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사이버 보안이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만큼 정보 보안 산업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황에서 PC 운영체계인 Windows 10과 Windows 서버의 보안 기준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조항을 삭제했다.
 
KISA의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조항이 이용자 불편만 초래할 뿐 보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약하다고 밝혔다.
 
구글이 지난 해(2021년) 자사 서비스에 자동 활성화 시킨 2단계 인증을 통해 계정 해킹을 50% 줄였다고 구글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최근 재택근무가 빈번해지고 기업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SMS 기반 피싱 공격이 증가했다. 범죄자들 역시 피해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격을 감행한다. 직원 역시 고객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쯤이면 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 때문에 짜증이 나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나온 정책’의 폐해를 드러내는 사례다.

 

20220918_053234.png

 



비밀번호를 강력히 해야 한다는 표면의 내용만을 가지고 사용자들에게 모든 부담을 전가하는 게 바로 이 ‘과도하게 복잡한 비밀번호 생성 규칙’이고, 사실 보안에 유의미한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SMS 통한 인증코드 전달하는 방식을 본인이 직접 인증코드를 생성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대체 또는 추가 인증(2차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적용 방안(추가 인증, 비밀번호 대체, 새로운 비밀번호)이 필요하다.



20220918_053234.png

 

정보자산의 비밀번호 만으로는 결코 안전하지 않으며, 비밀번호를 매번 사용할 때마다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솔루션으로 대체 했을 때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비밀번호 단방향 암호화 불필요.
2. 비밀번호 관리지침 적용 불필요.
3.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음.

4. 비밀번호 / 리셋 증후군에서 해방.
5. 사용자 정보 유출 되어도 로그인 불가능.
6. 비밀번호 도용 및 불법접속 불가능.
7. 중간자 공격에도 안전.
8. 비밀번호 분실 및 도용 등에 따른 초기화 불필요.
9.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지원.
 
"정적인 비밀번호, 서명, 사인, 지문, 안면, 홍체 등과 같은 패턴과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정적인 보안의 시대는 끝났고, 이젠 정적인 보안이 아닌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의 시대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4 챗gpt 잘 활용하시는분? 0 해중이 2023.03.18 725
1513 하모니카 멀티부팅 재 질문 1 file 0 os꼬엿다.. 2023.03.16 566
1512 요즘 챗GPT 쓰는 재미에 풀 빠졌네요. 0 재여이 2023.03.16 948
1511 듀얼부팅 오류... 살려주세요.. 1 file 0 os꼬엿다.. 2023.03.16 616
1510 하모니kr을 AI에게 물어보았다. 1 0 박종도 2023.03.15 731
1509 [★고용노동부 5년인증 우수훈련기관] K-디지털트레이닝 신기술 IT 실무 인재 양성 모집 0 아이티윌부산 2023.03.14 488
1508 ai가 이정도라고 한다면 참 앞으로 기대가 크네요 1 0 leaveoiop 2023.03.10 667
1507 다시봐도 이해가 쉽게 안되는 사진 file 0 재여이 2023.03.10 671
1506 ubuntu 18.04 포트 오픈이 안됩니다. 11 file 0 Blue_Sky 2023.03.09 574
1505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 문제로 인한 USB 부팅디스크 미인식 문제 도움 부탁드립니다 3 0 illliiiiiili 2023.03.05 755
1504 "AI가 날 자르라고 지목했다" 구글서 잘린 직원들 폭로에 대해 1 0 나나슈 2023.03.01 850
1503 제2회 ETRI 휴먼이해 인공지능 논문경진대회 ~ 4월 14일 (금) 8시 접수 마감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2.28 501
1502 영상편집 하려고 file 0 재여이 2023.09.27 603
1501 뒷북이지만 Chat GPT 1 0 maama 2023.02.27 660
1500 알뜰교통카드 혜택 엄청나네요 0 나나슈 2023.02.25 629
1499 챗gpt 1 0 해중이 2023.02.25 743
1498 벌써 2월이 끝나가고... 봄이 0 닝니니 2023.02.23 562
1497 [한컴아카데미/마감임박] SW 개발자 채용연계 부트캠프 교육생 모집 (~02/28) file 0 한컴아카데미 2023.02.23 563
1496 챗gpt의 한계? 0 닝니니 2023.03.27 560
1495 AI 로봇 어떻게 생각하세요? 0 잘몰라요. 2023.03.26 693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