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807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05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배포판 및 커널 버전 확인하는 방법>

터미널에 lsb_release -a && uname -a 라고 입력합니다.


--


<Debian>


데비안 9 Stretch (Stable)

 - 장기지원 커널 4.9 : 커널 4.9.65-3+deb9u1 로 업데이트

 - Debian 9은 2020년 중 Full지원 종료 및 2022년 중 장기지원(LTS) 종료 예정


 - 다음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함

  * dccp: CVE-2017-8824: use-after-free in DCCP code

  * media: dvb-usb-v2: lmedm04: Improve logic checking of warm start

    (CVE-2017-16538)

  * media: dvb-usb-v2: lmedm04: move ts2020 attach to dm04_lme2510_tuner

    (CVE-2017-16538)

  * media: hdpvr: Fix an error handling path in hdpvr_probe() (CVE-2017-16644)

  * bpf/verifier: Fix multiple security issues:

    - adjust insn_aux_data when patching insns

    - fix branch pruning logic

    - reject out-of-bounds stack pointer calculation

    - fix incorrect sign extension in check_alu_op() (CVE-2017-16995)

    - Fix states_equal() comparison of pointer and UNKNOWN

  * netfilter: nfnetlink_cthelper: Add missing permission checks

    (CVE-2017-17448)

  * netlink: Add netns check on taps (CVE-2017-17449)

  * netfilter: xt_osf: Add missing permission checks (CVE-2017-17450)

  * USB: core: prevent malicious bNumInterfaces overflow (CVE-2017-17558)

  * net: ipv4: fix for a race condition in raw_sendmsg (CVE-2017-17712)

  * [armhf,arm64,x86] KVM: Fix stack-out-of-bounds read in write_mmio

    (CVE-2017-17741)

  * crypto: salsa20 - fix blkcipher_walk API usage (CVE-2017-17805)

  * crypto: hmac - require that the underlying hash algorithm is unkeyed

    (CVE-2017-17806)

  * KEYS: add missing permission check for request_key() destination

    (CVE-2017-17807)

  * [x86]  KVM: VMX: remove I/O port 0x80 bypass on Intel hosts

    (CVE-2017-1000407)

  * bluetooth: Prevent stack info leak from the EFS element.

    (CVE-2017-1000410)


데비안 8 Jessie (OldStable) / 리눅스민트데비안에디션(LMDE) 2 Betsy

 - 장기지원 커널 3.16 : 커널 3.16.51-3 최신버전 확인

 - Debian 8 / LMDE 2는 2018년 중 Full지원 종료 예정 및 2020년 중 장기지원(LTS) 종료 예정


데비안 7 Wheezy (OldOldStable)

 - 장기지원 커널 3.2 : 커널 3.2.96-2 최신버전 확인

 - Debian 7은 2018년 중 장기지원(LTS) 종료 예정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y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y && sudo apt-get autoclean


*데비안과 LMDE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sudo reboot


--


<Ubuntu>


우분투 17.10 Artful Aardvark

 - 커널 4.13 (9개월 간 지원) : 커널 4.13.0-21 최신버전 확인

 - Ubuntu 17.10은 2018년 7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7.04 Zesty Zapus

 - 커널 4.10 (9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42 최신버전 확인

 - Ubuntu 17.04는 2018년 1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6.10 Yakkety Yak

 - 지원종료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

 - GA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104 최신버전 확인

 - HWE 커널 4.10 (6개월 간 지원) : 커널 4.10.0-42 최신버전 확인

 - Ubuntu 16.04 LTS는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

 - GA 커널 3.13 (장기지원) : 커널 3.13.0-137 최신버전 확인

 - HWE 커널 4.4 (장기지원) : 커널 4.4.0-104 최신버전 확인

 - Ubuntu 14.04 LTS는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

 - 지원종료


우분투 16.04 LTS에서 우분투의 하드웨어 지원 강화(HWE)를 받고자 하거나,

커널 4.4가 아닌 현재 지원 중인 HWE 커널인 커널 4.1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최초 1회에 한하여 반드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hwe-16.04 xserver-xorg-hwe-16.04 -y

