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5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갈수록 정교해지는 클라우드 인프라 공격’이다. 아마존(Amazo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구글(Google) 등에 대한 클라우드 인프라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다중인증(MFA), 프록시 침투, API 실행을 활용한 더욱 정교한 공격이 지속되고 있지만, 가장 흔한 공격 기법은 유효한 계정을 악용하는 것이다. 이 같은 공격은 다른 공격 기법보다 2배 더 많이 탐지되고 있다. 특히, 원격근무 환경에서 사용자 계정의 비정상적인 접근은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날로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다중인증(MFA)의 인증키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인증키 생성매체를 사용해서 본인 직접 인증키를 생성하여 본인이 직접 입력해야 그나마 보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20230618_172325.png

 

현재 발생하고 있는 보안 사고는 SMS나 이메일 같은 문자기반 인증 또는 서비스 채널과 인증 채널이 분리되어 있는 다중인중(MFA) 중 2채널 방식의 인증이 사이버 범죄의 1순위이다.

요즘들어, 사이버 공격자들은 휴면 계정을 이용하면 공격자가 다중인증(MFA) 마음대로 발급받을 수 있다. 맨디언트가 조사한 솔라윈즈 공급망 공격 그룹 APT29의 공격 방법 중 하나가, 휴면계정을 이용해 다중인증(MFA)을 자체 등록한 것이었다. 조직에서 처음 다중인증(MFA)을 시행할 때 첫 번째 다중인증(MFA) 장치를 등록할 수 있는데, 다중인증(MFA)을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알고 있으면 모든 위치와 장치에서 계정에 액세스 해 다중인증(MFA)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우버를 해킹한 공격자는 의도적으로 로그인 실패를 반복한 후 기술부서를 사칭해 인증을 허락해 달라고 요청해 다중인증(MFA)의 우회기술을 이용하여 이중인증을 피했다. 유사한 방법으로 다중인증(MFA) 피로 공격도 있다. 공격자는 다중인증(MFA)을 실패하게 해 사용자 본인에게 계속 알람이 울리도록 한다. 피해자는 계속 울리는 알람에 귀찮아서, 혹은 실수로 접근을 허용해 다중인증(MFA) 우회 공격에 당할 수 있다.

20230618_172325.png

 

아직도 이런 다중인증(MFA)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1) 다중인증(MFA) 중 해커들의 가장 좋아하는 적용 방식: Gateway(+Proxy) 방식
2) 다중인증(MFA) 중 가장 취약한 인증 방식: SMS, 이메일 등 문자기반의 인증
3) 다중인증(MFA) 중 해커들이 가장 애용하는 우회 기술과 피로공격에 취약한 인증 방식: 2 채널 인증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다중인증의 기본적인 사항

-우회접속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원격접속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중간자 공격을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다중인증(MFA)의 우회기술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다중인증(MFA)의 피로공격을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날로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보안 대책으로 기존의 지식기반 인증(ID/비밀번호)과 소유기반 인증(일회용 인증키)에 지문이나 안면 같은 사람의 고유한 특징인 생체인식을 통해 인증하는 속성기반 인증을 추가한 3단계 인증체계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에 최적화된 방안이다.

 

20230618_172325.png

 

결론은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다"는 것이 아니라 기술 및 보안성 등 "어떤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느냐"가 관건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4 몇번 헤 봄 요상하네여 7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7 658
1153 하모니카 사용중 질문 1 0 재팔 2021.12.17 626
1152 1159에 이어.. 2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7 589
1151 저 또 질문요... 1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6 615
1150 제가 궁금한 건......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5 578
1149 1154 글의 댓글에 대한 답 2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4 581
1148 1153에 이어서.. 1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3 638
1147 1147 댓글에 대한 질문 2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12 685
1146 안녕하세요 하모니카 5.0 관련문의드림니다 2 0 Might35 2021.12.15 652
1145 한컴 2022 렉 걸리는 증상 해결법! 4 0 whale 2021.12.11 5834
1144 하모니카 실행시 Wifi 연결 관련 질문 2 0 재팔 2021.12.11 735
1143 안녕하세요 하모나이즈 관련문의드림니다. 3 0 Might35 2021.12.08 587
1142 파이썬 1 0 해중이 2021.12.08 692
1141 바탕화면 3 file 0 liberta 2021.12.06 1121
1140 1146에 이어.. 1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05 687
1139 안녕하세요.. 1 0 뇌성마비중증입니다 2021.12.04 694
1138 tar 명령어로 하모니카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2 0 리눅스_걸음마 2021.12.02 649
1137 안녕하세요 CPU호환관련문의드림니다. 4 0 Might35 2021.12.02 678
1136 이곳이 위험 사이트로 분류가 됩니다. 2 0 재팔 2021.12.02 834
1135 R 4.1.2 어떻게 해야 설치할 수 있지는 궁금합니다. 2 0 리눅스_걸음마 2021.12.01 700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