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황에서 PC 운영체계인 Windows 10과 Windows 서버의 보안 기준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조항을 삭제했다.
 
KISA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조항이 이용자 불편만 초래할 뿐 보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구글이 지난 해(2021년) 자사 서비스에 자동 활성화 시킨 2단계 인증을 통해 계정 해킹을 50% 줄였다고 구글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조만간 깃허브는 모든 리포지터리에 다중인증 접근 옵션을 적용할 것이라고 한다. 누구나 깃허브에서 활동을 하려면 두 번 이상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깃허브가 앞장서서 이런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여러 의미에서 대단하고 고무적이다.

 

아이덴티티와 접근 관리(IAM)과 같은 요소들은 공격과 방어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 공격자들이 1순위로 침해하려 하는 것이 바로 이 IAM이기 때문이다. 버라이즌의 데이터침해조사보고서(DBIR)에 따르면 89%의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이 크리덴셜 악용 때문에 벌어진다고 한다. 물론 접근 제어에 관한 다양한 표준들이 있어 상황이 좋아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 온전하지는 않다. 그래서 많은 해커들은 유유히 IAM에 접근하여 수많은 크리덴셜을 가져가고, 훔쳐간 크리덴셜로 버젓이 로그인을 한다.
 
우리는 낡고 새로운 기술이 복잡하게 얽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제 기능을 발휘하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IT 기능의 조화로운 공존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 맞는 표준과 정책을 제 때 수립해 적용하고, 모두가 지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깃허브처럼 조금 불편해질지라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 과감히 보안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실천 사항의 수위를 높이는 과감성도 필요하다.


다중인증의 적용방안은 모든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 또는 추가 인증(2차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다운로드.png

 

최근 재택근무가 빈번해지고 기업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SMS 기반 피싱 공격이 증가했다. 범죄자들 역시 피해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격을 감행한다. 직원 역시 고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안은 어렵고 적용하면 불편하다는 편견에 사로 잡혀 있는게 현실이며, 이런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외부의 해커 또는 내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정보자산에 접근하는 상황을 제한(정보자산의 우회/원격접속을 차단)하여 정보자산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최상의 보안전략으로 정보 보안은 단순해야 하며, 누구나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운영 및 관리도 간편하면서 보안성은 강하게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4 민트리눅스도 PPA를 안드로이드 방식으로 클릭만하면 설치되게 하면 좋을듯 합니다. 3 0 자유의지 2018.10.20 849
1073 재밌게 여자 만나는 방법 5 0 young1004 2018.03.02 849
1072 <질문> 하모니카 5.0 업데이트 도중 문제가 생겼는데요... 7 0 만화가엄두 2022.01.26 848
1071 korean linux 2 0 세벌 2020.06.26 848
1070 김프 2.10 3 0 엑스 2019.12.06 848
1069 하모니카에서 편집된 영상 공유합니다. 6 0 스피더 2019.07.03 848
1068 폭스 브라우저의 https everywhere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0 토탈워아틸라 2020.04.19 847
1067 입력기 두 개를 사용하는 방법있나요? (nimf+fcitx) 5 0 whale 2020.12.06 847
1066 소형 놋북 소장 하고 있는데 하모니카 OS 가 지원이 안되네요 ㅠㅠ 5 file 0 김광림 2020.06.21 847
1065 HamoniKR 에서 편집한 영상 2번째 공유합니다. 10 0 스피더 2019.08.01 847
1064 하모니카 스펠링? 1 0 세벌 2018.03.16 847
1063 정보] 무료서체 독립서체 입니다. 5 0 스피더 2019.07.11 846
1062 한대 뽐으로 갖구싶네요. 14 0 Ohnine 2018.04.08 846
1061 씨디 버닝 프로그램 추천 부탁합니다. 2 0 스피더 2019.07.08 845
1060 구정 연휴 즐겁게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들 받으세요 3 0 재팔 2019.02.03 845
1059 https://github.com/alerighi/tetris 에서 다운로드 받은 게임의 설치 및 실행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6 file 0 잘몰라요. 2020.12.02 844
1058 1112번 질문에 이은 질문. 12 file 0 haseungwun 2021.10.23 843
1057 질문] 하모니카로 서버 구축관련 2 0 스피더 2019.06.16 843
1056 [잡담] "초중학생 SW교육 필요할까"…토크콘서트 2 0 행복한펭귄 2018.05.14 843
1055 영상의 장난? 마술인가? 0 보라짱 2018.02.21 843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