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723
어제:
2,941
전체:
3,781,411

자유게시판

조회 수 1387 추천 수 0 댓글 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에도 한번 문의했었는데...

 

win 10 과 하모니 리눅스를 SSD하드로 두얼 부팅으로 쓰고 있습니다.

 

다른  SSD하드를 점검할 일이 있어 원 하드를 빼고 꽂아서 확인 완료하고

다시 원 하드를 장착하고 부팅을 하니..부팅에러가 납니다.

 

이런 간단한 작업에도 리눅스 부팅 grub이 문제가 되는건지요.

 

설치본으로 들어가 부팅 매니저로 수정도 몇차레 해봤지만 여전히 안되네요..

 

해결책은 새로 설치하는건 뿐인지? 궁금합니다.

 

고민생...

 

 

  • ?
    Moordev 2021.10.19 01:28
    단순히 뺐다 꽂는거로는 GRUB가 망가질일이 없는데 동일한 포트에 꽂은것인가요?
  • ?
    haseungwun 2021.10.19 01:52

    넵. 원래 꽂혀잇던 SSS 빼고 거기에 다른  SSD 꽂고 내용 확인후 원래 SSD를 다시 장착했는데...

    부팅이 안되는군요. 얼마전의 그런 상황이 반복이네요. 시스템이 꼬일 복잡한 게 아니고 간단한 작업인데.

     

    다시 부팅하면서 CMOS에서 부팅 순서는 원래대로 바꿔주고요.

  • ?
    잘몰라요. 2021.10.19 02:58

    부팅시 바이오스를 읽고 하드를 읽죠.

    바르게 장착하고 바이오스를 잘못 건들이지 않았다면 하드 내용을 동일하게 읽죠.

     

    OS의 문제가 아니죠.

  • ?

    d3a660415880319040f93232e70b9593.jpg

     

    부팅 화면이 드고 부팅 OS를 선택하는데..

     

    win 10인경우는 제대로 잘 부팅되는데..

    Linux만 계속 initramfs라고 만 드네요.

  • ?
    잘몰라요. 2021.10.19 03:50
  • ?
    haseungwun 2021.10.19 11:43

    참고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Moordev 2021.10.19 17:52
    그냥 제 생각인데 SSD가 리눅스 파티션과 잘 안 맞는것 아닐까요?
    간혹 펌웨어버그로 SSD의 데이터를 날려먹는 일이 가끔 있거든요.

    SSD를 데이터센터에서 쓰기에 그럴일은 거의 없지만 EXT포맷과 상성이 안 맞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야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혹은 진짜 운이 지지리도 없어서 SSD를 꽂는 순간 하필 부트로더가 있는 부분의 데이터가 전기충격(정전기라던가..)으로 손상되었을수도 있고요.

    삼성이나 하이닉스 같은 대기업 제품이라면 리눅스 부트로더가 자꾸 깨진다고 하면 받아줄지도 모릅니다.
  • ?
    잘몰라요. 2021.10.19 19:10

    하드 데이터는 0001001101010100010101010 이런 이진수예요.

     

    EXT 포맷요.

    배드섹터가 이진수를 가리며 나나요?

     

    리눅스요.

    배드섹터가 OS를 가리며 나나요?

     

    운이라고요.

    소설 쓰세요?

  • ?
    Moordev 2021.10.20 20:12
    SSD의 웨어레벨링 및 Trim 알고리즘상 버그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TRIM은 OS가 하는게 아니고 SSD에서 하다보니 펌웨어가 멀쩡한 헤더를 TRIM해버릴수도 있는것이죠.

    옛날이야기지만 HDD중에 FAT16은 되는데 FAT32로 하면 데이터가 오염되는 녀석이 있었습니다. 퀀텀사에서 만든 HDD였던걸로 기억하는데 디스크에따라 포맷을 가리기도 한다는걸 처음 알았지요. 그리고 그 원인은 섹터정렬(디스크 조각모음이라고 하던가요)을 돌리면 섹터가 꼬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SSD가 (SSD는 HDD를 흉내내고 있지요. 실제 섹터는 없지만 섹터가 있는것처럼요.)섹터정렬을 하면서 펌웨어단에서 날려먹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거에요.

    그리고 이건 그저 제 추측이니까 소설은 맞습니다.
  • ?
    잘몰라요. 2021.10.21 04:34

    소설같은 말씀이신데요.

     

    HDD 하드는 디스크가 돌며 데이터를 읽죠.

     

    윈도우는 데이타가 조각이 많이 났었죠.

    디스크가 도는 가운데 디스크의 여기 읽고, 저기 읽고, 여기저기를 읽어야 파일 하나를 온전히 읽을 수 있었죠.

    데이터 읽는 속도를 빠르게 하려면 주기적으로 디스크 조각모음을 해줘 데이터를 정렬해 줘야 했었죠.

    이건 HDD 하드일때 듣던 이야기이죠.

    지금도 윈도우에 디스크 조각모음 유틸이 있나요?