<서버>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hwe-16.04 -y


우분투 14.04 LTS에서 우분투의 하드웨어 지원 강화(HWE)를 받고자 하거나,

최신버전이자, 현재 지원 중인 HWE 커널인 커널 4.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최초 1회에 한하여 반드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xenial xserver-xorg-core-lts-xenial xserver-xorg-lts-xenial xserver-xorg-video-all-lts-xenial xserver-xorg-input-all-lts-xenial libwayland-egl1-mesa-lts-xenial -y

<와인(Wine) 등을 위해 amd64에서 i386을 활성화한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xenial xserver-xorg-core-lts-xenial xserver-xorg-lts-xenial xserver-xorg-video-all-lts-xenial xserver-xorg-input-all-lts-xenial libwayland-egl1-mesa-lts-xenial libgl1-mesa-glx-lts-xenial libgl1-mesa-glx-lts-xenial:i386 libglapi-mesa-lts-xenial:i386 -y

<서버>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xenial -y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y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y && sudo apt-get autoclean


*우분투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sudo reboot


*우분투에서는 GA(General Availability), HWE(Hardware Enablement), HWE Edge 중 하나의 커널만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우분투는 다른 모든 우분투 공식 및 비공식 변형판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주분투, 루분투, 쿠분투, 우분투그놈, 우분투마테, 우분투벗지, 엘리멘터리OS, 페퍼민트OS, 리눅스라이트, 조린OS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


<Linux Mint/HamoniKR>


리눅스민트 18.2 Sonya, 18.3 Sylvia / 하모니카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 (18.3 Sylvia 기반)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커널 4.10" 중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10.0-42 최신버전 확인

 - Linux Mint 18.2, 18.3은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8 Sarah, 18.1 Serena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권장하는 보안 업데이트" 설치 : 커널 4.4.0-104 최신버전 확인

  - Linux Mint 18, 18.1은 2021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8, 18.1, 18.2, 18.3에서 우분투의 하드웨어 지원 강화(HWE)를 받고자 하거나,

커널 4.4가 아닌 현재 지원 중인 HWE 커널인 커널 4.1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최초 1회에 한하여 반드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hwe-16.04 xserver-xorg-hwe-16.04 -y


리눅스민트 17.3 Rosa / 하모니카 2.1

 -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 최신버전 설치 : 커널 4.4.0-104 최신버전 확인

 - Linux Mint 17.3 / HamoniKR 2.1은 2019년 4월 중 지원종료 예정


리눅스민트 17.3과 하모니카 2.1에서 우분투의 하드웨어 지원 강화(HWE)를 받고자 하거나,

최신버전이자, 현재 지원 중인 HWE 커널인 커널 4.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최초 1회에 한하여 반드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xenial xserver-xorg-core-lts-xenial xserver-xorg-lts-xenial xserver-xorg-video-all-lts-xenial xserver-xorg-input-all-lts-xenial libwayland-egl1-mesa-lts-xenial -y

<와인(Wine) 등을 위해 amd64에서 i386을 활성화한 데스크탑>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linux-generic-lts-xenial xserver-xorg-core-lts-xenial xserver-xorg-lts-xenial xserver-xorg-video-all-lts-xenial xserver-xorg-input-all-lts-xenial libwayland-egl1-mesa-lts-xenial libgl1-mesa-glx-lts-xenial libgl1-mesa-glx-lts-xenial:i386 libglapi-mesa-lts-xenial:i386 -y


리눅스민트 13 Maya

 - 지원종료


*리눅스민트와 하모니카의 커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 시작 메뉴 - 종료 - 다시 시작(R)


