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2942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267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리눅스민트에서는 우분투가 사라질 경우를 대비하여 우분투가 아닌 데비안에 기반하는 LMDE라는 배포판을 만들어 오고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많은 프로젝트와 기술 개발에 있어 리눅스민트 밖에서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민트와는 다른 별개의 배포판을 계속하여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LMDE는 Linux Mint Debian Edition의 약자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리눅스민트에서 만든, 우분투가 아닌 데비안에 기반하는 배포판임을 의미합니다. LMDE는 현재 데비안 8 Jessie에 기반하여 만든 LMDE 2가 나와 있었는데, 올해 6월에 데비안 9 Stretch가 출시됨에 따라 다음 버전인 LMDE 3의 출시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대하여 리눅스민트 블로그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MDE 3의 코드네임은 Cindy가 될 것입니다.


LMDE 2가 Betsy라서, 다음 코드네임은 알파벳 C로 시작할 것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2. LMDE 3는 데비안 9 Stretch에 기반하여 나올 예정입니다.


베이스가 되는 데비안 버전도 데비안 9 Stretch가 될 것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었지요^^

따라서 LMDE 3에서 사용하게 될 커널 역시 현재 데비안 9 Stretch에서 사용하는 커널 4.9 버전이 될 것입니다.


3. LMDE 3는 2018년 1분기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일정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내년 1분기에 나올 것이라고 하니 벌써부터 기대가 되는군요.

그리고 올해 12월에는 리눅스민트 18.3 Sylvia도 나올 예정이지요^^


4. LMDE 3는 Cinnamon(시나몬) 3.8을 탑재한 버전만 출시될 예정입니다.


리눅스민트는 시나몬, MATE(마테), Xfce, KDE의 4가지 버전으로 출시해왔고,

(그 중에서 KDE 버전은 이제 리눅스민트 19부터 사라지게 되지요 ㅠㅠ)
LMDE 2에서는 시나몬과 마테, 오직 2가지 버전으로만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2가지 중에서 마테가 사라지고, 시나몬만 남게 되었네요. ㅠㅠ

10년 된 노트북에 LMDE 2 마테 32비트가 깔려 있는데, 좀 아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LMDE는 그 기반이 되는 데비안의 Full지원과 장기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데비안 8 Jessie로 만든 LMDE 2는 2018년에 Full지원이 종료되며, 2020년에 장기지원이 종료됩니다.

그리고 내년에 나오게 될 LMDE 3는 2020년에 Full지원이 종료되며, 2022년에 장기지원이 종료됩니다.



<참고>

https://blog.linuxmint.com/?p=3418



출처: http://la-nube.tistory.com/267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
    바람곰돌 2017.10.27 20:00
    아 이건 좀 아쉬운데요 mate가 빠지다니. 설치하고 mate를 개인 유저가 따로 설치할 수 있겠....죠?
  • ?
    la_Nube 2017.10.28 00:27

    그럴 수 있으면 참 좋겠는데 어찌 될지 모르겠네요 ㅠㅠ 마테 프로젝트가 리눅스민트에서 떨어져 나간 이후에, 점차적으로 리눅스민트가 관리하는 시나몬만 살아남지 않을가 했는데 LMDE 3부터 그렇게 되니 많이 아쉽네요 ㅠㅠ

  • ?
    Moordev 2017.10.28 02:09
    Mate가 독립한 이후 민트만의 MATE는 나오지 않지만 MATE자체는 성공적으로 독립되어 별도의 데스크탑환경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만약 MATE를 원하신다면 당연히 따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Kylin-desktop도 우분투기린이 아니어도 설치가 가능하게 독립되었는데 독립되어 만들어져서 어느 배포판이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심어 기린도 MATE기반입니다.)
  • ?
    바람곰돌 2017.10.28 10:02

    하모니카 쓰다가 블루투스 문제랑 기타 이것저것 걸려서 결국 민트로 갈아타서 지금까지 잘 쓰고 있는데요. 구형 넷북에는 xfce, 사양이 높은 데스크탑과 노트북은 mate로 굴리는데, xfce도 빠져나가는 것 같고 mate도 빠져나가는 것 같고 거기다 32bit도 점차 없어지는 추세고. 이제 구형들은 버려야할 시점인가 봅니다. 아깝네요. 쩝.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0.29 14:01

    32비트 시스템 지원이 점점 끊기고 다양한 데스크탑 환경 지원도 그렇게 흐르고....

    그렇다고 32비트 지원이 아예 안 되는 것도 아니고, 멀쩡한 데스크탑 환경 지원이 전혀 지원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사용자가 수고롭게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입니다.

    이미 잘 아시겠지만 디스트로와치에 가시면 다양한 배포판이 있으니 각자 사용 용도 및 버전과 데스크탑 환경에 맞는 배포판을 찾아서 적절하게 잘 사용하면 됩니다.

