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2242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취미로 아두이노 가끔 가지고 놉니다.

아두이노 IDE는 한국어 번역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 설명서에 한국어는 없네요.

그래서 일단 저질러 봤습니다.

https://forum.arduino.cc/index.php?topic=510822.0


기다려 보고, 승인 나면? 한국어 페이지 함께 만들어봐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14 19:31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생활이 바쁠텐데 그런 와중에도 실제적으로 이런 활동을 꾸준하게 하시는 몇 분들의 모습을 보니 정말 부럽네요.


  • ?
    Moordev 2017.11.15 22:44
    오호 그렇군요. 한국어 설명을 하면 좋다는 것을 왜 몰랐을까요?
    아두이노쓰면서 구글링 자주 했는데 영어가 익숙해진 나머지 한국어 매뉴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전혀 못했습니다.

    저도 시간나는 대로 돕겠습니다. 저도 아두이노 자주 갖고 놀거든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16 12:08

    어디서나 한국어 설명은 많은 사람들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부분이라 보입니다.


    물론 최근에 구글 번역, 네이버 번역, 시스트란 번역과 같은 전문적인 번역이 상당한 수준이라서 이를 참고만해도 상당한 수준이지만, 아무래도 아주 전문적인 부분은 사람의 손을 거치는 것이 좀더 확실하고 안정적인 그리고 누가봐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문서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생각보다 영어에 친숙하지 못하니, 대중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친절한 한국어 설명서가 필수 중에 필수라고 보입니다.


    예를 들면 옛날 길벗 출판사의 무작정 따라하기 수준으로 나오면 가장 좋겠지만, 사실 이런 정도의 문서화 작업을 하려면 전문팀이 생겨서 집중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사실상 힘들고, 그냥 공식 메뉴얼 번역만 안정적으로 번역되어서 보급만 되어도 접근성이 한결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카페, 블로그 등이 활성화되면 가장 좋지만, 아직까지는 오픈소스와 공개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식이 생각보다 낮아서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1순위는 무엇보다도 한국어 친절한 설명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 ?
    세벌 2017.12.06 07:59

    https://www.arduino.cc/reference/ko/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어 반영되었습니다. 계속 보완하고 있습니다.


    제가 시작한 일에 함께 하려면

    https://github.com/arduino/reference-ko/

    에서 시작하면 됩니다.

    위의 Fork 버튼을 눌러서 fork 한 후 작업 하고 pull request 해 보셔요.


    pull request 한 것을 관리자가 받아주면, 작업한 내용이 공식 홈페이지에 반영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2.06 11:53

    아두이노 공식 한국어가 반영되었군요.

    정말 고생이 많으십니다.

    아무리 사소한 것들도 차분하게 꾸준하게 해나가다보면 상당히 위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 소식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니 KLDP를 포함하여 다양한 리눅스 커뮤니티에 알려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수고 많이 많이하세요.


  • ?
    Playing 2017.12.06 14:25

    세벌님 글 잘 봤습니다

    의욕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1.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Date2019.11.18 ByKevin Views17435 Votes0
    read more
  2. stacer 업데이트만 했을 뿐인데 업데이트 오류. 헬프미~

    Date2021.05.05 By친절한우주인 Views1968 Votes0
    Read More
  3. 우분투 18.04 LTS 기본 디스플레이 서버 xorg로 회귀

    Date2018.01.30 By그럴sudo Views1979 Votes0
    Read More
  4. 사지방에서 하모니카를 이용해보려 하는 군인입니다.

    Date2019.12.30 ByGV솔그린 Views1984 Votes0
    Read More
  5. 사지방 하모니카 브라우저 사용중인데 visual studio code 프로그램 실행이 안됩니다...

    Date2023.02.15 Bydonatzz Views1986 Votes0
    Read More
  6. 구글 로그인 관련

    Date2019.10.14 Bycamjja Views2002 Votes0
    Read More
  7. 하모니카에서 커서 테마는 어떻게 바꾸나요?

    Date2021.04.26 ByStanley Views2011 Votes0
    Read More
  8. 이번에 저희 사지방이 하모니카로 바뀌었는데,,,

    Date2020.01.21 ByKiteFly Views2012 Votes0
    Read More
  9. 리눅스민트 17.3 도움이 급합니다..ㅠ.ㅠ

    Date2021.06.15 By홍사장 Views2032 Votes0
    Read More
  10. CPU 사용량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Date2021.01.16 By바닷바람 Views2033 Votes1
    Read More
  11. 하모니카os 설치가 진행되지 않아요

    Date2021.08.06 ByGoodsims Views2037 Votes0
    Read More
  12. 초보입니다. 처음부터 잘 되지가 않습니다.

    Date2021.05.26 Byjozefo Views2051 Votes0
    Read More
  13. 사지방 이용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Date2023.02.20 Byjoong Views2051 Votes0
    Read More
  14. 리눅스에서 백업 및 하드디스크 복제 방법 정리

    Date2018.05.11 By행복한펭귄 Views2058 Votes0
    Read More
  15. 최신 커널에서 드라이버 문제, 속도 문제

    Date2021.06.01 ByJapser Views2085 Votes0
    Read More
  16. 인터넷 끊어놔도 계속되는 해킹..'비밀번호 잠금' 태블릿까지 뚫려

    Date2020.08.18 ByBaroPAM Views2123 Votes0
    Read More
  17. 우분투 계열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버전 구할수 있는곳

    Date2021.02.16 ByK-Lint.net Views2135 Votes1
    Read More
  18. Google Chrome 설치 후 갑자기 화면이 깜빡 거리면서 먹통이 되었습니다.

    Date2021.04.25 Byyoungman Views2148 Votes0
    Read More
  19. 개발툴 단축키 이용하다보니 화면잠금이 ㅋㅋㅋ

    Date2021.08.13 By새우 Views2163 Votes0
    Read More
  20. exe 파일 설치와 관련하여

    Date2020.03.14 By하하하 Views2174 Votes0
    Read More
  21. 바탕화면에 파일이 보이지 않습니다

    Date2020.09.29 Bygcd Views2175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