--


*위 정보는 우분투 12.04 ESM(Extended Security Maintenance)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위 정보는 작성자가 주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그 외의 배포판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참고>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lts-xenial/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edge

https://launchpad.net/~canonical-kernel-team/+archive/ubuntu/ppa

http://kernel.ubuntu.com/~kernel-ppa/mainline/

https://tracker.debian.org/pkg/linux

https://packages.debian.org/search?searchon=sourcenames&keywords=linux

https://packages.debian.org/stretch/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stretch/linux-image-4.9.0-4-amd64

https://packages.debian.org/stretch/linux-image-4.9.0-3-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backports/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backports/linux-image-4.9.0-0.bpo.3-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jessie/linux-image-3.16.0-4-amd64

https://packages.debian.org/wheezy/linux-image-amd64

https://packages.debian.org/wheezy/linux-image-3.2.0-4-amd64

https://wiki.debian.org/DebianReleases

https://rpmfind.net/linux/rpm2html/search.php?query=kernel

http://vault.centos.org/

http://vault.centos.org/7.4.1708/updates/Source/SPackages/

http://vault.centos.org/6.9/updates/Source/SPackages/

http://ftp.jaist.ac.jp/pub/Linux/Fedora/updates/26/x86_64/k/

http://ftp.jaist.ac.jp/pub/Linux/Fedora/updates/25/x86_64/k/

https://en.wikipedia.org/wiki/Fedora_(operating_system)

https://access.redhat.com/support/policy/updates/errata/

https://wiki.centos.org/Download

https://wiki.centos.org/About/Product

https://tracker.debian.org/media/packages/l/linux/changelog-4.9.65-3deb9u1


출처: http://la-nube.tistory.com/305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1.02 19:51

    하모니카 2.1 로사 버전은 2019년 4월 지원 중단되기 전까지라도

    공식적으로 제대로된 배포판이 공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전 까지는 나름 사용하는데 큰 지장 없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드라이버 지원 문제와 보안 문제때문에 아무래도 커뮤니티 버전을 더욱 추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기는 합니다만, 하모니카 2.1 로사를 쓴다고 문제가 될 것은 없습니다. 자신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죠.

  • ?
    krhamoni 2018.01.02 22:09

    꾸준히 새소식을 전해 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0
781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두리틀을 아십니까? 0 행복한펭귄 2018.05.01 542
780 관심 있는 분들, 참여 검토해 보셔요! 1 0 식혜고양이 2016.09.19 5692
779 관리자님께 이팀장? 2 0 세벌 2018.04.03 530
778 관리자께 질문 드립니다. 8 0 krhamoni 2018.03.27 559
777 관리자 열쇠글 2 0 개봉팔 2019.08.08 603
776 관리자 님께 제안: young1004 접근 금지 설정 요청 4 0 세벌 2018.04.02 499
775 과연 이 게임은 리눅스에서 돌아갈까? file 0 Moordev 2021.07.02 3092
774 공인 인증서 , 인터넷 뱅킹 문제 4 0 심소니스 2015.06.14 10336
773 공기관의 리눅스 확산에 여러분의 힘이 필요합니다. 5 0 chychy 2016.04.19 5427
772 공공도서관은 아직도 윈도우XP를 사용 중... 6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19 6015
771 공공기관 리눅스 사용청원에 대한 현재 상황을 보고드립니다. 5 0 chychy 2016.04.23 5985
770 공공PC 하모니카 설치 컴퓨터 1,528대... 2 file 0 스모프 2017.07.08 4697
769 공격자들이 리눅스 컨테이너를 탈출해 호스트의 루트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RunC 결점 발견 1 0 la_Nube(누베) 2019.02.24 619
768 공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는 Snapd 결점 발견 1 0 la_Nube(누베) 2019.02.19 738
767 공개키 오류로 인해.. apt-get update를 할 수 없습니다. 도와주세요. 2 0 이다 2015.07.11 9796
766 고용노동부 전액지원 IT 전문가 취업희망 구직자/실업자 전문 무료교육 file 0 아이티윌부산 2022.05.04 520
765 고생하십니다. ^^ 두번째 질문 드립니다. ㅋ 6 file 0 잉구탱구 2014.12.04 10955
764 고사양 PC용 linux로, 어떤 게 적합할까요?? 7 0 식혜고양이 2016.09.16 6326
763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 0 아마추워 2014.12.28 8108
762 고맙습니다. 1 0 acrix 2014.12.29 9112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