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754
어제:
2,941
전체:
3,782,442

하모니카 묻고답하기

2016.04.10 15:41

하모니카 XCOM2후기

조회 수 862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모니카랑 윈도우랑 비교하기 위해
하모니카를 멀티부팅으로 설치하고

xcom을 구동시켰습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제어판 들어가서 카탈리스크를 깔았어요.


그런데 의외로 게임이 잘 안돌아가네요.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쓸가 생각하다. 그래픽카드 성능을 다 끄집어 내려고 독점소프트웨어로 설치한건데...

음....


제가 놓친부분이 있을까요?

아님 카탈리스크 성능자체가 문제이고 하모니카 리눅스로는 게임 돌리는 것 이 부적절 할까요?

  • profile

    xcom-2-launches-only-with-nvidia-support-intel-and-amd-to-follow-499868-2.jpg

    XCOM2 리눅스 런칭 완료


    http://news.softpedia.com/news/xcom-2-launches-only-with-nvidia-support-intel-and-amd-to-follow-499868.shtml


    위의 기사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듯...


    xcom-2-receives-first-patch-to-improve-performance-and-frame-skipping-500571-2.jpg


    xcom2 리눅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http://news.softpedia.com/dyn-search.php?search_term=xcom+linux


    혹시 기간되면 좀더 알아봐드릴 수는 있지만, 일단 개인적으로 시간이 안 되서 참고할 수 있는 부분만 언급했습니다. 말 그대로 참고하세요.


    자세한 부분은 시간될 때 알아보고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 ?
    kunash 2016.04.10 15:59

    대글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링크들어가봤지만 영어압박이 ㅎㅎ

    그래도 가능한까지 읽어보았습니다. 퍼포먼스 쪽으로 꾀 이슈가 있나보군요.

    두번째 글 읽어보니  AMD유저에겐 좋은소식이 아니네요.ㅠㅠ

    저같은 AMD 유저는 다시 윈도우로 가야겠습니다.

    빠브신데 제글에 댓글 달아주셔서 다시한번 감사의 말씀 전해드립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4.11 12:01

    게임 퍼포먼스 부분은 게임 제작자사 어떤 게임 엔진을 사용했고 CPU와 GPU 지원의 정도, 그래픽 엔진의 효율성 등 여러 가지 고려 사항이 많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구축한 게임 스테이션의 하드웨어 사항과도 무척 깊이 있게 관련이 많이 있죠. 이 문제는 윈도우즈, 맥OS, 리눅스 OS에 관한 문제도 있지만 다양한 그래픽과 관련된 게임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게임 매니아가 아닌 이상 전문적인 벤치마킹이 한계가 있고, 설령 벤치마킹하더라도 각자 구축한 하드웨어 사항의 특성을 타는 경향이 있어서 참고 사항 정도됩니다.


    전 개인적으로 게임 자체에는 관심이 많은 사람이지만, 40대라 게임만 집중하고 살 사회적 위치가 아닌지라, 이 부분에 대해선 오랜 시간을 투자해서 벤치마킹할 시간이 없네요.


    이런 부분은 게임 제작사 공식 홈페이지와 리눅스 게임 전문 데이타베이스 정보가 구글에서 검색해 보면 아주 자상하게 나오니 참고하시면 게임을 즐기는데 약간의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텔, AMD 환경 하에서의 최적화 문제는 오늘 내일의 일이 아니네요. 최종 사용자(End User) 입장에서 게임을 즐긴다는 측면에 고려할 때는 윈도우즈, 맥OS, 리눅스, 유닉스... 여하튼 어떤 OS에서 돌아가든지 잘 돌아가면 좋은 것이죠.


    자신이 애용하는 게임이 최적화된 OS를 선택해서 즐기면서 끝입니다. 이상...

    게임을 재미있게 즐기시려면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게임 자체를 최적으로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을 선택하시면 끝입니다.


    이상..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4.12 09:26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게임을 즐기는 방법도 대단히 중요한 이슈인데, 이 부분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네요.


    대중들에게 있어서 게임의 비중은 엄청나다는 사실을 잘 이실텐데요.


