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12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USN-3364-1에서 우분투 16.04 LTS(Long Term Support; 장기지원)의 리눅스 커널 4.4의 보안 취약점들이 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USN-3364-2에서 우분투 14.04 LTS의 리눅스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HWE(Hardware Enablement) 커널 4.4에도 같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6건의 보안 취약점들이 해결되었습니다.

1. CVE-2014-990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4-9900
2. CVE-2015-8944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5-8944
3. CVE-2017-100038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380
4. CVE-2017-7346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7346
5. CVE-2017-915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9150
6. CVE-2017-9605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9605


우분투에서 위 6건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한, 다음과 같은 보안 패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18.1
 : linux-image-powerpc-smp 4.4.0.87.93
 : linux-image-powerpc-e500mc 4.4.0.87.93
 : linux-image-4.4.0-1067-snapdragon 4.4.0-1067.72
 : linux-image-4.4.0-87-generic-lpae 4.4.0-87.110
 : linux-image-generic 4.4.0.87.93
 : linux-image-powerpc64-emb 4.4.0.87.93
 : linux-image-4.4.0-87-lowlatency 4.4.0-87.110
 : linux-image-4.4.0-87-powerpc64-emb 4.4.0-87.110
 : linux-image-4.4.0-87-generic 4.4.0-87.110
 : linux-image-4.4.0-87-powerpc-smp 4.4.0-87.110
 : linux-image-4.4.0-87-powerpc64-smp 4.4.0-87.110
 : linux-image-generic-lpae 4.4.0.87.93
 : linux-image-snapdragon 4.4.0.1067.60
 : linux-image-4.4.0-1065-raspi2 4.4.0-1065.73
 : linux-image-4.4.0-87-powerpc-e500mc 4.4.0-87.110
 : linux-image-lowlatency 4.4.0.87.93
 : linux-image-raspi2 4.4.0.1065.66
 : linux-image-powerpc64-smp 4.4.0.87.93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linux-image-powerpc-smp-lts-xenial 4.4.0.87.72
 : linux-image-4.4.0-87-generic-lpae 4.4.0-87.110~14.04.1
 : linux-image-generic-lts-xenial 4.4.0.87.72
 : linux-image-lowlatency-lts-xenial 4.4.0.87.72
 : linux-image-generic-lpae-lts-xenial 4.4.0.87.72
 : linux-image-4.4.0-87-powerpc64-emb 4.4.0-87.110~14.04.1
 : linux-image-4.4.0-87-generic 4.4.0-87.110~14.04.1
 : linux-image-powerpc64-emb-lts-xenial 4.4.0.87.72
 : linux-image-4.4.0-87-powerpc-smp 4.4.0-87.110~14.04.1
 : linux-image-4.4.0-87-powerpc64-smp 4.4.0-87.110~14.04.1
 : linux-image-powerpc64-smp-lts-xenial 4.4.0.87.72
 : linux-image-4.4.0-87-lowlatency 4.4.0-87.110~14.04.1
 : linux-image-4.4.0-87-powerpc-e500mc 4.4.0-87.110~14.04.1
 : linux-image-powerpc-e500mc-lts-xenial 4.4.0.87.72


배포판 및 현재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터미널에 lsb_release -a && uname -a 라고 입력합니다.


<Ubuntu>

커널 4.10을 사용하는 우분투 16.04 LTS의 HWE 커널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지원이 종료된 커널 4.8을 사용하는 우분투 16.04 LTS의 HWE 커널 사용자는 http://la-nube.tistory.com/210 을 참고하세요.)
커널 3.13을 사용하는 우분투 14.04 LTS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우분투 16.04 LTS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보안 패치를 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우분투 14.04 LTS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보안 패치를 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이번 보안 패치는 커널에 대한 보안 패치이므로,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LinuxMint/HamoniKR>

커널 4.10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8.2의 HWE 커널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지원이 종료된 커널 4.8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8.2의 HWE 커널 사용자는 http://la-nube.tistory.com/210 을 참고하세요.)
커널 3.13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7~17.2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리눅스민트 18~18.1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에서 "커널 4.4" 중 최신버전을 설치하기 바랍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커널 4.4.0-87 입니다.

리눅스민트 17.3 및 하모니카 2.1 사용자께서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에서 최신버전을 설치하기 바랍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커널 4.4.0-87 입니다.

이번 보안 패치는 커널에 대한 보안 패치이므로, 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에서는 시작 메뉴 - 종료 - 다시 시작(R)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usn.ubuntu.com/usn/usn-3364-1/
https://usn.ubuntu.com/usn/usn-3364-2/

출처: http://la-nube.tistory.com/212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 ?
    바람곰돌 2017.07.25 18:43

    민트 mate와 xfce 18.2 버전 모두 커널을 4.10.27로 업그레이드 한 상태인데요. LMDE의 경우 4.9.x 에서 jessie backport에 올라오지 않은건지...업그레이드 명령을 내려도 올라가지 않네요. LMDE는 올리지 않아도 되는거죠?

  • ?
    la_Nube 2017.07.26 03:38

    LMDE는 우분투가 아닌 데비안이기 때문에 위 커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데비안의 커널은 아직 업데이트된 것이 없어요. ㅎㅎ 6월 말에 나온 것이 마지막입니다.

    데비안은 모든 것이 매우 안정적이고 다른 말로 매우 느립니다. 커널 업데이트까지도요. 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842 크롬 '안전하지 않음' 경고 확대, 파장 예고 8 0 la_Nube(누베) 2018.07.05 869
841 mpv 그래픽 3 0 Ohnine 2017.12.30 867
840 하모니카도 여기에 등재되는날이 오면 좋겠네요 2 0 민트초코너무좋아 2020.06.29 866
839 라이선스 중복문제. 1 0 민간인28호 2021.04.02 865
838 Boot-select 시간도 설정가능하게 부탁드립니다. 1 0 자유의지 2020.01.21 864
837 많은 분들의 답변 감사드리고 사과드립니다. 6 0 galisany 2020.06.19 863
836 리눅스 커널 5.0.8 미만에서 RCE 취약점 발견됨 1 0 la_Nube(누베) 2019.05.21 863
835 Python 설치시 에러가 뜹니다. 8 file 0 빅파이프 2022.02.28 862
834 CVE-2017-3737 : OpenSSL Read/write after in error state 취약점 1 0 la_Nube 2017.12.12 862
833 키보드 입력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2 0 머털도사 2020.06.07 861
832 커널 5.0의 장점이 뭘까요? 2 0 iloveapink 2019.08.22 860
831 하모니카_테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폰트설치.. 변경은 어떻게 하는것인가요? 9 0 신성 2019.03.25 860
830 (무선랜) 도움 바랍니다. 4 file 0 시트콤처럼 2022.04.14 858
829 우분투(Ubuntu) LTS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 - 4.15.0-29 5 0 la_Nube(누베) 2018.07.23 857
828 안녕하세요 USB2.0은 모두 작동을 않하네요 6 0 그레이독 2021.11.09 856
827 현재 커뮤니티 배포판에 등록된 18.3 xfce 32비트에 관하여... 3 0 Moordev 2018.01.04 855
826 번역은 어려워... 9 0 세벌 2018.01.12 854
825 인텔 관련 이슈 8 0 변신 2018.01.03 854
824 하모니카 서버이전을 알려드립니다. 12 0 Kevin 2018.02.06 853
823 군대 사지방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방법이 궁금합니다. 2 0 하모니카어렵네요 2024.02.28 852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