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19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구형 컴퓨터에 하모니카를 설치해 거실의 공용 인터넷 컴퓨터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오래된 컴퓨터라 그런지 설치때부터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를 않더라구요.

설치 USB로 부팅시 처음 옵션으로는 모니터에서 신호를 잡지 못하고, safe graphics 모드로는 제대로 실행되어 설치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설치 후에는 그런 옵션 자체가 없어서, 부팅 후 무조건 모니터에서 신호를 잡지 못하고 검은 화면만 나오네요.

 

혹시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대충 사양은

AMD 페넘 2 X4 945

기가바이트 GA-880GM-D2H

그래픽은 메인보드 880G 내장인 라데온 4250 입니다.

램은 8기가, 120기가 SSD를 장착했습니다.

모니터와는 HDMI로 메인보드 내장그래픽 포트를 이용해 연결하였습니다.

  • ?
    Moordev 2024.03.15 07:35
    Shift키를 꾹 누른상태로 부팅을 하면 부트메뉴가 뜹니다. 혹은 ESC를 미친듯이 두드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e를 눌러서 부트 편집모드로 들어간다음 splash 앞에 nomodeset이라고 적은 다음(nomodeset splash quiet 이런식) Ctrl+C를 눌러서 부팅하면 일단 화면은 뜨게 될겁니다

    이게 그래픽카드를 잡지않고 쓰는거긴한데 구형 라데온 드라이버 지원이 끊겨서 어쩔 수 없습니다. (정 쓰시려면 드라이버지원 당시에 나온 버전을 찾아야합니다)

    일단 이대로 계속 쓰시려면
    sudo gedit /etc/default/grub
    이걸로 관리자모드 들어간다음 아까 부트할때같이 splash 앞에 nomodeset이라고 적고 저장합니다

    그 다음
    sudo update-grub
    이걸로 부트메뉴 수정을 적용합니다.
  • ?
    Hymmeli 2024.03.15 19:02
    아... 그렇군요. 비슷한 세대인 인텔 GMA 4 시리즈는 잘 되던데, 테라스케일은 지원이 끊어졌나보네요.
    감사합니다. 구버전으로 시도해보고 안되면 어쩔 수 없이 다른 방법을 생각해야겠네요.
  • ?
    Moordev 2024.03.17 15:21
    인텔은 드라이버소스를 오픈소스로 뿌린상태인데다 사용처가 서버쪽에서 많다보니 리눅스버전이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왔습니다.
    하지만 AMD는 ATI시절부터 내려오는 드라이버문제(윈도에서도 문제가 많은데 리눅스라고 다를리가요)와 Nonfree펌웨어에 Wrapping하는 방식을 쓰다보니 알게모르게 버그가 많습니다.
    radeon오픈소스드라이버가 존재하고 관리중이긴합니다만 버그가 많습니다.

    저도 예전에 X1400쓸때 드라이버지원이 끊기면서 고생을 많이 했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2321 Collabora Online 3.2, 클라우드의 LibreOffice에 더 강력한 기능 제공 9 0 행복한펭귄 2018.04.20 652
2320 compiz 설치후 제목표시줄이 나오질 않습니다...ㅡㅡ;;; 3 0 기즈모 2015.01.26 38793
2319 conky theme를 적용하는 방법 아시나요~? 5 0 식혜고양이 2016.02.14 6960
2318 CPU 사용량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12 file 1 바닷바람 2021.01.16 1820
2317 cpu 온도체크 psensor 설치오류 좀 봐주세요ㅠㅠ 3 file 0 KDS 2020.06.16 788
2316 CPU 취약점 Spectre Variant 4 (스펙터 변종 4) 발표됨 4 0 la_Nube(누베) 2018.05.22 668
2315 crontab 설명 부탁드립니다. 1 0 %%%% 2023.11.21 434
2314 CrossOver 17.5.0 출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8.05.09 762
2313 crossover 설치후 재부팅 하니까 에러가 나옵니다... 9 file 0 기즈모 2021.03.31 964
2312 Crystal Space 게임엔진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27 8018
2311 CVE-2017-3737 : OpenSSL Read/write after in error state 취약점 1 0 la_Nube 2017.12.12 862
2310 darktable 2.2.3 오픈소스 RAW 이미지 에디터 발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7 7052
2309 DaVinci Resolve(다빈치 리졸브) 17 8RAM 에선 실행이 안되나요? (하모니카5.0) 12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2.04.06 922
2308 Deb 파일 설치 관련 4 file 0 6Gelemen 2020.03.03 881
2307 Debian 10 "Buster" 이후 Debian 11 "Bullseye" & Debian 12 "Bookworm"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1 file 0 행복한펭귄 2018.04.18 635
2306 Debian GNU / Linux 8.8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7.05.11 7540
2305 Dell 레티튜드 5175에 하모니카 4.0 설치해서 글 남깁니다. 1 0 monocrom 2020.12.17 1369
2304 Desktop Environments 뭐쓰시나요? 12 0 고스트 2016.02.23 6402
2303 Desktop linux in Korea 12 0 세벌 2018.02.15 840
2302 Dex 효과? 리눅스가 대안이 아닐까? 1 0 행복한펭귄 2017.04.18 814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