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2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커들은 피해자 PC에 초기 침투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 ▲악성메일 ▲웹사이트에 특정 페이지에 악성코드를 심어두는 '워터링홀' 등 잘 알려진 공격기법을 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해커들은 피해자 PC에 초기 침투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 ▲악성메일 ▲웹사이트에 특정 페이지에 악성코드를 심어두는 '워터링홀' 등 잘 알려진 공격기법을 주로 활용한다.

 

 

그 중 가장 많이 이용한 것은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이다. MS익스체인지·오라클 웹로직·아파치 등 응용 소프트웨어의 보안 정책에서의 결함이나 시스템 개발에서의 눈에 띄지 않는 취약점을 공격하는 방법이다.

그 중 가장 많이 이용한 것은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이다. MS익스체인지·오라클 웹로직·아파치 등 응용 소프트웨어의 보안 정책에서의 결함이나 시스템 개발에서의 눈에 띄지 않는 취약점을 공격하는 방법이다.

현재는 널리 사용하고 있어 그만큼 보안이 중요 하지만 Tomcat의 버그, 보안 취약점 등 설계상 결함을 이용해 공격자의 의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절차나 일련의 명령, 스크립트, 프로그램 또는 특정한 데이터 조각을 사용한 공격 행위를 이르기도 한다. 

이러한 취약점 공격(Exploit) 원인은 Tomcat의 디폴트 설정에 영향을 주며, 따라서 많은 서버들이 현재 취약점에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사용자들이 디폴트 설정을 잘 바꾸지 않기 때문이다. 이 말은 많은 서버들이 현재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최근에는 Tomcat의 취약점을 노린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공격자가 취약점을 악용하여 취약한 서버에서 악성코드를 실행하고 제어권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취약점을 방치해둔 상태로 운영하게 된다면 취약점을 공격해 악성코드를 실행하여 악성코드 유포 및 운영 서버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데이터가 약탈되는 등 다양한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 관리자 콘솔 취약점

 

- Tomcat은 Web 환경의 관리자 콘솔을 제공함.

- 관리자 콘솔이 외부로부터 침해되는 경우 Web에 관련된 모든 권한을 누출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주의해야 함.

- 관리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가 쉽게 인지 가능하거나 유추로 인해 접근 되어지는 경우에는 취약함.

- 관리자 인증 시 사용하는 Username/Password가 암호화 되지 않은 원문(평문)으로 저장

(tomcat-users.xml) 되어 있어서 보안에 취약함.

 

예) tomcat-users.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tomcat-users xmlns="http://tomcat.apache.org/xml"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tomcat.apache.org/xml tomcat-users.xsd"

version="1.0">

 

<role rolename="tomcat"/>

<role rolename="role1"/>

<role rolename="manager-gui"/>

<user username="tomcat" password="tomcat" roles="tomcat,manager-gui"/>

 

</tomcat-users>

Tomcat 관리자 콘솔의 로그인 시 사용하는 Username/Password는 "tomcat-users.xml" 파일에 암호화 되지 않는 원문인 평문으로 저장되어 있어서 보안에 그만큼 취약하다.

 

 

 

일회용 인증키 생성 주기가 30초 이면 30초 마다 일회용 인증키가 바뀌기 때문에 고정된 비밀번호와 결합하면 일회용 인증키 생성 주기 마다 새로운 비밀번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고전적 방법인 주기적으로 Tomcat 관리자 콘솔의 비밀번호를 바꿀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2-factor 인증 솔루션이 적용되어 있다면 비밀번호 입력란에 고정된 비밀번호만 입력하는 경우 Tomcat 관리자 콘솔에 로그인을 할 수 없게 된다.

Tomcat 콘솔 로그인 화면에서 비밀번호를 먼저 입력하고 공백 없이 이어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tomcat" 이고, 일회용 인증키가 "195921" 이라면 "tomcat195921"으로 입력한다.

 

 

 

20230523_083925.png

 

 

 

설령, Tomcat 콘솔 로그인 정보인 Username/Password가 유출 되어도 일회용 인증키 생성 주기가 30초 이면 30초 마다 일회용 인증키가 바뀌기 때문에 고정된 비밀번호와 결합하면 일회용 인증키 생성 주기 마다 새로운 비밀번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고전적 방법인 주기적으로 Tomcat 관리자 콘솔의 비밀번호를 바꿀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2-factor 인증 솔루션이 적용되어 있다면 비밀번호 입력란에 고정된 비밀번호만 입력하는 경우 비밀번호 뒤에 덧붙인 일회용 인증키를 유추할 수 없어서 Tomcat 관리자 콘솔에 로그인을 할 수 없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질문]데비안에서 와콤 타블릿 사용시 디스플레이가 안되네요 0 바람곰돌 2019.06.15 910
351 질문] 하모니카 한글 입력기 초기화 6 0 스피더 2019.06.13 990
350 open365 사이트 접속 되나요? 0 아리수진 2019.06.13 787
349 크롬에서 나오는 현상 캡처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파일 올림 7 file 0 세벌 2019.06.12 986
348 상호 존중 그리고 공공재에 대한 몇가지 의문 12 0 아리수진 2019.06.12 1984
347 내가 꿈꾸는 세상 1 0 세벌 2019.06.11 699
346 호동님 행위에 단호한 교훈이 필요합니다. 28 0 아리수진 2019.06.11 7884
345 하모니카 분위기가... 3 0 세벌 2019.06.10 1033
344 썩어빠진 한국 리눅스 커뮤니티 7 0 김호동 2019.06.10 5447
343 아리수진(emptynote)님 오픈소스 사랑하시는 분이 오픈소스를 위해 뭘 하셨습니까 0 김호동 2019.06.10 1727
342 하모니카 프로젝트의 도덕성에 대해 묻습니다. 1 0 김호동 2019.06.10 978
341 리눅스에서 대쉬보드 사용할려면 1 0 재팔 2019.06.09 669
340 만자로, MX중 뭐가 괜찮을까요? 10 0 Jill 2019.06.08 1824
339 제14회 취업콘서트 안내 1 file 0 IT뱅크 2019.06.07 759
338 우분투랑 하모니카 써봣는데 괜찮네요 9 0 한국사람 2019.06.04 1123
337 리눅스 자동 펌웨어 서비스 써보신 분 계세요? 1 0 GraZrani 2019.06.02 740
336 oss.kr 열리나요? 2 0 세벌 2019.06.01 794
335 가상os성능에 영향을 주는것들이 어떤게 있나요 1 0 가벼운게최고 2019.05.29 753
334 wav 나누기 한방에 안되까요? 3 0 GraZrani 2019.05.24 1306
333 [뉴스] Antergos 리눅스 배포판 중단 소식 1 0 행복한펭귄 2019.05.24 878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