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492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월 12일에 QEMU의 보안 취약점 CVE-2017-9524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QEMU에 네트워크 블락 디바이스(NBD) 서버 지원으로 빌드를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nbd_negotiate () 함수와 통신이 이루어지기 전의 초기화 실패를 이용하여, 원격 공격자가 세그먼테이션 오류(Segmentation Fault) 또는 서버 크래시와 같은 서비스 거부(DoS)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Debian>

데비안에서는 위 보안 취약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데비안 9 Stretch (Stable)
 : 현재 최신버전인 qemu 1:2.8+dfsg-6 에서 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vulnerable)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 qemu 1:2.1+dfsg-12+deb8u6 에서 보안 패치 완료 (fixed)

데비안 7 Wheezy
 : qemu 1.1.2+dfsg-6+deb7u20 에서 보안 패치 완료 (fixed)

 : qemu-kvm 1.1.2+dfsg-6+deb7u22 에서 보안 패치 완료 (fixed)



<Ubuntu>

우분투에서는 위 보안 취약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우분투 17.04
 : 현재 최신버전인 qemu 1:2.8+dfsg-3ubuntu2.2 에서 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6.10
 : 현재 최신버전인 qemu 1:2.6.1+dfsg-0ubuntu5.5 에서 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18.2
 : 현재 최신버전인 qemu 1:2.5+dfsg-5ubuntu10.14 에서 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현재 최신버전인 qemu 2.0.0+dfsg-2ubuntu1.34 에서 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나, 아직 보안 패치가 없음 (needed)

우분투 12.04 LTS / 리눅스민트 13
 : 지원종료



보안 패치가 발표된 데비안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보안 업데이트를 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oss.sios.com/security/qemu-security-vulnerability-20170709
https://security-tracker.debian.org/tracker/CVE-2017-9524
https://people.canonical.com/~ubuntu-security/cve/2017/CVE-2017-9524.html


--


출처: http://la-nube.tistory.com/186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 ?
    만화가엄두 2017.07.11 00:22

     사람에게 보약 챙겨먹이듯, la_Nube 님 글 볼 때마다 알려주신 명령어 그대로 붙여넣어서 보안패치 해주고 있답니다. 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
    la_Nube 2017.07.11 01:45

    ㅎㅎ 저 명령어만으로도 쉽게 업데이트가 되니 리눅스는 참 좋지요 ㅎㅎ

    터미널이 무서운(?) 분들은 직접 마우스로 클릭하여 업데이트를 찾아서 하면 되구요 ㅎㅎ


  1.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Date2019.11.18 ByKevin Views17330 Votes0
    read more
  2. 우분투 16.04 리눅스 HWE 커널 보안 업데이트 USN-3371-1

    Date2017.07.29 Byla_Nube Views4840 Votes0
    Read More
  3. 여러 개발자들의 리눅스 게임 판매 통계

    Date2017.08.06 By행복한펭귄 Views4849 Votes0
    Read More
  4. 우분투(Ubuntu)에서 커널 4.12를 설치하는 방법

    Date2017.07.08 Byla_Nube Views4851 Votes0
    Read More
  5. [배포판] PCLinuxOS-2017.06.26 한글화 베타 1 버전 발표

    Date2017.07.07 By행복한펭귄 Views4855 Votes0
    Read More
  6. 이번에 사지방 컴퓨터가 전부 하모니카os로 바뀌었습니다.

    Date2019.10.16 By가벼운게최고 Views4870 Votes0
    Read More
  7. [질문] webdav 이거 왜 안 되나요? ㅠㅠ

    Date2017.07.21 By바람곰돌 Views4875 Votes0
    Read More
  8. [소식] 우분투 지원 PC 발표

    Date2016.04.14 By행복한펭귄 Views4907 Votes0
    Read More
  9. 우분투/리눅스민트/하모니카 크로미움 59.0.3071.109 발표

    Date2017.07.05 Byla_Nube Views4920 Votes0
    Read More
  10. 리눅스 QEMU 보안 취약점 CVE-2017-9524

    Date2017.07.09 Byla_Nube Views4922 Votes0
    Read More
  11. 사지방 하모니카

    Date2019.11.15 By쓰레기OS Views4922 Votes0
    Read More
  12. Wine-Staging 2.12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Date2017.07.12 ByMoordev Views4925 Votes0
    Read More
  13. 데비안 Request Tracker 4개 다중 보안 취약점

    Date2017.06.20 Byla_Nube Views4946 Votes0
    Read More
  14. 데비안 Linux Kernel 14개 다중 보안 취약점

    Date2017.06.20 Byla_Nube Views4969 Votes0
    Read More
  15. 당신의 요구에 가장 잘 맞는 리눅스 배포판을 선택하는 방법

    Date2017.06.25 By행복한펭귄 Views4973 Votes0
    Read More
  16. 윈도10 스토어에 우분투가 출시(?)되었습니다!

    Date2017.07.11 Byla_Nube Views4976 Votes0
    Read More
  17. 리눅스 기본 안내서

    Date2017.06.21 By행복한펭귄 Views4993 Votes0
    Read More
  18. 크리타 3.1.4 / AzPainter2 2.0.6 버젼 발표!

    Date2017.07.05 By만화가엄두 Views5017 Votes0
    Read More
  19. 안드로이드를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3가지 방법

    Date2017.08.25 By행복한펭귄 Views5020 Votes0
    Read More
  20. elementary OS의 앱센터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가격을 정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Date2017.07.07 By휘베스드님로인 Views5028 Votes0
    Read More
  21. Calibre v2.55 발표

    Date2016.04.18 By행복한펭귄 Views5037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