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09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virtualbox에서 ubuntu 15.10 설치할 때 설치 후 재부팅 시도시 재부팅 화면에서 정지하고 아무리 기다려도 재부팅이 되지 않는데 왜 그런거죠?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3.21 09:56

    http://tumblr.lunatine.net/post/17599911279/faq-virtualbox%EC%97%90%EC%84%9C-rhel5-%EB%B6%80%ED%8C%85-%EC%98%A4%EB%A5%98%EB%A9%88%EC%B6%A4-%ED%98%84%EC%83%81


    NMI 인터럽트에 대하여

    https://en.wikipedia.org/wiki/Non-maskable_interrupt


    결론만 말하면 부팅시에 NMI 인터럽트 상의 충돌로 인하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사이트 설명에는 레드햇리눅스로 나와있지만 하모니카리눅스도 논리적으로 같은 문제라고 보입니다. 전문 용어가 많아서 머리 아프겠지만 여하튼 해결보세요.


    어떤 분야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려면 이런 전문용어들에 조금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지 구체적인 원인을 이해하고 알아서 자신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니말입니다.


    개인적으론 왕초보자님이나 초보자님들이 이런 부분과 대면하게 되면 리눅스를 떠날까봐 걱정아닌 걱정이 되네요. 기우인가? ㅋㅋ


    msn040.gifmsn040.gifmsn040.gif

  • ?
    onting 2016.03.21 16:24

    와 대단히 감사합니다. 한번 시도해봐야겠어요.

  • ?
    onting 2016.03.21 16:30

    그래도 약간 아리송한게 virtualbox로 데비안을 설치할 때는 잘되는데 ubuntu 계열을 설치하면 이상하게 안되니...

    거참 알쏭달쏭하네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3.22 09:24

    커널 상에서 인터럽트 처리에 관한 용어들이 난무해서 헷걸리는데요, 이런 부분은 리눅스 커널을 전문적으로 파고들지 않으면 뭔소린지 모르는 부분일 것입니다. 그래도 알아두고 가면 좋으니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NMI (마스크 불가능 인터럽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18276&cid=50372&categoryId=50372


    인터럽트 마스크에 영향을 받지 않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 있는 인터럽트. 예를 들면 정전등이 해당합니다.


    watchdog(감시장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14034&cid=50376&categoryId=50376


    미리 규정된 어떤 조건이 정해진 시간 내에서 만족되는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의 한 형태.


    NMI Watchdog는 두 의미를 합쳐서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즉 예상치 못한 인터럽트가 발생하였는지 체크하여 그에 따른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리눅스 커널 설정에서 사용 여부를 on/off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론으로 인터럽트를 다룰 수 있습니다. 인터럽트와 관련된 사항은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고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내용이므로 생략합니다.


    이유야 어떠하였든지간에 부티 이미지에 충돌이 일어나서 이를 감지했지만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몰라서 한마디로 뺑뺑이 도는 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계속 멈춰있겠죠? 


    이런 문제는 가상머신과 리눅스 커널과의 충돌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로 알려졌는데, 예를 들면 onting님께서 지적하였듯이 데비안 계열은 멀쩡한데 우분투 계열에서 충돌이 일어난 경우는 배포판에 문제가 아니라 가상머신과 각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커널의 버전과 옵션 상의 충돌로 인해서 생긴 문제입니다.


    그래서 역추적하면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 얼마든지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낼 수 있지만, 너무 전문적인 내용과 커널에 대해서 주구장창 긴 소설을 써야하니 생략하고, NMI Watchdog를 비활성화시켜서 그냥 문제가 생겨도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사용하도록 넘기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사용하는데 문제가 되는 부분이 아닙니다. 커널에서 알아서 상황에 따라서 처리하도록 이미 프로그래밍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대충 이해가 되셨는지요. 리눅스쪽은 유닉스 계열 OS와 윈도우즈와 비슷한 데스크탑 환경이 결합되어 있고, 커널 쪽은 워낙 광범위한 내용이 넘쳐서 이 정도로만 상식선에서 언급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왜 NMI Watchdog를 꺼야하는지 NMI Watchdog가 무엇인지는 알고 해결해서 써야하기 때문이죠. 이번 기회를 통해서 혹시 리눅스에 대해서 아주 전문적으로 알고 싶으시다면 리눅스 커널에 대해서 파고들면 엄청난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리눅스 커널

    리눅스 API

    리눅스 GCC


    이 세 가지 패키지를 같이 공부하시면 도움되실 것입니다. 물론 의향이 있으시다면... 


    참고하세요. msn034.gifmsn034.gifmsn034.gif



    PS


    리눅스 API의 모든 것 세트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947623


    리눅스 커널의 내부 구조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723493


    gcc로 공부하는 c++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893140


    위에 소개한 책을 참고하면 약간이나마 도움되겠습니다. msn008.gifmsn008.gifmsn008.gif

  • ?
    onting 2016.03.22 10:18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컴공과 신입생인데 그런쪽도 공부하면 좋겠네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3.22 10:29

    onting님. 컴퓨터 공학과 신입생이시라고요.


