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683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모니카5.0 사용해보니 사용하기 편하게 발전을 했네요.

맘에 듭니다.

이 것 저 것 해보니 잘 만드셨어요.

 

롤리팝에서 MP3 폴더를 추가하고 싶은데 , 

사용법을 모르는 건지, 아님 기능이 없는 건지 답답하네요. 

 

  • profile
    Kevin 2022.07.24 18:05
    아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https://docs.hamonikr.org/hamonikr/tips/lollypop#lollypop
  • ?
    acrix 2022.07.24 20:53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빨리 댓글이 달릴줄 몰랐습니다.

    롤리팝 사용설명서가 있었네요. 찾아본다고 했는데도 못 봤었네요.

    참고할게요

  • ?
    마이쮸가이 2022.07.24 18:51

    롤리팝 실행 후 상단에 아이콘 중 점 3개를 클릭 설정창을 불러 옵니다.

    기본설정 클릭 >> 상단에 있는 음악 클릭 >> 컬렉션 부분에서 MP3 폴더 지정 (목록에 없으면 기타 클릭 후 지정)

    하면 폴더 내에 모든 음악 파일이 등록 됩니다.

     

    + 아이콘을 눌러서 컬렉션 주소를 새로 추가 지정하셔도 좋고 이미 지정된 폴더에 새로 음악 파일을 추가하면

    롤리팝 실행 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저는 음악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컨트롤 + 마우스 클릭이나 마우스로 드레그 후 우클릭 >> 롤리팝 실행으로

    원하는 목록의 음악재생을 하는 편 입니다. :)

     

    롤리팝은 등록 된 음원을 앨범, 아티스트 등등의 단위로 구분되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좀 불편한데

    혹여 예전 윈엠프 스타일의 폴더기반 플레이를 원하시면 터미널을 열고

     

    sudo apt install audacious        엔터해 오데이셔스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
    acrix 2022.07.24 20:55

    감사합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모니카 처음 나왔을 때엔 많이 어설펐는데, 지금은 아니네요.

    덕분에 롤리팝 잘 사용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

    저는 strawberry player 추천드립니다.

    한글 지원도 되고, 라이브러리 기능도 괜찮아서 하모니카에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strawberrymusicplayer.org/

     

    설치는 터미널에서

     

    add-apt-repository ppa:jonaski/strawberry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trawberry

     

    명령어 세 개 입력하시면 됩니다.

    screenshot-014-large.png

     

  • ?
    acrix 2022.07.24 20:57

    이 거는 사용해보지 않았는데요.

    사용 해 볼게요.

    감사합니다.

    지금은 서브컴에 하모니카만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사용할 수록 매력적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5 아치리눅스 설치 방법입니다. 4 0 K-Lint.net 2021.08.17 7888
834 리눅스 음악 재생시 리샘플링과 기본 샘플링 등등 설정 하는법 1 0 K-Lint.net 2021.08.19 1825
833 홈 파티션의 .cache 디렉토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6 0 블랙커피 2021.08.30 1708
832 문의합니다. 4 file 0 haseungwun 2021.08.23 2216
831 KT인터넷 linuxmint 포럼 접속 불가 7 0 tawaki 2021.08.23 3004
830 데비안에서 virtualbox 버추얼 박스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2 0 K-Lint.net 2021.09.01 853
829 kime 설치 문의입니다. 9 0 잘몰라요. 2021.08.23 3787
828 오픈소스 할 까닭이 전혀 없는 이유 10 file 0 asdfee150 2021.08.26 1469
827 pyqt5 에서 한글 입력 하는 법.. 9 0 whale 2021.08.26 2429
826 [무료LIVE IT컨퍼런스] 캐치#개발자 커리어 콘 3회차 오픈! (9.6~9.10) 4 file 0 캐치 2021.09.01 1258
825 리눅스 설치 질문입니다. 5 0 웅꿍 2021.09.03 853
824 하모니카 사용중에 6 0 haseungwun 2021.09.07 741
823 문의합니다. 7 file 0 haseungwun 2021.09.22 693
822 ME 1.4와 4.0 JIN의 차이점이 뭔가요? 2 0 대연림 2021.09.23 682
821 바이러스 백신 설치문제. 3 file 0 haseungwun 2021.09.24 779
820 그동안 사용해본 리눅스 배포판 5 0 K-Lint.net 2021.09.25 881
819 아톰CPU 하모니카 4.0 설치 후기 6 0 대연림 2021.09.25 945
818 저사양 노트북 HamoniKR 4.0 JIN 64bit 설치 후기 2 file 0 하모니캅 2021.09.26 881
817 LXDE와 LXQT가 은근히 반응속도 차이가 있군요 0 Moordev 2021.09.28 787
816 Clonezilla(클론질라) 복원 방법 문의입니다. 0 잘몰라요. 2021.09.29 727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