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JE
조회 수 906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감사하게도 많이 도와주셔서 부팅까지 성공하고

윈도우와 멀티 부팅 설치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설치 화면에 윈도우를 두고 설치하는 옵션이 아예 뜨질 않아 수동 설치를 시도 중입니다. 

메모리 분할까지는 잘 되었는데

다시 하모니카 들어가서 설치하려고 보니 분할된 메모리는 보이는데 '사용 불가'라고 뜨네요.

이런 경우 멀티 부팅은 안 되는 거겠죠?

  • ?
    마이쮸가이 2022.01.16 15:40

    윈도우나 리눅스 같은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혹은 ssd)에 설치가 됩니다.

    이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 멀티 부팅으로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하나의 디스크를 용량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 혹은 복수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보통 윈도우가 설치된 컴퓨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파티션 나누어 만들어 주지 않았다면

    부팅영역의 파티션(UEFI)과 윈도우가 설치되는 파티션 같이 두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리눅스를 멀티로 이용하고자 시도할 때 리눅스를 설치할 공간은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 밖에 없기 때문에

    부팅영역 파티션,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 리눅스가 설치될 파티션으로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 파티션으로

    분할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리눅스가 설치될 파티션을 따로 만들어줘야 합니다.

     

    1. 리눅스 usb로 부팅을 하고 설치를 진행하며 나오는 설치 파티션 부분에서

        수동으로 파티션을 분할하여 리눅스가 설치될 공간을 만들어 주는 방법

    *** 파티션 분할에 익숙하지 않는 분에겐 어려움

     

    2. 윈도우로 부팅하고 바탕화면의 내컴퓨터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나오는 메뉴중 관리 부분을 선택하고

        나타난 관리창 목록에서 디스크관리를 선택 >> 파티션 크기 재설정을 실행해 리눅스가 설치될 공간(파티션)을

        만들어 주고 리눅스 usb로 부팅하고 설치시 새로 만들어진 공간을 선택해 주는 방법 

    *** 초보자 분들은 이 방법을 추천 드립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하셔요.

    링크 : https://ccm3.net/archives/23854

     

    위의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파티션을 만들어 설치해 주면 리눅스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 부팅영역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됨으로 컴퓨터를 재부팅 하면 

    리눅스와 윈도우를 선택해서 부팅 할 수 있는 목록이 나타납니다.

    이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부팅하시면 됩니다. :) 

     

    마지막으로 하모니카 설치에 관한 것은 아래 링크의 하모니카 설치 메뉴얼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링크 : https://hamonikr.org/board_manual#

     

     

      

  • ?
    JE 2022.01.16 16:11

    조언 감사합니다. 사실 2번째 방법을 3번 정도 시도해 보고 있는데 메모리 분할까지는 했는데 하모니카os로 부팅해서 들어가서 설치하려고 하면 도중에 분할해둔 메모리가 사용불가가 계속 뜨네요. 올려주신 링크를 참고해서 다시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많이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재팔 2022.01.19 07:27

    메모리 = SSD 라고 해석하고 보았습니다.

    일상적으로 메모리라 함은 DRAM 을 말하는 거고요 하드디스크 또는 SSD 는 저장장치로 얘기를 합니다.  메모리 분할 이라고 하시길래 보니 아마도 SSD 를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혹시나 해서 얘기하는데요.. 현재 사용중인 SSD 가 GPT 형식을 가지고 있나 확인 해 보세요.  MBR 형식으로 되어 있으면 하모니카 설치가 안되더군요.  저도 수차례 삽질하다가 알게된 부분입니다.  메뉴얼에 있는 내용이더군요.  만일  MBR 형식이라면 GPT 로 바꾸신 후 마이쮸가이 님이 언급하신 2번으로 다시 하시면 될겁니다.

     

  • ?
    JE 2022.01.22 12:42

    MBR형식입니다. 그래서 계속 안 됐나 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재팔 2022.01.24 06:15

    역시 그랬군요.  저도 1대만은 아직 하모니카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게 MBR 형식이라.....  윈도우랑 멀티 부팅을 해야 하는데 윈도우를 GPT 형식으로 옮기거나 아예 GPT 형식에 새로 설치를 해야 하는데 GPT 로 설치가 안되네요.

    오래된 모델이 아니면 바꾸는데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LGA775 보드에 E8400 CPU 를 가진 상당히 오래된 것도 GPT 로 설치되더군요.

    성공 하시길 바랍니다.

  • ?
    JE 2022.01.24 18:19

    컴퓨터를 잘 다룰 줄 몰라 어렵기는 하지만 주말에 날 잡고 시도해보겠습니다.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7435
706 교회에서 오픈소스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5835
705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통합 사무 환경 구축하기 5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5805
704 icecast로 인터넷 라디오 서버 구축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6961
703 교회 주보, 프리젠테이션 문서 만들기 0 행복한펭귄 2016.08.31 5857
702 xnViewMP 설치하기 3 0 string 2016.08.31 2536
701 리눅스로 그린오피스 구성하기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6017
700 컨테이너에 대한 언급이 종종 있더군요. 3 0 string 2016.08.25 6011
699 하모니카에 elasticsearch 설치 1 file 0 레인 2016.08.25 2639
698 [의견] 컨설팅을 도입했으면.... 1 0 행복한펭귄 2016.08.24 5763
697 SaaS를 잇는 소프트웨어의 다음 진화 단계 – Open Adoption Software 2 0 행복한펭귄 2016.08.24 5685
696 [질문] MS 파워셸, 맥OS-리눅스서도 쓴다고 하는데 그 의미는? 0 행복한펭귄 2016.08.23 5988
695 [진기명기]리눅스 서버가 단돈 5달러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3 5471
694 오픈소스 대명사 리눅스, 탄생 25돌 맞았다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3 5722
693 구글 퓨샤 2 0 string 2016.08.23 5748
692 윈도우와 리눅스의 파일공유 (NitroShare) 2 0 string 2016.08.23 3596
691 리눅스 시스템 전사적으로 도입하기 0 행복한펭귄 2016.08.21 5759
690 리눅스용 DLP, MDM 시스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21 5898
689 ★★★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회 ★★★ 0 행복한펭귄 2016.08.20 5490
688 한숨을 내쉬며... 5 0 식혜고양이 2016.08.18 6056
687 교회에서 사용하는 무료 찬양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 OpenLP 5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17 8656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