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15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USN-3378-1에서 우분투 16.04 LTS(Long Term Support; 장기지원)의 리눅스 커널 4.4의 보안 취약점들이 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USN-3378-2에서 우분투 14.04 LTS의 리눅스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HWE(Hardware Enablement) 커널 4.4에도 같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4건의 보안 취약점들이 해결되었습니다.

1. CVE-2017-7533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7533
2. CVE-2017-1000365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365
3. CVE-2017-10810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810
4. CVE-2017-748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7482


우분투에서 위 4건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한, 다음과 같은 보안 패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우분투 16.04 LTS / 리눅스민트 18~18.1
 : linux-image-powerpc-e500mc 4.4.0.89.95
 : linux-image-4.4.0-89-powerpc-smp 4.4.0-89.112
 : linux-image-4.4.0-89-lowlatency 4.4.0-89.112
 : linux-image-4.4.0-89-generic 4.4.0-89.112
 : linux-image-4.4.0-89-powerpc64-smp 4.4.0-89.112
 : linux-image-4.4.0-1028-aws 4.4.0-1028.37
 : linux-image-4.4.0-89-generic-lpae 4.4.0-89.112
 : linux-image-snapdragon 4.4.0.1069.62
 : linux-image-4.4.0-1067-raspi2 4.4.0-1067.75
 : linux-image-powerpc64-emb 4.4.0.89.95
 : linux-image-gke 4.4.0.1024.26
 : linux-image-4.4.0-89-powerpc64-emb 4.4.0-89.112
 : linux-image-generic 4.4.0.89.95
 : linux-image-4.4.0-1024-gke 4.4.0-1024.24
 : linux-image-aws 4.4.0.1028.31
 : linux-image-4.4.0-1069-snapdragon 4.4.0-1069.74
 : linux-image-4.4.0-89-powerpc-e500mc 4.4.0-89.112
 : linux-image-raspi2 4.4.0.1067.68
 : linux-image-powerpc-smp 4.4.0.89.95
 : linux-image-generic-lpae 4.4.0.89.95
 : linux-image-powerpc64-smp 4.4.0.89.95
 : linux-image-lowlatency 4.4.0.89.95


우분투 14.04 LTS /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linux-image-powerpc-smp-lts-xenial 4.4.0.89.74
 : linux-image-generic-lpae-lts-xenial 4.4.0.89.74
 : linux-image-4.4.0-89-powerpc64-emb 4.4.0-89.112~14.04.1
 : linux-image-4.4.0-89-powerpc-smp 4.4.0-89.112~14.04.1
 : linux-image-4.4.0-89-lowlatency 4.4.0-89.112~14.04.1
 : linux-image-lowlatency-lts-xenial 4.4.0.89.74
 : linux-image-generic-lts-xenial 4.4.0.89.74
 : linux-image-4.4.0-89-generic 4.4.0-89.112~14.04.1
 : linux-image-4.4.0-89-generic-lpae 4.4.0-89.112~14.04.1
 : linux-image-powerpc64-smp-lts-xenial 4.4.0.89.74
 : linux-image-powerpc64-emb-lts-xenial 4.4.0.89.74
 : linux-image-4.4.0-89-powerpc-e500mc 4.4.0-89.112~14.04.1
 : linux-image-powerpc-e500mc-lts-xenial 4.4.0.89.74
 : linux-image-4.4.0-89-powerpc64-smp 4.4.0-89.112~14.04.1


배포판 및 현재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터미널에 lsb_release -a && uname -a 라고 입력합니다.


<Ubuntu>

커널 4.10을 사용하는 우분투 16.04 LTS의 HWE 커널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지원이 종료된 커널 4.8을 사용하는 우분투 16.04 LTS의 HWE 커널 사용자는 http://la-nube.tistory.com/210 을 참고하세요.)
커널 3.13을 사용하는 우분투 14.04 LTS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우분투 16.04 LTS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보안 패치를 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우분투 14.04 LTS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보안 패치를 하기 바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이번 보안 패치는 커널에 대한 보안 패치이므로,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LinuxMint/HamoniKR>

커널 4.10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8.2의 HWE 커널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지원이 종료된 커널 4.8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8.2의 HWE 커널 사용자는 http://la-nube.tistory.com/210 을 참고하세요.)
커널 3.13을 사용하는 리눅스민트 17~17.2 사용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리눅스민트 18~18.1의 커널 4.4 사용자께서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에서 "커널 4.4" 중 최신버전을 설치하기 바랍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커널 4.4.0-89 입니다.

리눅스민트 17.3 및 하모니카 2.1 사용자께서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에서 최신버전을 설치하기 바랍니다. 현재 최신버전은 커널 4.4.0-89 입니다.

이번 보안 패치는 커널에 대한 보안 패치이므로, 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에서는 시작 메뉴 - 종료 - 다시 시작(R)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usn.ubuntu.com/usn/usn-3378-1/
https://usn.ubuntu.com/usn/usn-3378-2/

출처: http://la-nube.tistory.com/215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5970
2306 [0.114797] x86/cpu: VMX (outside TXT) disabled by BIOS 해석 부탁드립니다 2 0 자장러로허 2023.08.20 645
2305 프로그램 설치 저장소 관련 2 0 killsystem10 2023.08.19 613
2304 HamoniKR 7.0? 3 0 killsystem10 2023.08.19 832
2303 하모니카 os에서 어크로뱃 pro를 사용해보았습니다. 0 오늘오늘오늘이 2023.08.19 656
2302 HDMI 설정 문의 1 0 빨리빨리 2023.08.13 698
2301 Windows에서 작성한 파일을 편집할 수 없습니다. 2 0 꼬마집오리 2023.08.06 658
2300 하모니카OS를 노트북에 깔았는데 펑션키가 눌린채로 키보드가 작동합니다 1 0 완단다 2023.08.02 605
2299 로그인 암호 입력 몇회이상 틀리면, 모든자료 삭제 1 0 하모태백 2023.07.30 576
2298 하드디스크 관리, hdparm 명령어에 대한 질문입니다. 2 0 블랙커피 2023.10.10 641
2297 외장하드에 하모니카 os 설치하고 사용하다가 오류 발생 3 file 0 오늘오늘오늘이 2023.07.18 705
2296 혹시 한글 2022 저장소 문제는 한컴에서 서버를 닫은걸까요..? 3 0 Quebecois 2023.07.12 1066
2295 megasync 에러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ㅠㅠ 4 0 한개교 2023.07.07 637
2294 Centos 디스플레이 환경 변수 에러 1 0 luis 2023.06.30 627
2293 해상도 1920 1080이 안 돼요 17 0 자장러로허 2023.06.24 947
2292 하모니카 6가 안 깔려요 ㅠㅠ 3 0 자장러로허 2023.06.23 869
2291 하모니 게시판 반갑습니다~ 1 0 휘랑스 2023.06.18 601
2290 하모니카 사이트 미리 점검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2 0 KongS 2023.06.18 793
2289 하모니카 쓰는데 얼마나 걸릴 까요? 1 0 gsad 2023.06.15 757
2288 하모니카 6 버전 설치했는데 v3가 없네요. 5버전에는 있다고 하는데 설치방법 부탁드립니다. 1 0 hoon88 2023.06.14 873
2287 [SD러닝데이] 의도대로 사용하는 스테이블디퓨전 사용법과 AI생성이미지의 이해 0 인공지능팩토리 2023.06.13 52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