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84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바보같이 설정을 잘못해서 그런거였네요.

/etc/ssh/sshd_config 내용에서 LisetnAddress에 192.168.0.23을 추가했었는데요. auth.log를 확인해보니

위의 ip주소에서 에러 내용이 있었어요~ 그래서 저게 잘못됐다는걸 알았네요;

허접하게 다른데서 하던 설정을 그대로 따라하다보니 생긴 일이었네요;;;


-질문내용-

안녕하세요~ 하모니카 덕분에 리눅스를 보다 편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모니카를 통해 8년된 노트북을 다시 새것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용도가 웹페이지 서버로 돌리고 있는데, 밤에는 노트북을 종료하고, 아침이 되면 노트북을 켭니다.

보통 서버는 종료하지 않고 계속 가동을 하겠지만, 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사람은 저밖에 없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을 합니다.

(웹어플로 가게에서 고객관리 용도로 사용중이고 향후 라즈베리파이2를 구입해 서버로 돌릴 생각입니다.)

그런데 노트북 부팅을 하고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한뒤에는 apache2에 대한 서비스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가게에서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접속이 잘 작동을 하는데,

가게에서 putty로 ssh에 접속을 하면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분명 노트북에서 $ sudo service ssh status를 확인하면 active로 잘 돌아갑니다.

때문에 제가 아침에 하는 일은 노트북을 부팅한뒤 터미널을 열어 $ sudo service ssh restart를 타이핑해야만이 비로소 가게 컴퓨터에서

ssh 접속이 된다는 것입니다.

/etc/rc2.d/

/etc/rc3.d/

/etc/rc4.d/

/etc/rc5.d/결

각 디렉토리에는 S03ssh -> ../init.d/ssh 로 링크되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이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은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걸까요?

인터넷으로 이런사례가 있는지 찾아보아도 검색 실력이 부족해서인지 찾질 못했습니다.

혹시 제가 뭔가 놓치고 있는것일까요? 아니면 apache2 서비스와는 달리 ssh는 부팅을 한뒤 수동으로 서비스를 실행해야하는 건가요?

리눅스 초보에게 도움을 주세요ㅜㅜ

감사합니다

  • profile
    Sound:D 2016.03.01 23:51 Files첨부 (1)

    (2016.03.04 수정)


    [정정 내용]


    답글중 /etc/init/"서비스명".conf 파일을 이동하거나 삭제해도 서비스 이용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설명드렸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확인해본 결과 해당 파일 이동이나 삭제시 service "서비스명" start/restart/stop 명령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것으로 확인했습니다.


    하단의 답글 내용은 잘못된 내용입니다.



    [원문]


    제가 아는한도에서 말씀드려볼게요,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우분투계열 upstart 서비스 모아놓는곳이


    /etc/init/"서비스명".conf


    보통 이렇게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즉, 해당 위치에 conf 파일을 지우거나 위치를 이동시키면


    재부팅하면 해당 서비스가 자동 시작 안되는것을 방금전에도 확인해보았구요..


    (/etc/init 폴더에 있는 파일 지우거나 옮긴다고 서비스 이용못하는것은 아닙니다. 부팅시 자동실행만 관여하는것 같습니다)


    제가 방금 디디님 글보고 ssh를 설치하니 바로 /etc/init 폴더에 ssh.conf 파일이 생기더군요..


    혹시나 해서 방금 하모니카에 ssh 설치해서 생긴 conf 파일 올려드리겠습니다.


    /etc/init 폴더에 해당 파일이 이미 있다면 제가 드린거와 한번 비교해보시구요,


    없다면 한번 넣어놓고 부팅해보시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그렇게 했는데도 해결이 안되신다면


    하모니카 시작버튼 > 기본설정 > 시작프로그램


    들어가셔서 시작시 원하시는 명령어 시작될수있게 설정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
    디디 2016.03.02 20:33

    빠른 피드백 감사합니다^^

    안타깝게도 올려주신 파일과 제가 가진 파일이 동일하더라구요.

