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내 인터넷 관련 전문가 10명 중 4명, 온라인 계정 탈취 당한 경험 ‘있다’.
 
인터넷 보안 전문가는 “사용 중인 웹사이트에 비슷한 비밀번호를 적용해 오다가 해킹으로 탈취돼 비밀번호를 변경했으나, 나 자신 조차도 변경한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수문자를 포함하라는 기준이 생겼지만, 기존에 수많은 곳에 적용한 비밀번호와 다르고, 가입하는 웹사이트마다 허용하는 특수문자의 제한이 있어서 이에 대한 기억을 일일이 하지 못한다. 자신이 변경한 비밀번호를 기억 못해 해당 비밀번호 재설정에 시간과 비용 낭비를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다”고 비밀번호 기반 로그인 기능 사용의 불편함을 토로했다.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패스워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패스워드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다운로드.png

 
기업 및 개인의 정보 유출에 대한 해킹 피해보도는 잊혀질 만 하면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해킹에 안전한 2차 인증키(일회용 인증키)를 사용하여 대응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우리의 미션은 정보자산의 OS와 어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를 없애는 것이다. 우리가 비밀번호를 계속 사용하는 한 우리의 프라이버시와 정보자산이 안전할 수도 편리할 수도 없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비밀번호를 제거할 수 있는 특별한 보안 기술인 정보자산 2차 인(추가 인증) 솔루션인 BaroPAM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미션을 반드시 달성할 수 있다.

모든 정보자산의 사용자 식별.인증에 대한 일외용 인증키 적용은 선택이 아닌 반드시 필수로 적용되어야 할 보안 대비책으로 이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정보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 ?
    EspressoTiger 2020.09.27 11:00

    keepassxc 같은 프로그램에 암호를 보관하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6661
1846 우분투/리눅스민트/하모니카 커널 업데이트 4.4.0-70 3 0 la_Nube 2017.03.28 6640
1845 centOS 6.8을 깔아놓고 써보니까 리눅스민트나 하모니카가 훨씬 낫네요. 3 0 바람곰돌 2016.12.02 6631
1844 요런 것도 있군요?! 2 0 식혜고양이 2017.03.18 6628
1843 [질문] 인텔 그래픽스 인스톨러 설치 후 문제 2 0 바람곰돌 2016.10.27 6625
1842 크롬 웹브라우저 58 출시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20 6622
1841 윈도우10속 우분투 배시, 어떻게 실행되나 0 행복한펭귄 2016.04.25 6621
1840 전철 안에 있는 모니터... 10 0 세벌 2016.05.17 6614
1839 리눅스 sudo 취약점 발견…"보안강화 시스템 오히려 위험" (CVE-2017-1000367) 1 0 la_Nube 2017.06.08 6605
1838 리눅스 커널 4.10 RC7 발표 5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6 6605
1837 [질문] Compaq Presario V3000 노트북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먹통되는 문제 해결 방법 제시해 주세요.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1.08 6605
1836 하모니카, 리눅스민트17 사용자입니다. 오늘 처음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테마기능은 어디서...? 1 0 hensum2007 2016.11.22 6603
1835 [해결] 업데이트 관리자 문제 4 0 krhamoni 2016.12.06 6599
1834 질문_리눅스하모니카 프린터 및 Sd카드 질문드립니다. 17 0 jin_세한 2016.02.24 6592
1833 데비안 9 2월말~3월초 4 0 string 2017.02.02 6588
1832 [질문]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TV보는 방법 아는대로 알려주세요. 4 0 행복한펭귄 2016.05.18 6585
1831 한국형 ○○○ 추진했다가 실패한 정책들 2 0 행복한펭귄 2016.03.18 6584
1830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플랫폼(PaaS)' 파스-타' 첫 공개 0 행복한펭귄 2016.04.25 6581
1829 < Cherry tree > : 계층구조 방식의 메모 관리 프로그램! 3 file 0 만화가엄두 2017.07.05 6577
1828 리눅스 민트 18.1 세리나 버전 한글 관련 정보 6 file 0 행복한펭귄 2017.01.10 6575
1827 Emulator의 신세계에서 놀아보자!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24 6563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