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072
어제:
3,206
전체:
3,767,560

자유게시판

결론은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다"는 것이 아니라 기술 및 보안성 등 "어떤 다중인증(MFA)을 도입했느냐"가 관건.
 
사용자들은 다른 형태의 인증 방식으로 본인의 데이터가 안전한지 확인하려고 한다. 약 50%의 소비자는 소셜 로그인, 40%의 소비자는 다중인증(MFA)을 선호한다.
 
의외로 생체인식 방식은 다중인증(MFA)보다 선호도가 낮은 세 번째 옵션으로, 20% 정도의 지지를 받았다.
 
장 사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생체인증을 승인한 응답자는 15%가 채 되지 않았다.
 

다운로드 (2).png

 


다중인증(MFA) 우회 공격 키트 사용 피싱, 매월 100만건 발견되는 등 날로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다중인증(MFA)의 인증키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인증키 생성매체를 사용해서 본인 직접 인증키를 생성하여 본인이 직접 입력해야 그나마 보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운로드.png


참고로 Gateway 방식의 다중인증(MFA)을 사용하는 것은 해커들이 너무도 좋아하는 우회/원격 접속, 중간자 공격이 가능한 솔루션으로 보안 전문가들은 이런 분류의 솔루션은 보안 솔루션으로 취급하지도 않는다.
 
도래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는 망분리 의미가 없어 진다. 지금은 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대인 것 같다.
 

다운로드 (1).png

 


특히 다중인증(MFA) 중 SMS, 이메일 등 문자기반 인증 및 휴대폰으로 인증 확인 요청이나 인증키를 전송하는 방식이나 전송된 인증키를 요구하는 것은 사이버 범죄의 1순위로 이것만 개선해도 미연에 정보보안 사고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책이다.
 
아직도 이런 다중인증(MFA)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1) 다중인증(MFA) 중 해커들의 가장 좋아하는 적용 방식: Gateway(+Proxy) 방식
2) 다중인증(MFA) 중 가장 취약한 인증 방식: SMS, 이메일 등 문자기반의 인증
3) 다중인증(MFA) 중 해커들이 가장 애용하는 우회 기술과 피로공격에 취약한 인증 방식: 2 채널 인증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다중인증(MFA)의 기본적인 사항

-우회접속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원격접속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중간자 공격을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다중인증(MFA)의 우회기술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다중인증(MFA)의 피로공격을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과거 강력한 보안시스템을 자랑하는 글로벌 기업들조차 내부 직원들의 계정 관리 허점을 타고 들어오는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다.
 
요즘 보안의 핫이슈인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는 아주 믿을만한 직원의 계정이라도 시스템마다 접근 권한을 달리 부여하고, 실제 접근이 이뤄질 때마다 상대를 검증하는 보안 모델로 날로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보안 대책으로 꼽히고 있다.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 = "아무도 믿지 마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8 리눅스의 장점이 있겠으나 단점을 커버하는데 더 집중해야한다 0 뚜뚜월드 2024.11.23 422
2017 [리알못 특집] 하모니카를 컨츄리뷰션~~~~~~~~~~~~~~세이 호!~~~ 0 뚜뚜월드 2024.11.23 421
2016 하모니카 단축키 1 file 0 뚜뚜월드 2024.11.22 479
2015 속도 최적화 및 디스크 정리 0 뚜뚜월드 2024.11.22 412
2014 공부 0 다찌마와 2024.11.22 432
2013 리눅스 버전확인 명령어 & 하모니카 역사 족적을 따라가기 0 뚜뚜월드 2024.11.22 423
2012 Windows 대체 소프트웨어 0 뚜뚜월드 2024.11.22 548
2011 Linux in 100 Seconds 0 뚜뚜월드 2024.11.22 420
2010 [세상만사] 하도 뭐라고 하니까 조심하는 행동도 언급에서 티가 나는건데.... 0 뚜뚜월드 2024.11.22 384
2009 운영체제나 IT 관련해서 사람들 자기주장하고 맞지않으면...날이 서있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됨 0 뚜뚜월드 2024.11.22 361
2008 리눅스일기..... Linux/소프트웨어 0 뚜뚜월드 2024.11.22 403
2007 리눅스 소프트웨어 매니저가 쩌는 이유 0 뚜뚜월드 2024.11.22 447
2006 리눅스 터미널 설치가 나은 이유 & 멀티미디어 코덱설치 feat. 유튜브 깨지는 소리 file 0 뚜뚜월드 2024.11.22 430
2005 리눅스 운영체제와 관련 응용소프트웨어들이 집중해야하는 부분 0 뚜뚜월드 2024.11.22 364
2004 루트리스 런처 응답없음 상태로 자주 빠지는 문제 0 뚜뚜월드 2024.11.22 358
2003 [터미널을 뚫어라] 자 이번에는 리눅스에서 국민게임런처 스팀을 설치해보자! 1 file 0 뚜뚜월드 2024.11.22 409
2002 [하모니카] 게임에 진심 feat. 배틀넷 설치 리눅스에서 하는법 file 0 뚜뚜월드 2024.11.22 563
2001 하모니카 터미널 "관리자 권한" file 0 뚜뚜월드 2024.11.22 448
2000 [운영체제를 알지못하는 진심 ] os 실험실 " 화면녹화편" 0 뚜뚜월드 2024.11.22 380
1999 스크린캡쳐 문제 2 0 뚜뚜월드 2024.11.22 35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