    어느 글에서 보았더니 ssh포트를 22에서 다른 포트로 바꾸는것이 보안상 좋다고 해서 6374로 바꿨는데요.

    방화벽의 문제가 아닐까 싶어 $ sudo ufw allow 6374로 한뒤 재부팅을 해보아서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을 시도해보아도

    되지 않더라구요. 이상하게 서버에서 $ sudo service ssh restart 를 입력해야만이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이 되더라구요.

    제가 걱정하는것은 만일 클라이언트에서 실수로 sudo reboot를 한뒤 다시 접속을 하려고 한다면 서버에서 타이핑을

    하지 않으면 접속이 되지 않아서 그것이 좀 걱정이지, 당장의 급한 문제는 아니니 좀더 시간을 두고 찾아봐야할거같아요

    감사합니다

  • profile
    Sound:D 2016.03.04 01:28

    잘못된 댓글 내용을 정정 하였습니다.


    인터넷 글들을 보고 공부하다보니 자료는 많지만 그로인해 잘못된 자료들을 잘못 습득한것 같습니다.


    열심히 삽질하다 잘못 되었다는걸 깨닫고 해당 글로 저와 같이 잘못된 지식을 습득하실까 염려되어..


    수정 조치 하였습니다.


    ㅜ_ㅜ..

  • ?
    legoboss 2016.03.02 09:45

    하모니카 설치후, ssh 설치하실때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하셨나요?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저는 위와 같이 ssh를 설치하고 사용 중인데요.

    부팅 시 자동으로 서비스가 구동되고 있습니다.


    하모니카 설치 후 openssh-server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중이시라면,

    위 명령으로 한번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 ?
    디디 2016.03.02 20:34

    빠른 피드백 감사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를 입력해보니 이미 최신버전이 설치되어있다고 하네요.

    아마도 다른 문제가 있나봅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989
604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하여 2차 인증(추가 인증)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file 0 BaroPAM 2020.09.02 1829
603 정부 주도 개방형 OS 생태계 잰걸음 ~~ 1 0 프리나눔 2021.01.15 937
602 정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들을 운영체제 독립적으로... 2 0 세벌 2014.12.24 8638
601 정부에서 했으면 하는 것. 1 0 세벌 2018.10.17 767
600 정식버전 설치중입니다. 6 0 말랑백설기 2015.05.29 8753
599 정식버전 언제 나오나요? 1 0 zMan 2015.05.28 7815
598 정확히 여기서 막히네요. 1 0 라루미 2021.01.28 971
597 제 노트북 키보드 부분에서 문제 있는 것 같아요 4 file 0 OS루키 2021.07.29 5580
596 제가 생각하는 하모니카의 큰 문제점 3 0 kunash 2015.03.11 8864
595 제목표시줄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3 0 staut 2016.10.03 6181
594 제발 사지방에서 파일좀 다운받게해주세요.. 4 0 한글좀 2019.10.27 4434
593 제발 사지방에서 하모니카 없애주세요.. 18 0 미-개 2019.10.20 11246
592 제어 Center의 booting 복구로도, kernel update 가능하나요~??? 3 0 식혜고양이 2016.04.30 7002
591 제주대학생인데요.학교 와이파이를 쓰고 싶은데 윈도우에선 잘되는데; 리눅스에선 잘되지 않습니다. 3 0 라루미 2022.11.03 737
590 젠투 리눅스? 8 0 세벌 2018.02.28 1135
589 조금 쌩뚱맞은 질문; 3 0 식혜고양이 2016.05.04 7509
588 조린OS12.3 출시 3 file 0 행복한펭귄 2018.03.18 1080
587 좀 그냥... 쓸모없는 이야기일수도있는데... 4 file 0 주작1 2014.12.13 9623
586 종교단체부터 솔선수범하여 리눅스 도입을 적극검토했으면 좋겠습니다 8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16 5814
585 종료하면 리부팅 되는 현상 문의 2 0 닉이성인가? 2015.02.25 8059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