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2142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취미로 아두이노 가끔 가지고 놉니다.

아두이노 IDE는 한국어 번역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 설명서에 한국어는 없네요.

그래서 일단 저질러 봤습니다.

https://forum.arduino.cc/index.php?topic=510822.0


기다려 보고, 승인 나면? 한국어 페이지 함께 만들어봐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14 19:31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생활이 바쁠텐데 그런 와중에도 실제적으로 이런 활동을 꾸준하게 하시는 몇 분들의 모습을 보니 정말 부럽네요.


  • ?
    Moordev 2017.11.15 22:44
    오호 그렇군요. 한국어 설명을 하면 좋다는 것을 왜 몰랐을까요?
    아두이노쓰면서 구글링 자주 했는데 영어가 익숙해진 나머지 한국어 매뉴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전혀 못했습니다.

    저도 시간나는 대로 돕겠습니다. 저도 아두이노 자주 갖고 놀거든요.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1.16 12:08

    어디서나 한국어 설명은 많은 사람들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부분이라 보입니다.


    물론 최근에 구글 번역, 네이버 번역, 시스트란 번역과 같은 전문적인 번역이 상당한 수준이라서 이를 참고만해도 상당한 수준이지만, 아무래도 아주 전문적인 부분은 사람의 손을 거치는 것이 좀더 확실하고 안정적인 그리고 누가봐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문서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생각보다 영어에 친숙하지 못하니, 대중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친절한 한국어 설명서가 필수 중에 필수라고 보입니다.


    예를 들면 옛날 길벗 출판사의 무작정 따라하기 수준으로 나오면 가장 좋겠지만, 사실 이런 정도의 문서화 작업을 하려면 전문팀이 생겨서 집중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사실상 힘들고, 그냥 공식 메뉴얼 번역만 안정적으로 번역되어서 보급만 되어도 접근성이 한결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카페, 블로그 등이 활성화되면 가장 좋지만, 아직까지는 오픈소스와 공개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식이 생각보다 낮아서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1순위는 무엇보다도 한국어 친절한 설명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 ?
    세벌 2017.12.06 07:59

    https://www.arduino.cc/reference/ko/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어 반영되었습니다. 계속 보완하고 있습니다.


    제가 시작한 일에 함께 하려면

    https://github.com/arduino/reference-ko/

    에서 시작하면 됩니다.

    위의 Fork 버튼을 눌러서 fork 한 후 작업 하고 pull request 해 보셔요.


    pull request 한 것을 관리자가 받아주면, 작업한 내용이 공식 홈페이지에 반영됩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7.12.06 11:53

    아두이노 공식 한국어가 반영되었군요.

    정말 고생이 많으십니다.

    아무리 사소한 것들도 차분하게 꾸준하게 해나가다보면 상당히 위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 소식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니 KLDP를 포함하여 다양한 리눅스 커뮤니티에 알려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수고 많이 많이하세요.


  • ?
    Playing 2017.12.06 14:25

    세벌님 글 잘 봤습니다

    의욕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1022 리눅스 지원하는 공유기는? 3 0 cancaodosang 2019.04.22 1067
1021 하모니카 설치 완료가 안되요ㅠㅜ 21 0 자연치유 2022.02.22 1064
1020 조린OS12.3 출시 3 file 0 행복한펭귄 2018.03.18 1063
1019 안녕히세요. 처음으로 하머니를 사용하는데 인터넷 뱅킹 3 0 예안이 2020.02.12 1062
1018 emmc 를 사용하는 넷북 또는 노트북에 하모니카 설치 가능한가요? 5 0 Japser 2021.02.01 1061
1017 하모니카4 시작 버튼 2 0 나님 2020.11.24 1058
1016 MX linux18로 리눅스에 입문했어요~~ 6 0 saltman 2019.02.22 1058
1015 ktelnetservice가 검색이 안되서 file 0 cancaodosang 2021.05.03 1057
1014 우분투20.04LTS 에서 카카오톡을 설치하려고하는데 잘안되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2 file 0 라루미 2021.01.29 1054
1013 갤럭시북 S(인텔 코어 i5 모델)에서의 하모니카 구동 시도 두번째 3 0 나비엔 2021.01.28 1054
1012 스팀 설치가 안되네요 ㅠ 2 file 0 131101 2021.03.23 1052
1011 자꾸 다운되는 원인은 뭘까요 5 file 0 karis 2020.04.19 1048
1010 사지방 크로미움 1.4 업데이트 관련입니다. 0 Lutetia 2019.10.24 1048
1009 하모니카 4 버전 virtualbox 설치관련 4 0 김현재앙이 2020.12.23 1045
1008 [배포판] 우분투 18.10 우주 오징어 개발 소식... 2 file 0 행복한펭귄 2018.05.09 1044
1007 하모니카4 카카오톡 질문 2 0 램이다앙 2021.02.08 1043
1006 무료 통계 패키지 안내 5 0 행복한펭귄 2018.01.23 1040
1005 하모니카 설치 7 0 jiu669427 2021.03.07 1038
1004 3.0너무 좋네요. 1 0 가림토 2020.01.19 1038
1003 [질문] 민트19.1에서 와인을 어떤 패키지로 깔아야 할까요? 2 0 가필드 2019.01.15 1038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