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컴퓨터 운영체제의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지원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기존의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도 한국어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나, 리눅스 운영체제의 개발 기업들 또한 해외 기업들이 대다수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국내 리눅스 운영체제의 대중적인 보급을 높이고자 리눅스 OS를 국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리눅스OS 빌드 체계 및 한글화 개선을 지속적으로 수행 가능한 "오프소스 한글화 지원 체계" 및 리눅스OS의 국내 보급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2014년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 진행 중 한글화 서비스 및 개발 빌드 체계 테스트를 위해 사용성이 높은 "리눅스 민트(Mint)" 버전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개선하여 발표한 리눅스 운영체제가 하모니카OS다.

 

2020년까지 공공기관 데스크톱 PC의 대다수를 독자 운영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됐다. 2016년 시점에는 국가에서 하는 프로젝트 연속성은 없어졌고 하모니카 커뮤니티(https://hamonikr.org) 참여자들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수정, 배포 활동을 하고 있다. 자바, 플래시 웹 플러그인이 포함돼 있어 설치가 쉬운 리눅스 민트 17 마테 버전을 기반으로 개발된 리눅스 민트의 배포판이다. 하모니카는 한글화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경험 등을 중점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한글 설정 없이 바로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모니카는 오픈 소스이며, 개방형 운영 체제임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처음 하모니카 베타 버전이 나왔을 때 우리은행 인터넷 뱅킹이 불가능했으나 하모니카 커뮤니티 참여자가 문제를 해결했고 이에 대한 성공사례를 공유하기도 했으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100% 한글화를 위해 리눅스 민트의 원본 문장을 올려 누구나 번역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하모니카(HamoniKR)의 운영 목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컴퓨터 운영체제의 특정 벤더에 의한 기술 종속성 탈피

☞ 처음 사용자들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에 특화된 리눅스OS 보급

☞ 한국어 사용의 편의성과 지속적인 한글 지원 체계 마련

☞ 오픈소스 SW개발자와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활성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 체제를 대체할 국산OS인 하모니카OS에 접근제어 2차 인증 솔루션인 BaroPAM을 적용한 인증 테스트가 완료 되었다.

 

1. BaroPAM 설치 및 환경 설정

 

"정보자산에 대한 접근제어 2차 인증을 위한 BaroPAM 가이드(Linux)" 참조(http://www.nurit.co.kr)

 

2. 하모니카OS 로그인 화면에 일회용 인증키 입력

20240322_103253.png

 

"Verification code"란에 지문인식 인증카드나 스마트폰(BaroPAM 앱)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한 후 Enter 버튼을 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3. 비밀번호 입력

20240322_103253.png

"비밀번호"란에 사용자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 한 후 Enter 버튼을 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하모니카OS의 메인 화면이 나타난다. 참고로 자동로그인인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은 나타나지 않고, 곧바로 "4.하모니카OS의 메인 화면"으로 넘어 간다.

 

4. 하모니카OS의 메인 화면

20240322_103253.png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 = "아무도 믿지 마라" = "계속 검증하라"

 

앞으로 정보 보안의 흐름은 보안은 강화하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기억할 필요가 없는 비밀번호! BaroPAM이 함께 하겠습니다.

하모니카OS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3단계 인증 솔루션인 BaroPAM 솔루션 설치 및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BaroPAM 소개서 ==> https://mc529.tistory.com/1400

BaroPAM 적용 모습 ==> https://mc529.tistory.com/1410

BaroPAM 설치 요약서 ==> https://mc529.tistory.com/1737

BaroPAM 설치 S/W 다운로드 ==> https://mc529.tistory.com/14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4 윈도우10 대신 쓸만한 무료 오픈 소스 OS (컴퓨터월드UK 추천) 1 0 행복한펭귄 2019.02.07 2260
1653 아키라(Akira) 리눅스 디자인 도구 소식...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08 904
1652 리눅스 만화 보기 프로그램들 9개 소개 0 행복한펭귄 2019.02.08 903
1651 리눅스 민트 19.2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0 행복한펭귄 2019.02.08 926
1650 올리브(Olive) 새로운 비디오 편집기의 도전 3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08 1436
1649 Flowblade 2.0은 새로운 비디오 편집 도구 및 새로 고친 UI와 함께 제공됩니다 3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08 997
1648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배포판에 기본 추가해서 보급하면 어떨까요? 7 0 행복한펭귄 2019.02.12 868
1647 MX Linux 18.1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2 file 0 행복한펭귄 2019.02.13 1008
1646 Makulu Linux 인상적인 데스크탑 환경으로 나타났습니다 2 0 행복한펭귄 2019.02.13 941
1645 리눅스에서 kdz파일 스마트폰에 업로드하는 방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5 0 iloveapink 2019.02.14 797
1644 크리타 페인팅 코스 (파리의 한 대학) 2 0 행복한펭귄 2019.02.14 894
1643 우분투 18.04.2 버전 공식 발표 1 0 행복한펭귄 2019.02.15 836
1642 Tux paint 전 세계 학교 교육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1 0 행복한펭귄 2019.02.15 709
1641 초보자를 위한 김프 종합 튜토리얼 0 행복한펭귄 2019.02.15 911
1640 디지탈 아티스트와 애니메이터를 위한 크리타 튜토리얼 2 0 행복한펭귄 2019.02.15 795
1639 포토샵 대안 15가지 리눅스 디자인 소프트웨어 0 행복한펭귄 2019.02.15 1884
1638 블렌더 튜토리얼 모음 0 행복한펭귄 2019.02.16 796
1637 크리타 아티스트 소개와 인터뷰 0 행복한펭귄 2019.02.20 624
1636 김프 아티스트 소개와 인터뷰 0 행복한펭귄 2019.02.20 669
1635 잉크스케이프 아티스트 소개와 인터뷰 2 0 행복한펭귄 2019.02.20 871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95 Next
/ 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