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770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금 집에서는 리눅스민트 하모니카를 쓰고 있고 직장에는 NAS(시놀로지 제품)이 있습니다.

로컬에서는 자동 마운트 하는 방법이 구글등에서 검색이 되는데 원격지에서는 할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된다면 프로토콜을 뭘로 써야할지도 궁금하구요

시놀로지는 afp, smb 둘다 지원이 되서욥.


아니면 구글에서 리눅스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찾으면 나올까요?


덧글

물론 webdav와 ftp로 caja에서는 잘 됩니다. ^^

  • profile
    행복한펭귄 2016.06.09 13:20

    집에서 하모니카 리눅스로 매번 직장에 있는 NAS(시놀로지 제품)에 수동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자동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원격으로 마운트하는 방법을 물어보신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매번 마운트해서 접속할려면 귀찮을 수도 있겠습니다.


    우분투에서 NAS 마운트하기 (네트워크 드라이브)

    http://egloos.zum.com/kandalama/v/3932261


    위의 설명 그대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하모니카 리눅스는 우분투 기반의 배포판이기에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우분투 및 리눅스 민트 계열 설명 그대로를 적용하시면 바로 적용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NAS 원격 마운트 폴더 다루기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Nz1O&articleno=207&categoryId=33&regdt=20150621193537


    위의 설명은 영문으로 나와있지만, 사용하시는 시놀로지의 메뉴에서 한글 메뉴를 찾아서 설정해서 사용하시면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별히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이 정도를 참고하시면 속시원하게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 원격 마운팅되어서 편하게 회사 NAS에 있는 자료를 바로 바로 엑세스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좋겠군요. 아마도 이런 부분은 다른 많은 분들에게도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이런식으로 많이 사용하실 것으로 보이기때문입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분들은 기존의 윈도우와 하모니카 리눅스 + 모바일 환경(안드로이드, iOS) + NAS를 연동해서 사용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대중적인 대세입니다. 모바일 접근성이 가장 높아져서 PC 사용율이 조금 낮아졌지만, 여전히 각 매체별로 특성이 있으니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지요. 


    바람곰돌님과 같이 회사 NAS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개인적으로 NAS를 구입하거나 구축해서 먼곳에서 노트북이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해서 원거리에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의외로 많은 것 같습니다. 참으로 다양하게 변화가 오고있네요.

  • ?
    바람곰돌 2016.06.09 14:12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저거 로컬에서 하는 것이 아닐까요?

    192.168.X.X 대역이면 로컬인데...


    저 같은 경우는 아예 회사와 집이라 ip가 다른데 혹시 포트 없이도 smb로만 접속해도 될까요? 집에 가서 해보고 올보고 올리지욥 ^^

  • profile
    레인 2016.06.09 15:49 Files첨부 (1)




    제경우에는 VPN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시놀리지 경우 VPN서버를 지원하니까 VPN(PPTP)으로 접속해서 로컬처럼 사용하시면 되실꺼에요


    (참, NAS에 공인IP가 있어야 합니다)


    VPN 연결하는 방법은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추가 > 포인트투포인트 터널링 프로토콜(PPTP)  선택 하고

    게이트웨이 정보에 VPN 서버 IP(NAS 공인IP등)
    사용자 이름: VPN 접속 ID
    암호: *****

    저장하시고, 네트워크 상태 연결 아이콘에서 '가상 사설망 연결 1' 을 클릭하면 연결됩니다.


    VPN연결.png


    네트워크 아이콘에 자물통이... 생겼네요


    이렇게 하시고, 행복한팽귄님의 설명처럼 마운트 해서 사용하시면 될듯 합니다.^^msn034.gif


    일단 VPN 연결이 되면 로컬에서 처럼 사용하시면 되구요~^^



  • ?
    바람곰돌 2016.06.09 16:24

    아...VPN이용이군요. 하아...저건 좀 귀찮은데 ㅡ.ㅡ


    개인적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처럼 자동연결한 뒤에 썼음 했는데 VPN 연결 후 SMB 연결이면 자동 마운트 의미도 없겠네요 ㅡ.ㅡ 하아..여튼 VPN 없이 한번 해보겠습니다. 될지 안될지 모르곘지만 ^^


     답변 감사드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4108
684 <질문> 저사양 노트북에 어떤 리눅스를 깔아야 좋을까요? 14 0 만화가엄두 2016.09.23 11449
683 문서 검색에 관하여 글을 썼었는데요. 그냥 나름의 해결책? 8 0 한국형개혁주의교회건설의꿈! 2016.09.22 5859
682 별처럼 빛났던 영광의 배포판들 3 0 string 2016.09.21 6016
681 관심 있는 분들, 참여 검토해 보셔요! 1 0 식혜고양이 2016.09.19 5711
680 하모니카 os 설치해도 될까요? 2 0 SSsang 2016.09.16 6114
679 고사양 PC용 linux로, 어떤 게 적합할까요?? 7 0 식혜고양이 2016.09.16 6341
678 민트 KDE 3 0 string 2016.09.10 5730
677 [홍보] 2016 공개SW 헤커톤 행사 안내 (KOSS Hackathon) 2 file 0 하모니카 2016.09.07 5658
676 턱스 페인트로 즐겁게 그림 그려보기 5 file 0 행복한펭귄 2016.09.07 6001
675 레스터 그래픽 이미지 툴 크리타 3.0.1 버전 발표 2 file 0 행복한펭귄 2016.09.07 6053
674 인텔 그래픽스 업데이트 툴 설치하기 1 0 string 2016.09.07 2688
673 하드 추가 및 raid 관련 질문 드립니다 5 0 KEPLER@ 2016.09.06 6290
672 파이어폭스 플래시 플래이어 수동 설치하기 3 0 string 2016.09.06 3093
671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추천하기 3 0 행복한펭귄 2016.09.04 9989
670 리눅스 백신은 꼭 필요할까? 7 file 0 행복한펭귄 2016.09.04 10831
669 [도움요청] 넘버1리눅스 홈페이지 서버 운영자의 하소연~~ 5 0 행복한펭귄 2016.09.03 6091
668 교회에서 오픈소스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5724
667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통합 사무 환경 구축하기 5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5737
666 icecast로 인터넷 라디오 서버 구축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31 6854
665 교회 주보, 프리젠테이션 문서 만들기 0 행복한펭귄 2016.08.31 5771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