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859
어제:
3,206
전체:
3,767,347

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황에서 PC 운영체계인 Windows 10과 Windows 서버의 보안 기준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조항을 삭제했다.
 
KISA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조항이 이용자 불편만 초래할 뿐 보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구글이 지난 해(2021년) 자사 서비스에 자동 활성화 시킨 2단계 인증을 통해 계정 해킹을 50% 줄였다고 구글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조만간 깃허브는 모든 리포지터리에 다중인증 접근 옵션을 적용할 것이라고 한다. 누구나 깃허브에서 활동을 하려면 두 번 이상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깃허브가 앞장서서 이런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여러 의미에서 대단하고 고무적이다.

 

아이덴티티와 접근 관리(IAM)과 같은 요소들은 공격과 방어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 공격자들이 1순위로 침해하려 하는 것이 바로 이 IAM이기 때문이다. 버라이즌의 데이터침해조사보고서(DBIR)에 따르면 89%의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이 크리덴셜 악용 때문에 벌어진다고 한다. 물론 접근 제어에 관한 다양한 표준들이 있어 상황이 좋아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 온전하지는 않다. 그래서 많은 해커들은 유유히 IAM에 접근하여 수많은 크리덴셜을 가져가고, 훔쳐간 크리덴셜로 버젓이 로그인을 한다.
 
우리는 낡고 새로운 기술이 복잡하게 얽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제 기능을 발휘하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IT 기능의 조화로운 공존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 맞는 표준과 정책을 제 때 수립해 적용하고, 모두가 지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깃허브처럼 조금 불편해질지라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 과감히 보안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실천 사항의 수위를 높이는 과감성도 필요하다.


다중인증의 적용방안은 모든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 또는 추가 인증(2차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다운로드.png

 

최근 재택근무가 빈번해지고 기업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SMS 기반 피싱 공격이 증가했다. 범죄자들 역시 피해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격을 감행한다. 직원 역시 고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안은 어렵고 적용하면 불편하다는 편견에 사로 잡혀 있는게 현실이며, 이런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외부의 해커 또는 내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정보자산에 접근하는 상황을 제한(정보자산의 우회/원격접속을 차단)하여 정보자산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최상의 보안전략으로 정보 보안은 단순해야 하며, 누구나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운영 및 관리도 간편하면서 보안성은 강하게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8 내가 닮고 싶은 사람 1 1 다찌마와 2024.01.19 1137
1797 [★고용노동부 5년인증 우수훈련기관] 전액국비지원 IT 전문가 양성 모집 0 아이티윌부산 2024.01.19 836
1796 현실 10대 vs 영화 속 10대 file 1 닝니니 2024.01.18 1414
1795 머리 좋은 사람 1 0 다찌마와 2024.01.18 879
1794 요즘 노트북 추천 좀 부탁해요 0 용소야 2024.01.18 921
1793 아쿠아 플레이어는 아직 사용이 불가한가요? 1 0 군바리2 2024.01.17 1555
1792 윈도우 업데이트 1 0 다찌마와 2024.01.17 954
1791 MSI 노트북 호환성 문제 3 0 오타마왈 2024.01.17 969
1790 하모니카 7.0 에서 시작에 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 4 0 새벽별빛 2024.01.14 1039
1789 불타는 금요일 2 0 다찌마와 2024.01.12 870
1788 고향이 경상도권이라 그런지.. file 0 재여이 2024.01.12 925
1787 외장하드 때문에 0 다찌마와 2024.01.12 982
1786 [딥러닝러닝데이] AutoML을 활용한 모델 탐색-서호건 file 0 인공지능팩토리1 2024.01.11 855
1785 새해목표 0 다찌마와 2024.01.10 822
1784 [★고용노동부 5년인증 우수훈련기관] 전액국비지원 기업형 실무 인재 양성 자바웹개발자 과정! 0 아이티윌부산 2024.01.09 946
1783 비밀번호를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 솔루션으로 대체 했을 때 이점 1 file 1 BaroPAM 2024.01.07 2640
1782 윈도우에서 부트리페어 하니 하모니커 사라졌어요. 5 0 자유의지 2024.01.07 1077
1781 시작들 잘 하시나요? 0 용소야 2024.01.06 789
1780 [랭체인러닝데이] 개인 데이터셋을 통한 llama2 fine-tune - 최재혁 file 0 인공지능팩토리1 2024.01.05 920
1779 이제 다시 1 0 다찌마와 2024.01.05 87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05 Next
/ 105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