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25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배포판 및 커널 버전확인하는 방법>

터미널에 lsb_release -a && uname -a 라고 입력합니다.


--


<Debian>


데비안 9 Stretch (Stable)

 - 장기지원 커널 4.9 : 커널 4.9.30-2+deb9u3 최신버전 확인

 - 2022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Betsy

 - 장기지원 커널 3.16 : 커널 3.16.43-2+deb8u2 최신버전 확인

 - 2020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 7 Wheezy

 - 장기지원 커널 3.2 : 커널 3.2.89-2 최신버전 확인

 - 2018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


<Ubuntu>


우분투 17.04

 - 커널 4.10 (9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30 에서 커널 4.10.0-32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4-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4-1/

 - 2018년 1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6.10

 - 지원종료



우분투 16.04 LTS

 - GA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89 에서 커널 4.4.0-91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5-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5-1/


 - HWE 커널 4.10 (6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30 에서 커널 4.10.0-32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4-2: Linux kerne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4-2/

 -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4.04 LTS

 - GA 커널 3.13 (장기지원) : 커널 3.13.0-126 에서 커널 3.13.0-128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6-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6-1/


 - HWE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89 에서 커널 4.4.0-91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5-2: Linux kernel (Xenia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5-2/

 -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2.04 LTS

 - 지원종료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y dist-upgrade && sudo apt-get -y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sudo reboot


*우분투에서는 GA(General Availability), HWE(Hardware Enablement), HWE Edge 중 하나의 커널만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조린OS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


<Linux Mint/HamoniKR>


리눅스민트 18.2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커널 4.10" 중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10.0-30 에서 커널 4.10.0-32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4-2: Linux kerne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4-2/

 -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8, 18.1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권장하는 보안 업데이트" 설치 : 커널 4.4.0-89 에서 커널 4.4.0-91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5-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5-1/

 -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4.0-89 에서 커널 4.4.0-91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1. CVE-2017-1000112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2

   2. CVE-2017-1000111 : http://people.ubuntu.com/~ubuntu-security/cve/CVE-2017-1000111

   <참고> USN-3385-2: Linux kernel (Xenia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385-2/

 -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3

 - 지원종료


*리눅스민트와 하모니카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시작 메뉴 - 종료 - 다시 시작(R)


--


<RHEL/CentOS>


RHEL 7.3-1611 / CentOS 7.3-1611

 - 장기지원 커널 3.10 : 커널 3.10.0-514.26.2.el7 최신버전 확인

 - 2024년 6월 30일 지원종료 예정


RHEL 6.9 / CentOS 6.9

 - 장기지원 커널 2.6 : 커널 2.6.32-696.6.3.el6 최신버전 확인

 - 2020년 11월 30일 지원종료 예정


RHEL 5.11 / CentOS 5.11

 - 지원종료


*RHEL과 CentOS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 sudo yum update


*RHEL과 CentOS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lts-xenial/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edge

https://launchpad.net/~canonical-kernel-team/+archive/ubuntu/ppa

http://kernel.ubuntu.com/~kernel-ppa/mainline/

https://packages.debian.org/stretch/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stretch/linux-image-4.9.0-3-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backports/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backports/linux-image-4.9.0-0.bpo.3-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linux-image-3.16.0-4-amd64

https://packages.debian.org/wheezy/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wheezy/linux-image-3.2.0-4-amd64

https://wiki.debian.org/DebianReleases

http://vault.centos.org/6.9/updates/Source/SPackages/

http://vault.centos.org/7.3.1611/updates/Source/SPackages/

http://vault.centos.org/

https://access.redhat.com/support/policy/updates/errata/

https://wiki.centos.org/About/Product



출처: http://la-nube.tistory.com/225 [la Nube의 소소한 취미생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2301 하모니카1.3 virtualbox 설치시 오류 2 0 짱구신 2019.05.26 765
2300 하모니카, 리눅스민트17 사용자입니다. 오늘 처음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테마기능은 어디서...? 1 0 hensum2007 2016.11.22 6364
2299 하모니카(리눅스) OS 처음 사용자입니다. 5 0 파파스머프 2020.01.20 1167
2298 하모니카 활용하기 1-3~1-5까지 언제 올려주나요 빨리좀 부탁드려요... 1 0 프리 2015.02.23 7526
2297 하모니카 홈피 화면 확대 알았어요. 0 ... 2015.01.07 9755
2296 하모니카 홈페이지 메인창이 좀 이상합니다. 5 0 참새 2016.08.14 5688
2295 하모니카 홈페이지 레이아웃이 이상하게 나오네요? 5 0 세벌 2019.06.12 675
2294 하모니카 홈페이지 제안 3 0 세벌 2021.01.27 887
2293 하모니카 해상도 문제 0 야매씨 2015.03.22 8183
2292 하모니카 한글? 4 0 세벌 2014.12.13 10124
2291 하모니카 한글 안됨 8 0 cancaodosang 2019.03.01 993
2290 하모니카 플랭크 제거 방법 1 file 0 Fomalhaut 2020.12.07 1326
2289 하모니카 프로젝트는 나라에서 돈 받으면서도 한글 관련 버그를 쌩깠습니다. 5 0 김호동 2019.06.10 1029
2288 하모니카 파티션 설정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4 file 0 acrix 2022.09.18 587
2287 하모니카 파일 공유시 만든 계정에 권한 중 5 0 soulowner 2015.03.02 9074
2286 하모니카 터미널 없이 할수 있는게 있을까요? 5 0 싱클레어 2019.11.20 2448
2285 하모니카 키아나(Qiana) 버전 릴리즈 노트 및 변경 요약 5 0 하모니카 2014.12.29 52478
2284 하모니카 키아나(Qiana) RTM 버전 릴리즈 일정 변경 공지 드립니다. 5 0 하모니카 2015.05.15 10325
2283 하모니카 키아나 1.0 정식버전 출시합니다. 15 0 하모니카 2015.12.06 37793
2282 하모니카 커뮤니티는 아닌것 같습니다 19 0 Inasis 2016.04.04 580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