 서명, 사인, 지문, 안면, 홍체 등과 같은 패턴과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정적인 보안의 시대는 끝났고, 이젠 정적인 보안이 아닌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의 시대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2 바로가기 아이콘 변경이 안되나요? 4 0 잘몰라요. 2021.02.13 587
851 리눅스에서 윈도우로 가는건 어떻게할까요? 16 file 0 로케트박대리 2021.02.12 2570
850 Lenovo Mini Setup Video Auto 그리고 IGD 질문 1 file 0 세벌 2021.02.11 585
849 리눅스민트 45가지 FAQ 모음 3 0 행복한펭귄 2021.02.10 624
848 하모니카 사이트에서 링크 된 ASKOS 사이트는 어떤 곳인가요? 3 0 프리나눔 2021.02.10 615
847 하모니아 미디어 워버 접속 오류 해결방법? 3 file 0 끝없는사랑 2021.02.08 611
846 파이선 보통 직장인들은 퇴근후 공부한다고하면 얼마나 걸릴까요 ?? 익숙해지는데 4 0 김미리 2021.02.07 795
845 데비안 10.8 나왔네요. 9 0 세벌 2021.02.07 701
844 제가 받은 Lenovo Mini PC 사용기 10 0 세벌 2021.02.06 820
843 grub 배경 이미지 바꾸기 1 0 세벌 2021.02.05 658
842 하모니카os에서 아프리카tv고화질 시청은 안되는 건가요? 1 0 장수종 2021.02.04 898
841 지난번에 하모니카 3.0에서 GTA5 돌리던 학생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18 0 saltman 2021.02.04 855
840 질문 잘 하는 방법 1 0 세벌 2021.02.04 550
839 교회 홈페이지 질문 5 0 세벌 2021.02.04 584
838 하모니카 os 윈도우 파일 실행하고 싶으면 가상화os 사용하면되네요 5 0 한국사람 2021.02.03 721
837 스마트폰 화면 하모니카에 띄워 사용하기 14 0 행복한펭귄 2021.02.03 742
836 ALC282 관련 도움을 부탁합니다. 7 0 재팔 2021.02.03 644
835 리눅스 설치한 컴에서 TV HDMI 연결 화면 품질 설정? 15 0 세벌 2021.02.03 1019
834 리눅스 배포판의 선택을 도와주는 사이트 8 0 프리나눔 2021.01.31 829
833 HamoniKR 4.0 JIN 64bit 로 동영상 서버를 만들기... 11 0 끝없는사랑 2021.01.30 659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