    분위기 타지 맙시다. ㅋㅋ

  • ?
    꼬꼬댁 2017.10.28 14:30

    제가 지금 lmde를 쓰고있습니다. 전 장비들이 3,4년된것들이라, 커널이고 뭐고 이상없이 잘 작동합니다.  wifi도 문제없습니다.  앞으로 당장 새장비 구입할 계획은 없구요.  그래픽 카드 장착할 이유도 없고... 아마도 새장비를 구입하게 된다면 리눅스에서 정상작동되는것들만 확인해서 구입하려구요.  프린트,스캐너등은 HP로 사게될것 같군요.


    또한 사용하다가 문제생기면 usb라이브부팅으로 검색해서 찾으면 되니까요.  거의 업데이트,업그레이드 할때 문제가 생기더만요.


    리눅스 배포판들은 이런 라이브 부팅으로 해결할수 있으니 참 좋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0.29 14:02

    맞아요. 자신이 리눅스 시스템을 이용해서 추구하는 것 그 자체를 명확히 한다면 다양한 배포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최적으로 얼마든지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각 OS마다 장점이 있듯이 리눅스는 리눅스 만의 장점이 있으니, 그 장점을 잘 활용하는 것이 현명한 소비이자 생산인 것으로 보입니다.


  • ?
    Playing 2017.12.06 15:42

    꼬꼬댁님 글잘 봤습니다

    아오 라이브 부팅 어떻게 하는것인지 헷갈리네요

    그냥 CD 넣고 가능한 것은 기억납니다


    다만 그게 아니고 혹시 하드디스크에 iso 형태로 두거나

    아니면 이미 설치된 파일 형식으로 어떻게 해가지고 곧장 라이브 부팅이 가능한 건가요? 그렇다면 대단히 유용할꺼 같습니다


    윈도우즈에서는 WIM 부팅이 비슷한 취지 같고요

    SLAX인가하는 데비안 기반 배포판은 하드디스크에 두고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하모니카나 리눅스민트(LMDE)에서 쉽게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 ?
    krhamoni 2017.10.29 10:02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
    Playing 2017.12.06 15:39

    글 잘 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2341 하모니카os에서 오버워치 잘되네요 0 한국사람 2020.11.25 879
2340 하모니카OS에 접근제어 2차 인증 솔루션인 BaroPAM 테스트 완료 4 file 0 더불어 2019.06.26 2537
2339 하모니카OS를 좀더 능동적으로 잘 활용하시고 싶은분들에게... 13 file 0 행복한펭귄 2017.05.04 8483
2338 하모니카OS를 노트북에 깔았는데 펑션키가 눌린채로 키보드가 작동합니다 1 0 완단다 2023.08.02 452
2337 하모니카os 설치가 진행되지 않아요 1 0 Goodsims 2021.08.06 1913
2336 하모니카OS 설치 후 입력키보드 문제 3 0 말없는벌새 2020.08.05 705
2335 하모니카os 리그오브레전드 실행 오류 및 배틀넷 설치 관련 질문 1 0 kaisia 2024.01.29 651
2334 하모니카OS v3.0에 정보자산 접근제어 2차 인증 솔루션인 BaroPAM 테스트 완료 0 더불어 2019.11.21 1742
2333 하모니카os 6.0에서 카카오톡 한글이 되지 않습니다. 3 0 라루미 2022.11.20 671
2332 하모니카OS 5.0에서 루트리스나 생으로 배틀넷을설치하는데 되지 않습니다. 1 0 라루미 2022.08.09 579
2331 하모니카OS 5.0에서 MS 파워포인트 온라인 스크린샷 1 file 0 칩헤드 2021.10.25 691
2330 하모니카os 4.0 소개보면 베틀넷도 되던데 와인으로 해야되나요? 0 한국사람 2020.11.22 782
2329 하모니카OS 2차 인증 솔루션인 BaroPAM을 적용한 동영상 0 더불어 2020.03.25 805
2328 하모니카OS 태백을 랩탑에 설치하여 사용중입니다. 카메라앱 추천 부탁? 2 0 하늘구름 2023.09.17 492
2327 하모니카OS 실패 이유는 6 0 papa1 2017.10.17 3422
2326 하모니카7.0 패널 설정 메뉴 1 0 포토슬럼프 2023.12.03 464
2325 하모니카7 하단 패널 부분을 수정하려면 어디서 해야 하나요? 1 file 0 K299792458 2024.01.03 399
2324 하모니카7 터미널 확대하기 단축키 ctrl+ + 키로 되어 있는데 안됩니다. 1 0 친절한우주인 2024.05.31 16
2323 하모니카6.0으로 웹게임 히어로즈 해 본 소감.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2.12.06 662
2322 하모니카6 태백 텔레그램 한글 입력 안 됨 3 0 slave 2022.12.28 6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