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73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데비안은 홀수년도에 출시됩니다. 올해가 2017년이므로 데비안9버전은 올봄에 출시될 겁니다. 그리고 2019년에는 데비안10버전이 출시되겠죠. 소프트피디아에 의하면 커널 4.9버전이 2019년 1월까지 지원되는 LTS가 될 거라고 하네요. 저는 당초 커널 4.8버전이 LTS가 되는 것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제 바램대로 되지는 않고 4.8.17 즈음에서 지원이 중단이 될 거라고 합니다. 아무튼 커널이 3.16(데비안8) ->  4.9 (데비안9)로 껑충 도약하겠네요. 기대가 됩니다.

http://news.softpedia.com/news/linux-4-9-is-the-next-long-term-supported-kernel-branch-says-greg-kroah-hartman-512019.shtml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01.21 13:55

    리눅스 커널 4.9 발표 소식

    http://news.softpedia.com/news/linux-4-9-is-the-next-long-term-supported-kernel-branch-says-greg-kroah-hartman-512019.shtml


    커널 공식 사이트

    https://www.kernel.org/


    현재 안정버전은 4.9.5버전이고 4.10-rc4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번 버전의 경우 AMD GPU지원과 각종 파일시스템 지원 개선 및 향상, 각종 자잘한 문제가 근본적으로 개선된 부분이 많다고 보고되고있습니다. 지원은 2019년 1월까지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솔직하게 스스로 커널을 다운로드 받아서 커널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거의 못느끼거나 할 필요성이 없을 것이나, 자신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대로 사용하고 싶은 사람은 잘 살펴봐서 가장 최신 안정 버전을 적용해 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커널 업데이트와 관련된 내용은 이미 커뮤니티 게시판은 여러 차례 언급되어있으니 검색해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완정 대중적인 사용자들은 이런 기술적인 내용을 몰라도 그냥 평범하게 사용하는데는 크게 문제될 것은 없으나 리눅스의 특성을 잘 살려서 사용하고 싶다면 알아두고 적용해서 사용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지만 추천해볼만 합니다.


    아주 특수한 경우 현재 배포판에 사용하는 커널이 낮아서 어떤 특정한 하드웨어 (주로 그래픽 카드같은)를 제대로 지원해 주지못해서 상위 버전의 커널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말그대로 상위 커널로 적용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정상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대부분은 그냥 잘 설치되고 바로 잡혀서 문제없이 사용되지만 이런 특수한 경우는 커널 업데이트를 꼭 고려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4500
605 한컴의 hwp 포맷 에디터개발은 어디까지 왔을까요? 7 0 해바라기별 2016.04.26 6906
604 리눅스 배포판 최신 우분투, "잠재적인 심각한 프라이버시 결함 있다" 0 행복한펭귄 2016.04.26 6145
603 다솜 입력기 관련해서 질문하나 올려 봅니다... 6 file 0 기즈모 2016.04.26 6839
602 티맥스 오에스 향후 전망? 7 0 세벌 2016.04.26 6420
601 홈텍스는 사용이 안되는것일까요? 9 file 0 해바라기별 2016.04.25 7860
600 우분투 16.04 LTS 지니얼 제루스를 써야하는 이유 0 행복한펭귄 2016.04.25 6994
599 펭귄과 리눅스 (경쟁인가 협력인가? 협력이란 무엇인가?) 0 행복한펭귄 2016.04.25 6577
598 AI 대중화. 메타마인드 0 행복한펭귄 2016.04.25 5992
597 윈도우10속 우분투 배시, 어떻게 실행되나 0 행복한펭귄 2016.04.25 6571
596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플랫폼(PaaS)' 파스-타' 첫 공개 0 행복한펭귄 2016.04.25 6509
595 디스크 마운트 관련하여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5 file 0 하데스 2016.04.24 7117
594 공공기관 리눅스 사용청원에 대한 현재 상황을 보고드립니다. 5 0 chychy 2016.04.23 6017
593 하모니커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8 0 류비 2016.04.22 6194
592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 대한 고민? 2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22 5716
591 결국은 밀고 16.04를 깔았습니다. 9 file 0 고스트 2016.04.22 6203
590 우분투 16.04 LTS 배포판의 종류별 다운로드 받기 9 0 행복한펭귄 2016.04.22 6992
589 Ubuntu MATE 16.04 Out as the First Official LTS Release, Now for Raspberry Pi 3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22 6040
588 Ubuntu GNOME 16.04 LTS Officially Released with GNOME 3.18, Snappy Support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22 6433
587 Ubuntu 16.10 Will Be Dubbed "Yakkety Yak" 2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22 6118
586 우분투 시리즈 다운로드 주소 6 0 string 2016.04.21 5805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