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07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우분투에서 다수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가 나왔습니다. 로컬 공격자가 커널 메모리에서 민감한 정보를 유출시키기 위해 악용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CVE-2014-9900, CVE-2017-1000380, CVE-2017-9605와 로컬 공격자가 시스템 충돌을 통해 서비스 거부(DoS)를 일으킬 수 있는 보안 취약점 CVE-2017-7346에 대한 보안 패치입니다.

CVE-2014-990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4-9900
CVE-2017-100038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380
CVE-2017-7346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7346
CVE-2017-9605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9605


우분투 17.04에서 먼저 다음과 같은 보안 패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우분투 17.04
 : linux-image-4.10.0-28-generic-lpae 4.10.0-28.32
 : linux-image-generic-lpae 4.10.0.28.29
 : linux-image-4.10.0-28-generic 4.10.0-28.32
 : linux-image-generic 4.10.0.28.29
 : linux-image-4.10.0-28-lowlatency 4.10.0-28.32
 : linux-image-4.10.0-1011-raspi2 4.10.0-1011.14
 : linux-image-lowlatency 4.10.0.28.29
 : linux-image-raspi2 4.10.0.1011.13

우분투 16.10
 : 지원종료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18.2
 : CVE-2014-9900에 대한 보안 패치가 필요함 <needed>
 : CVE-2017-1000380, CVE-2017-7346, CVE-2017-9605에 대한 보안 패치는 현재 제안된(Proposed) 상태임 <pending>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CVE-2014-9900에 대한 보안 패치가 필요함 <needed>
 : CVE-2017-1000380, CVE-2017-7346, CVE-2017-9605에 대한 보안 패치는 현재 제안된(Proposed) 상태임 <pending>

우분투 12.04 LTS / 리눅스민트 13
 : 지원종료


보안 패치가 완료된 우분투 17.04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이번 보안 패치는 커널에 대한 보안 패치이므로,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리눅스민트, 하모니카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usn.ubuntu.com/usn/usn-3358-1/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4-9900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380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7346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9605



출처: http://la-nube.tistory.com/207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1.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2. 요런 OS도 있네요?!

  3. 요런 것도 있군요?!

  4. 요리 레시피 관리는 리눅스로...

  5. 요즘 놋북 뭐가 좋을까..

  6. 요즘 첫 성공이후에 한창 안드로이드 시스템 빌드(PDK)..에 맛들리는중입니다 ㅋ(소위 커스텀롬)

  7. 용도별 최고의 리눅스 배포판 선정하는 방법

  8. 용어의 난해함

  9. 우리은행 공인인증서 보안 솔루션 제공 업체에 문의해보았습니다.

  10. 우리은행 인터넷뱅킹 문의

  11. 우분투 '유니티' 꿈 버리다

  12. 우분투 (리눅스) 16.10 지원종료 - 2017년 7월 20일

  13. 우분투 (리눅스) 커널 보안 취약점 CVE-2014-9900, CVE-2017-1000380, CVE-2017-7346, CVE-2017-9605

  14. 우분투 14.04 LTS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 2018.03.08.

  15. 우분투 14.08(?) / mint 19 초보가 2가지 설치 후 ....

  16. 우분투 16.04 LTS 구경하기

  17. 우분투 16.04 LTS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 2018.03.14.

  18. 우분투 16.04 LTS 배포판의 종류별 다운로드 받기

  19. 우분투 16.04 LTS 지니얼 제루스를 써야하는 이유

  20. 우분투 16.04 리눅스 HWE 커널 보안 업데이트 USN-3361-1

  21. 우분투 16.04 리눅스 HWE 커널 보안 업데이트 USN-3371-1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