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 http://la-nube.tistory.com/229



<배포판 및 커널 버전 확인하는 방법>
터미널에 lsb_release -a && uname -a 라고 입력합니다.

--

<Debian>

데비안 9 Stretch (Stable)
 - 장기지원 커널 4.9 : 커널 4.9.30-2+deb9u3 최신버전 확인
 - 2022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Betsy
 - 장기지원 커널 3.16 : 커널 3.16.43-2+deb8u3 으로 업데이트
 - 2020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 7 Wheezy
 - 장기지원 커널 3.2 : 커널 3.2.89-2 최신버전 확인
 - 2018년 중 지원종료 예정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y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y && sudo apt-get autoclean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sudo reboot

--

<Ubuntu>

우분투 17.04
 - 커널 4.10 (9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3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4-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4-1/
 - 우분투 17.04는 2018년 1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6.10
 - 지원종료


우분투 16.04 LTS
 - GA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9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5-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5-1/

 - HWE 커널 4.10 (6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3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4-2: Linux kerne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4-2/
 - 우분투 16.04 LTS는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4.04 LTS
 - GA 커널 3.13 (장기지원) : 커널 3.13.0-129 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6-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6-1/

 - HWE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9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5-2: Linux kernel (Xenia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5-2/
 - 우분투 14.04 LTS는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2.04 LTS
 - 지원종료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y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y && sudo apt-get autoclean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sudo reboot

*우분투에서는 GA(General Availability), HWE(Hardware Enablement), HWE Edge 중 하나의 커널만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조린OS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

<Linux Mint/HamoniKR>

리눅스민트 18.2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커널 4.10" 중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10.0-3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4-2: Linux kerne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4-2/
 - 리눅스민트 18.2는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8, 18.1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권장하는 보안 업데이트" 설치 : 커널 4.4.0-9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5-1: Linux kernel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5-1/
 - 리눅스민트 18, 18.1은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4.0-93 으로 업데이트
   다음의 보안 취약점들을 해결하였음
   <참고> USN-3405-2: Linux kernel (Xenial HWE) vulnerabilities - https://usn.ubuntu.com/usn/usn-3405-2/
 - 리눅스민트 17.3 / 하모니카 2.1은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3
 - 지원종료

*리눅스민트와 하모니카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시작 메뉴 - 종료 - 다시 시작(R)

--

<RHEL/CentOS>

RHEL 7.3-1611 / CentOS 7.3-1611
 - 장기지원 커널 3.10 : 커널 3.10.0-514.26.2.el7 최신버전 확인
 - 2024년 6월 30일 지원종료 예정

RHEL 6.9 / CentOS 6.9
 - 장기지원 커널 2.6 : 커널 2.6.32-696.10.1.el6 으로 업데이트
 - 2020년 11월 30일 지원종료 예정

RHEL 5.11 / CentOS 5.11
 - 지원종료

*RHEL과 CentOS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sudo yum update

*RHEL과 CentOS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sudo reboot

--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과 RHEL 5 ELS(Extended Lifecycle Support)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출처 : http://la-nube.tistory.com/2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1062 리눅스 10가지 유용한 활용법 6 0 행복한펭귄 2017.10.31 3247
1061 불편사항 말씀드려요. 6 0 군수생 2019.10.19 3252
1060 Tomb Raider(툼 레이더) 2013버전이 리눅스로 컨버전되어 발표 예정입니다.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9 3260
1059 리눅스민트 18.3 코드네임 실비아(Sylvia), 2017년 12월 6 0 la_Nube 2017.10.09 3265
1058 [소식] Krita 3.0 오픈소스 디지탈 페인팅 툴 5월 1일 첫번째 알파 발표 준비 중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0 3284
1057 오픈소스 클라우드 오피스SW, ‘오픈365′ 공개 2 0 행복한펭귄 2016.04.28 3323
1056 3.0 버전에서 카톡 질문 있습니다. 3 0 372 2019.12.25 3325
1055 Visual Studio Code C언어 conio.h 오류 5 file 0 싱클레어 2019.12.03 3345
1054 Oracle Releases VirtualBox 5.0.18, Adds Initial Support for Linux Kernel 4.6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19 3357
1053 MX Linux도 좋긴 하네요. 하지만... 6 0 경은 2019.03.07 3367
1052 리눅스 터미널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2 0 Tara 2019.10.03 3367
1051 [소식] ubuntuBSD 15.10 Beta 4 Released with Xfe as the Default File Manager 2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9 3373
1050 Parted Magic 2016_04_26 버전 발표 2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28 3392
1049 하모니카OS 실패 이유는 6 0 papa1 2017.10.17 3422
1048 사지방 하모니카 컴파일러 4 0 싱클레어 2019.11.21 3423
1047 구름 OS 관련하여 2 file 0 사과나무79 2018.02.02 3426
1046 윈도우와 리눅스의 파일공유 (NitroShare) 2 0 string 2016.08.23 3473
1045 [소식] 오픈소스 AMDGPU 리눅스 드라이버가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3495
1044 우분투 17.10 Artful Aardvark 출시 예정 - 2017년 10월 19일 7 0 la_Nube 2017.10.13 3498
1043 초보자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릴 역대급 아이콘들의 향연 6 0 string 2016.05.06 3524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