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31118_164503.png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는 별도의 사설 전용망 없이도 암호 기술에 기반한 터널링(tunneling)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이용해 지점간을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 통신망(WAN)을 구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솔루션을 의미한다.

 

VPN이 점점 더 노골적인 공격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회사들은 외부에서 접속하는 우리 직원과 남의 직원을 구분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공격자들은 기계적으로 생성한 사용자 이름들을 무작위로 대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피해자 환경에 침투하려 한다. 공격의 표적은 다양하며, 특정 산업군이나 지역을 따로 노리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VPN을 노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비밀번호 분사(password spaying)’라고 불리는 것이다. 비밀번호 분사 공격이란, 공격자들이 여러 개 계정들에 아무 비밀번호를 마구잡이로 대입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디폴트 비밀번호나 사용자들이 자주 설정하는 비밀번호를 대입한다. 그렇게 해서 하나라도 맞아 떨어지면 해당 VPN에 정상적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원격에서 VPN으로 회사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하려면 보안에 취약한 디폴트 비밀번호를 버리고 강력한 것으로 대체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 솔루션인 일회용 인증키(One-Time Auentication key) 같은 2차 인증(추가 인증) 솔루션을 적용하여 VPN의 비밀번호 분사 공격을 방어해야 한다.

 

20240428_065107.png

 

VPN의 비밀번호 분사 공격 방어하기 위해서는 2,3 단계의 과정을 더 거치게 되기 때문에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과정이 해킹이나 정보 유출로부터 자신의 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다. 

 

그래서 "최신 기술"들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조금 더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안전하게 개인의 정보를 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으며, 느슨한 구성으로 시작해서 더 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간편성과 편리성을 내세우면 보안은 그만큼 허술하며 그 댓가는 혹독할 것이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무엇보다도 2차 인증(추가 인증)에 사용되는 일회용 인증키(One-Time Auentication key)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일회용 인증키 생성 매체을 사용해서 본인이 직접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여 본인이 직접 입력해야 그나마 정보 보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책이다.

 

20240428_064935.png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 = "아무도 믿지 마라" = "계속 검증하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rclone을 이용한 구글드라이브 마운트 1 0 가벼운게최고 2020.11.10 4269
50 리눅스용 한글 2020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되어 있는 문제 7 0 변신 2021.01.22 4308
49 데비안 11을 설치했습니다. 뭐부터 해야할까요? 5 0 라루미 2021.08.16 4483
48 onedive를 GUI에서 컨트롤 할 수 있게 되었네요 ^^ 0 바람곰돌 2021.08.04 4501
47 배터리 모니터 및 타임시프트 etc. 0 DanHaNa 2021.07.20 4522
46 구름 OS 및 리눅스용 한글 소식 (소프트웨이브 2019) 6 0 la_Nube(누베) 2019.12.21 4748
45 카카오톡 한글 입력 문제 질문 5 0 재팔 2020.01.13 4831
44 chrome remote desktop으로 원격 접속시 컨트롤과 esc키가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2 0 jun 2020.04.22 4973
43 리브레 오피스가 M$ 오피스에 버금간다는 의견에 대한 소감 17 0 아리수진 2021.03.19 5096
42 썩어빠진 한국 리눅스 커뮤니티 7 0 김호동 2019.06.10 5420
41 리브레오피스 페이지 번호 질문입니다. 5 0 한개교 2022.10.08 5441
40 누리아이티, 정보자산 보안 강화를 위한 인증 솔루션 ‘BaroPAM’ 조달 등록 file 0 BaroPAM 2021.07.22 5519
39 한컴 2022 렉 걸리는 증상 해결법! 4 0 whale 2021.12.11 5771
38 지진 대비 메뉴얼 - 도쿄방재 0 string 2016.09.14 5806
37 AMD Ryzen Cpu는, linux와 호환이 잘 되나요?? 2 0 식혜고양이 2019.04.06 5912
36 보기만해도 왕짜증…15m짜리 대형 '블루 스크린'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4 5978
35 MIT, 아파치 라이선스 차이가 뭔가요? 3 0 iloveapink 2019.04.08 6108
34 싸지방에서 인강수강 13 0 종이 2021.03.30 6115
33 야후의 연타석 홈런 0 string 2016.10.15 6485
32 도움요청) 우분투 20.04 인텔 무선/wifi 설치문제(인텔® Wi-Fi 6 AX201 160MHz) 11 0 레드스톤 2021.07.13 6599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