    컴퓨터 공학도라면 당연히 리눅스를 철저히(!) 배우셔야 합니다. 특히 단순히 데스크탑 용도로 취미용으로 한정해서 사용하시기 보단, 전문적인 영역까지 공부를 차분하게 해놓고, 조금 욕심을 부리면 국내 리눅스 자격증부터 국제 리눅스 자격증까지 장기적인 안목으로 취득한다면 여러모로 좋습니다.


    게시판에 자격증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해 드렸는데


    1. 리눅스 마스타 1,2급 자격증 취득 후

    2. LPIC 국제 자격증 (배포판과 상관없이 리눅스 전반에 대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을 취득하고

    3. RHCE 한마디로 레드햇 배포판 국제 자격증입니다.

    4. CLA/CLP 한마디로 수세리눅스 배포판 국제 자격증입니다.


    위의 4가지 자격증을 모두 취득할 정도라면 어디가서든지 리눅스에 대해서 자신감있게 말할 수 있고, 어느 곳에 취직해서라도 자신있게 리눅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유닉스 계열 (솔라리스, 오픈 유닉스 계열)도 당연히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심지어 윈도우 서버와 기타 다양한 OS를 운영하는데도 맥락이 비슷하기 때문에 엄청 도움됩니다.


    한마디로 학생이니 세월을 아껴서 리눅스 마스타님이 되어보세요. 4년이면 충분합니다. 기초적인 것들을 습득하기에는... 10년이면 완전 구루(GURU)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msn034.gifmsn034.gifmsn034.gif


    공부하면서 이 곳에 와서 어려움에 처한 불쌍한 우리 리눅서임들 구제(?)해 주고, 스스로도 능력도 쌓고 해보길... 불쌍한 리눅서라는 말은 농담임... ㅋㅋㅋ


    관심있다면 가이드해드릴 의향은 있습니다. 하기야 대학교에서 전공하니 특별히 인도해드릴 것이 없겠네요. 교수님이 엄청나게 잘 인도해 줄 것이 확실하니. msn009.gifmsn009.gifmsn009.gif

    msn032.gifmsn032.gifmsn032.gif

  • profile
    풀잎 2016.03.22 11:00

    어떠한 방식으로 설치하셨는지,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무엇으로 설정하셨는지 알 수 있다면 필요한 답변을 드릴 수 있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2
2024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요. 4 file 0 봉팔봉팔 2022.12.14 613
2023 윈도우에 설치된 exe 파일을 wine 프로그램로더로 실행합니다. 바탕화면 아이콘으로 어떻게 만들수있나요? 5 0 Japser 2023.11.29 613
2022 kldp와 하모니카 사이트 차이 11 0 세벌 2018.03.31 614
2021 [모임] 오픈수세 컨퍼런스 (체코 프라하에서 열림) 12 file 0 행복한펭귄 2018.05.08 614
2020 [건의] 하모니카 의 3가지 안건... ^^ 2 1 KongS 2022.12.23 614
2019 USB 드라이브 인식 관련 4 file 0 에쎄 2023.03.08 614
2018 pinguy builder 사용중 문의 3 0 telnet 2019.06.25 615
2017 [질문] 하모니카 리눅스 화면을 흑백으로 보고 싶습니다 1 0 하모태백 2023.04.21 615
2016 Chome OS의 새로운 터미널 응용 프로그램 Linux 응용 프로그램 지원 예정 11 0 행복한펭귄 2018.04.24 617
2015 우분투 18.04의 새로운 6가지 기능 정리 1 0 행복한펭귄 2018.05.11 617
2014 Pinebook64 KDE Neon OS 기본 설치 보급 file 0 행복한펭귄 2018.08.24 617
2013 배경화면이 왜 자꾸 바뀔까요? 2 0 telnet 2019.06.13 617
2012 [활용] 아두이노를 이용한 CNC 제어 2 file 0 행복한펭귄 2018.04.29 618
2011 애매하고 독특하고 빠른 브라우저 2 0 Ohnine 2018.07.27 618
2010 크리타 4.0 발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8.03.25 619
2009 HamoniKR-ME 64bit 1.1 [팁]선택하여 붙여넣기 6개 2 0 보생 2018.11.28 619
2008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해 호스트의 루트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RunC 결점 발견 1 0 la_Nube(누베) 2019.02.24 619
2007 업데이트 오류 알려주세요 1 file 0 호빈 2020.03.09 619
2006 노트북에 메인으로 5.0 설치 했는데 한/영키가 안되네요 4 0 buddah 2021.12.22 619
2005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개방형 OS 2 0 세벌 2022.02.19 619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