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1087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페도라 설치만 여러번 해보고 결국 윈도우로 돌아갔다가 리눅스 민트는 보다 쉽다고

해서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확실히 한글입력, 코덱만 처음에 깔려도 상당히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하더군요.


그런데 설치하는 와중에 root암호 설정하는 과정이 없었는데 초기암호가 자동으로

잡히는 것인지요? 과정을 차분하게 따라갔는데 root 암호 설정하는 과정이 분명히

없었던 것 같은데 설치하고 나니까 난감해 지는군요


설치 과정에서 root암호는 어디서 잡아줘야 하고 그냥 설치 했다면 어떻게 root로

접속할 수 있는지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rofile
    풀잎 2016.01.30 17:55

    root 암호는 사용자가 알아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root의 권한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터미널에서

    sudo su -

    해주시면 됩니다.

  • profile
    윙혼 2016.01.30 18:00

    헐 너무 빠르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이거저거 만지면서 놀고 있는데 이정도면 정말 접근성이 좋은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6394
2086 [질문] MAME 에뮬레이터에서 게임 즐기는 방법 알려주셈 6 file 0 행복한펭귄 2016.01.19 15665
2085 차기 버전에 들어갔으면 하는 패키지를 읽고 나서... 5 0 Fe 2016.01.21 7490
2084 내일 로사버전이 나오겠군요. 두근두근 하네요. 2 0 고스트 2016.01.24 7172
2083 하모니카 메인 화면 '덧글 모음' 링크가 잘못되었습니다 5 0 풀잎 2016.01.27 7997
2082 도와주세요... 6 0 승준2223 2016.01.25 9510
2081 오늘 배포된 로샤버전을 깔아봤습니다. 5 file 0 고스트 2016.01.25 8152
2080 로사설치 후 업데이트관리자에러... 8 file 0 프리 2016.01.25 10302
2079 VirtualBox 공유폴더 기능 바로 연결되네요. 1 file 0 legoboss 2016.01.26 8435
2078 오디지FX 사운드카드 활성화 9 file 0 CSY 2016.01.26 12472
2077 하모니카 관련 궁금한 사항 2 0 블루스 2016.01.26 7374
2076 사실 다른 리눅스를 쓰면 쓸 수록 하모니카의 고마움은 커지지요. 10 0 고스트 2016.01.26 10729
2075 [제안] 각 파트별 공헌자 모집 2 0 행복한펭귄 2016.01.28 10616
2074 [제안] 하모니카 리눅스 사용자 안내서 6 0 행복한펭귄 2016.01.28 11247
2073 우분투 16.04, 14.04 리눅스 커널 4.4 리그레션(회귀) USN-3392-1, USN-3392-2 0 la_Nube 2017.08.18 4556
2072 최소버젼으로 용량을 700mb 이하로도 주셨으면 3 0 kij 2016.01.29 12318
2071 하모니카 OS를 웹서비스 키오스크로 설정하기 file 0 하모니카 2016.01.20 12718
2070 [질문] 보안 연결 실패 에러 해결 방법 알려주세요.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1.30 13251
» 데스크탑 처럼 쓰려고 설치했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2 0 윙혼 2016.01.30 10870
2068 설치후 부팅시 모니터 화면이 검게 나옵니다 3 0 fkzl 2016.01.30 12790
2067 파일 브라우저 단축키 설정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4 file 0 윙혼 2016.01.31 977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