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killdisk.jpg

리눅스도 이젠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킬디스크' 변종 악성코드, 리눅스 시스템 암호화 후 3억 요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51678


리눅스 사용자가 악성코드에 대해 걱정해야 하는 이유와 대처 방법

http://www.itworld.co.kr/howto/103135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VPN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http://www.itworld.co.kr/howto/101998


리눅스에서 VPN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요?

http://www.techradar.com/how-to/how-to-get-started-with-a-vpn-in-linux



최근들어서 리눅스 보안 문제에 대한 여러가지 논의가 심각하게 대두되고있습니다. 서버 영역은 워낙 광범위하게 사용되다보니 이미 기업 차원에서 가장 적합한 구체적인 보안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중이고 지금 말하고자 하는 것은 리눅스 데스크탑 사용자들도 보안에 관해서 신경써야 할 시점이 충분히 다가왔다는 점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2가지 기사를 참고하면 공감이 될 것이고, 그에 따른 조치 방법에 대해서도 충분히 공감되고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적인 방법은 데비안, 우분투, 민트 리눅스 관련 다양한 자료들을 참고하면 충분하고도 남을 정도로 자세히 언급되어있으니 그런 자료들을 구글링해서 참고하시면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창과 방패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윈도우가 워낙 광범위하게 사용되다보니 보안 문제의 근원지로 광범위하게 활동하도니 이젠 맥OS X와 리눅스의 보급이 빨라짐에 따라서 소위 말하는 세계 3대 데스크탑 운영체제에서 모두 보안 문제에 대해서 각자 나름의 방법으로 심각해서 대처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리눅스의 전세계 보급 및 실사용률은 2%대로 알려져있는데 여하튼 그 비율에 비하면 크래킹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되고 실제로 보안의 문제가 구체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보니 이젠 나름 대중적인 OS가 되었나 봅니다. ㅋㅋ


어떤 OS를 사용하던지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사항을 잘 지키고 잘 관리하여 편안하게 사용하시길...

  • ?
    꼬꼬댁 2017.01.26 15:07

    그런 위험은 도사리고 있죠..리눅스 서버도 해킹당하는 경우 있으니까요.

    하지만 오픈소스는 윈도우나 맥에비해 보안패치가 빨리 나오므로,업데이트,뉴스등을 잘 보고 대처하면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

    윈도우쓰시는 초보자들은 가끔 어디서 줏어들었는지,윈도우 업데이트,백신을 깔면 느려지고, 또 인증문제때문에 피하시는것 같은데,윈도우도 업데이트 잘해줘야합니다.  그 분들 매번 바이러스 먹어도 보안패치,백신을 쓰지 않더군요., ㅎㅎ

    무슨 고사양게임,이런거 하시는분들도 아니고요.  말을 해줘도 들으려 하지않죠...답답해서 한대 쥐어박고 싶을정도..진심입니다.ㅎㅎ 

    평균 2주에 한번씩 바이러스,컴 먹통되어서 A.S부르더군요. 돈은 많은가 봅니다. 2만원달라는걸 더 엊어서 고맙다고 5만원 주더군요..그렇다고 배운것도 아닙니다.  그 다음에 또 같은 증상 일어남..ㅎㅎ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01.31 13:54

    꼬꼬댁님의 말에 공감갑니다.

    많은 분들이 의외로 귀찮아서인지, 돈이 남아 돌아서인지, 시간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피곤해서인지 이유야 어떠하든지 간에 스스로 무엇인지 관리하는 법을 잘 모릅니다. 모르기도 하고 알아도 하지 않고 고집을 피우다 불필요한 돈을 많이 낭비하는 경향이 있죠. ㅎㅎ


    여하튼 보안 문제와 관리 문제는 어떤 OS를 써서 무엇을 하든 당연히 해야되는 필수불가결한 상식적인 일인데 잘 하지 않네요. 물론 스마트폰도 포함시켜야겠죠.


    안드로이드의 파편화 현상과 보안 문제, 그리고 관리 문제는 이미 많은 전문가들 사이에 잘 알려진 사실인데, 특별히 안드로이드에 치중된 한국에서는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엄청나게 많지만 아마도 자신의 스마트폰을 PC 관리하듯이 관리하면서 쓰는 사람은 매우 드물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보면 상식적인 것이 이런 저런 명목으로 관리 안 되다 꼭 어떤 경험을 치뤄야지 조치를 취하고 그리고 또 오래가지 못하고 또 반복적으로 실수를 하고 뭐 그럽니다. 좀 한심스럽기도 하고, 뭐 그렇죠. 동감하는 바입니다. 그러나 알아서 잘 관리하는 사람들은 열심히 잘 관리도 하고 각 OS의 특징을 잘 살려 잘만 사용합니다. 그런 사람들을 좀 대중들이 본받으면 좋겠네요. 그냥 지나가면서 하는 소리입니다. msn038.gifmsn038.gifmsn038.gi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484
1406 리눅스 민트 설치 시 멈춤 현상 6 file 0 jissi 2017.12.28 1687
1405 리눅스 민트 시나몬 1 file 0 ศรีНью-ЙоркX 2016.11.30 7011
1404 리눅스 민트 원격 백업 질문 4 0 Air 2020.04.28 774
1403 리눅스 민트 카카오톡 한글깨짐 현상 문의 4 file 0 민트유저 2019.02.15 2367
1402 리눅스 민트 표준판과 데비안 에디션의 차이점 12 0 행복한펭귄 2017.10.26 2779
1401 리눅스 민트(또는 우분투), 윈도우11.. 두 OS는 궁합이 안 맞는걸까요? 2 0 블랙커피 2021.10.23 918
1400 리눅스 민트19 타라 개발 소식 5 0 행복한펭귄 2018.04.04 713
1399 리눅스 민트에서 내장 그래픽 사용하다가..ㅜㅜ 3 0 블랙커피 2022.01.03 828
1398 리눅스 민트에서 롤을 설치하는데 에러가 났습니다. 1 file 0 라루미 2021.01.30 1043
1397 리눅스 배울만한 기초 책 추천 해주세용~ 1 0 김은아 2019.11.26 1160
1396 리눅스 배포판 리뷰 가이드 1 0 행복한펭귄 2017.01.18 6202
1395 리눅스 배포판 최신 우분투, "잠재적인 심각한 프라이버시 결함 있다" 0 행복한펭귄 2016.04.26 6177
1394 리눅스 배포판중에 가장 깔끔한게 뭘까요? 5 file 0 KimDS 2015.01.03 11817
1393 리눅스 백신은 꼭 필요할까? 7 file 0 행복한펭귄 2016.09.04 10897
1392 리눅스 블랙스크린 관련 문제 2 0 라루미 2023.05.10 594
1391 리눅스 사용에 도움주는 10가지 커뮤니티 사이트 6 0 행복한펭귄 2017.10.26 5328
» 리눅스 사용자가 악성코드에 대해 걱정해야 하는 이유와 대처 방법 2 file 0 행복한펭귄 2017.01.24 5810
1389 리눅스 사이트에서 추천 리눅스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2 file 0 라루미 2022.07.30 729
1388 리눅스 서버 훔쳐 채굴하는 자들, 이미 7만 4천 달러 벌어 1 0 la_Nube 2018.03.30 634
1387 리눅스 설치 흔적 2 file 0 liberta 2021.12.23 731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