     

    그런데 HDD 하드일때도 리눅스는 디스크 조각모음이 그리 필요없다고 본거 같네요.

    하모니카와 우분투에서 디스크 조각모음 그런 유틸은 못 봤네요.

     

    그렇다면 말씀하시는 오류가 윈도우에서 더 크게 일어나겠네요.

  • ?
    Moordev 2021.10.21 21:11
    NTLDR is missing
    2000, XP시절에 보신분들이 많을거에요.
    이 오류메시지만 해도 윈도우도 많이 겪은 문제입니다. 다만 특정 HDD에서 자주 떴고 또 랜덤하게 뜨곤 했습니다. 그냥 지금도 펌웨어오류가 아닐까 하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SSD는 우리가 따로 조각모음을 하지않고 대신 SSD에 맞는 TRIM작업을 합니다. SSD에게 TRIM하라고 명령을 주면 디스크의 펌웨어가 페이지정렬(HDD는 섹터라면 플래시메모리는 페이지 단위라고 하더군요.)을 합니다. 그리고 특정 SSD는 딱히 TRIM하라고 안 해도 그냥 주기가 되면 자동으로 해버립니다. 그런데 TRIM알고리즘에 버그가 있다면? 1비트만 오류로 지워버리면 그냥 골로가는거죠.

    제가 의심하는게 이겁니다. 디스크의 펌웨어.

    소설같지만 SSD의 펌웨어 히스토리를 보면 "TRIM알고리즘 개선"이 자주 보이는걸 봐서 그럴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
    haseungwun 2021.10.20 01:02

    그럴 개연성도 있죠..

  • ?
    유리 2021.10.20 01:51

    부트로더 또는 커널 패키지에 문제가 생겨서 부팅이 안되면,

    1. 부트로더 문제에 문제가 있으면, 아래의 과정으로 부팅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dawoum.ddns.net/wiki/GNU_GRUB#GRUB_2_Command_Shell

     

    2. 그래도 initrd에서 문제가 생기면, 커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단할 수 있기 때문에,

    live cd로 부팅해서 chroot를 이용해서 kernel 패키지 kernel-image kernel-modules를 다시설치해야 합니다.

    chroot에서 네트웍 설정이 어려우면, 미리 usb에 해당 커널 패키지를 받아두고,

    (윈도우로 부팅해서 받아서 usb로 옯겨 두시면 되겠지요.)

    chroot로 root 디렉토리를 전환하기 전에 커널 패키지를 복사해 둘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root 디렉토리를 전환하고 커널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참고해 보십시오.

    https://dawoum.ddns.net/wiki/Chroot#Example

     

    3. 둘 다 복합적이면, 2번을 먼저하고, 1번을 진행하시면 될 겁니다.

  • ?
    haseungwun 2021.10.20 11:47

    향후 참조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9 구글 교육도 있네요 0 고고고고고 2023.04.24 1050
1538 [챗GPT 러닝데이 & MS 애저톤] Open API를 활용한 연구원의 업무 효율화 -이제현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20 1488
1537 [공모전] 혁신공공서비스 발굴을 위한 서울시 생성 AI 해커톤 ~ 기간연장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18 946
1536 제5회 2023 연구개발특구 AI SPARK 챌린지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18 994
1535 베타 테스터 모집 : AIF BUG SLAY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18 1021
1534 여러 가지로 혼란스러운 시기네요 0 고고고고고 2023.04.16 1042
1533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3단계 인증시대 열겠다" file 0 BaroPAM 2023.04.15 3043
153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0 요리사 2023.04.15 922
1531 챗gpt로 홈피만들기 1 0 홍쿠주 2023.04.14 1193
1530 챗gpt 교육 들어보신분들?! 0 해중이 2023.04.13 2078
1529 무료세미나 - [챗GPT 러닝데이 & MS 애저톤] 오프라인 리테일 기업의 ChatGPT 실무 사용기 file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12 1012
1528 애플페이 사용하시나요? 0 해중이 2023.04.11 874
1527 영상편집 관련 프로그램.. 0 재여이 2023.04.10 1059
1526 무료세미나 - [챗GPT 러닝데이 & MS 애저톤] ChatGPT와 Azure가 만났을 때 : PDF 문서와 ChatGPT 연결하기 - 전미정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10 851
1525 무료세미나 - [챗GPT 러닝데이 & MS 애저톤] 챗GPT에 날개를 달아줄 랭체인! (LangChain)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4.06 911
1524 정보자산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주목해야 할 것들 file 0 BaroPAM 2023.04.05 3047
1523 가상머신에서 하모니카를 사용할때 부팅시간이 너무 깁니다 9 0 심플1234 2023.04.02 1146
1522 챗GPT MS애저톤 file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3.31 1004
1521 앞으로 어떻게 되려고... 0 해중이 2023.03.31 976
1520 "2차 인증을 도입했다"는 것이 아니라 기술 및 보안성 등 "어떤 2차 인증을 도입했느냐"가 관건 file 0 BaroPAM 2023.03.31 3084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05 Next
/ 105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