    윈도우XP와 윈도우비스타(1년 있다가 서비스 종료되는 윈도우)를 버리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비중이 게임이라는 사실, 잘 아실텐데요.


    이젠 게임을 "너가 알아서 찾아서 깔아서 즐겨라"라고 방치하면 안 됩니다.


    정말로 하모니카 리눅스가 대중적인 데스크탑 리눅스로 거듭나길 원한다면 게임을 비중있게 관심두고 관련된 모든 것을 투입해야 합니다. 개발해 주면 가장 감사하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외국에서 개발된 모든 정보와 관련 게임, 소프트웨어, 가이드 등을 충실하게 정기적으로 안내해 주길 기대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 게임을 즐기고 싶어서 왔다가, 이런 저런 명목때문에 결국은 윈도우로 복귀하시는 분들이 많다는 사실...

    너무 씁씁하지요. 최종 사용자 입장에선 너무 당연한 귀결인지는 모르지만, 소위 시장을 리딩하는 업체라면 이런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보입니다. 어디까지나 이런 부분에 대한 고민은 업체측에서 고민 많이 해 보시길...


    게임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얘기...


    리눅스에서 편하게 게임 즐길 수 있도록 인도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06.10 10:18

    리눅스 게임 지원에 대해서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중입니다.

    물론 대중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엄청나게 대중적인 지원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점 개선 및 적용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고, 개인의 게임 취향에 따라서 적용 및 만족도가 매우 극과 극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신이 실제로 즐기고 싶은 구체적인 게임 이름과 요구 사항을 서로 공유하고 찾아서 즐긴다면 즐겁게 하모니카 리눅스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부분이야 말로 커뮤니티의 서로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입니다. 최근에 스타크래프트를 WINE을 통해서 즐기는 방법을 공유하고 다양한 게임을 WINE과 게임 서비스를 통해서 즐기는 방법을 공유했 듯이 말입니다.


    즐겁게 게임을 즐깁시다. 게임 문화가 윈도우에만 한정되지 말고 리눅스에서도 널리 퍼지기를 개인적으로 소망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1 Kevin 2019.11.18 210596
878 우분투 그놈 배포판 중단 예정 0 행복한펭귄 2017.04.20 9210
877 크롬 웹브라우저 58 출시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20 9715
876 스타크래프트 1 무료로 풀렸다. 리눅스에서 도전! 4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20 11711
875 닌텐도 게임을 리눅스에서 즐기기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20 11066
874 구글어스 (3D로 즐기는 지구) 2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19 12512
873 애플 맥OS를 닮은 북한 레드스타 3.0 OS...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19 10059
872 우분투 리눅스를 윈도우10 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 file 0 행복한펭귄 2017.04.19 11290
871 Dex 효과? 리눅스가 대안이 아닐까? 1 0 행복한펭귄 2017.04.18 11639
870 리브레오피스 클라우드 버전 나왔다 3 0 행복한펭귄 2017.04.17 9994
869 MKV 확장자 동영상이 안 열린다구요? <Bomi 플레이어> 11 file 0 만화가엄두 2017.04.16 12937
868 안드로이드와 윈도우10의 '긴밀한 상생'을 도와줄 7가지 도구 0 행복한펭귄 2017.04.16 10224
867 리눅스가 시장정유율을 얻지 못하고 있는 이유 1 0 행복한펭귄 2017.04.16 10419
866 윈도우10 대신 리눅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5 0 행복한펭귄 2017.04.16 11612
865 우분투 17.04 시리즈 모두 발표 1 0 행복한펭귄 2017.04.16 10348
864 리눅스 커널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3 0 la_Nube 2017.04.16 9780
863 리눅스가 안드로이드를 품다 (AnBox) 3 0 행복한펭귄 2017.04.13 10647
862 윈도우 비스타여 영원히 안녕... 1 0 행복한펭귄 2017.04.13 10967
861 "대충 그린 그림도 예술작품으로..." 구글 오토드로우 '화제' 4 0 행복한펭귄 2017.04.13 10217
860 폰트에 대하여... 0 행복한펭귄 2017.04.11 8700
859 한국형 리눅스에 대한 재정의가 이뤄져야할 때... 1 0 행복한펭귄 2017.04.11 10036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32 Next
/ 132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