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9065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금 생각하고 있는 건 윈도우 환경에서 하모니카가 깔린 컴퓨터로 원격접속 하고 싶습니다.


가능하면 윈도서버에 원격접속 하듯이, 한 계정이라면 같은 창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즉, 주분투 모습의 원격접속이 아닌 원래 계정의 데스크톱 환경을 보고 싶습니다.)

(아마 음... 같은 화면을 보고 싶다고 하면 이해가 빠르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렇게 원격접속 설정을 할 수 있을까요?


지금 xrdp를 사용해서 구성하려고 했으나 계속 막힙니다. 고수님들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rofile
    풀잎 2016.02.07 15:46
    VNC 서버를 리눅스에 설치하시고, Windows 에서 VNC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 ?
    KEPLER@ 2016.02.07 19:20

    혹시 xrdp류를 사용하여 윈도우즈 환경에서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 profile
    풀잎 2016.02.08 10:50

    ls -al /usr/share/xsessions/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세션을 확인하세요.

    ubuntu-2d 또는 gnome-classic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홈 디렉토리 아래에 .xsession 파일을 만듭니다.

    pluma ~/.xsession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gnome-session --session=ubuntu-2d


    사용 가능한 세션이 gnome-classic인 경우

    gnome-session --session=gnome-classic

    을 입력해 주세요.


    sudo service xrdp restart

    하시면 완료됩니다. 

  • profile
    풀잎 2016.02.07 21:05

    http://www.cmsfactory.net/node/10252

    위 링크대로 따라해 보세요.

    하모니카는 Ubuntu 기반이니까, yum 대신 apt를 사용하세요.

  • profile
    Sound:D 2016.02.08 01:11

    댓글에서 "윈도우즈 환경에서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이라 하셔서

    제가 요즘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어떨지 한번 추천해보아요


    저는 Teamviewer로 원격을 가끔 사용해왔었습니다.

    얼마전부턴가 리눅스 버전을 지원해서 써보았습니다.


    원격 대상이 되는 쪽에서는 꾸러미파일로는 잘 안되어 압축되어있는 파일로 하니 잘 되었구요.


    접속하는 윈도우쪽에서는 실행하시고 "실행만" 선택하셔서 하시면 다른 설치 없이 실행 됩니다


    링크 올려드립니다.

    https://www.teamviewer.com/ko/



  • ?
    KEPLER@ 2016.02.10 15:08

    많은 분들 댓글 감사합니다!

    일단 기록용으로 댓글 남깁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서 xrdp를 구성하였습니다.

    http://comnori.blogspot.kr/2014/11/linux-mint-17-qiana-xrdp-settings.html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6700
586 네이버 웨일 개발팀 일 좀 하시네요. 짝짝짝 네이버 사이트 시안성 버그 픽스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3.02.15 800
585 인텔, 멜트다운과 스펙터 잇는 또 다른 취약점 발견 5 0 la_Nube(누베) 2018.06.15 799
584 [보안] 우분투 레포지토리에서 인텔 마이크로코드 업데이트 갱신 지원 file 0 행복한펭귄 2018.04.01 799
583 하모니카 6.0 블루투스 마우스 인식이 안됩니다. 2 0 레프 2022.11.30 798
582 사지방에서의 하모니카 사용에 있어서 SSH 접속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0 jay001 2023.05.29 797
581 리눅스에서 롤을 설치할때 유용한 툴이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쓰는지 잘모르곘네요. 1 file 0 라루미 2022.08.16 797
580 데비안 패키지 프로그램여는 프로그램 설치 존재 여부 3 file 0 dh 2020.07.01 796
579 우분투 16.04.5 LTS 시리즈 공식 발표 3 0 행복한펭귄 2018.08.03 796
578 vm 하모니카 설치 1 file 0 dh 2020.07.01 795
577 Trinity 데스크탑 환경 배경화면 사라짐 0 6Gelemen 2020.03.07 795
576 chromebook에서도, linux package가 지원된다네요! 3 0 식혜고양이 2018.08.13 795
575 하모니카 5.0 배포판의 기본 커널 버젼을 5.18 이상으로 패키징 하면 어떨까요 2 0 Japser 2022.08.24 794
574 우분투에서 와인 깔다가 막혔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 file 0 라루미 2022.03.14 794
573 LibreOffice 6.0.6 (6.1) Office 발표 3 0 행복한펭귄 2018.08.03 794
572 하모니카 쓰는데 얼마나 걸릴 까요? 1 0 gsad 2023.06.15 793
571 하모니카5.0 도움말에 있는 전자칠판 다운로더가 안됩니다 확인 바랍니다. 1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1.11.17 793
570 현재 하모니카1.3버전은 64비트 맞죠? 1 0 ddpp2 2019.08.22 792
569 우분투 18.04와 16.04 그리고 17.10 소식 with 리눅스민트 1 0 la_Nube(누베) 2018.07.09 792
568 linux에 airdrop 같은 기능이 있나요~? 3 0 식혜고양이 2018.02.21 792
567 리눅스에서 하드 배드섹터 등을 검사하는 문제 3 file 0 관우 2019.04.14 792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