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8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22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995F164E5A694499342BBD


구글(Google)에서 개발하는 크롬(Chrome)의 새로운 기능 추가와 버그 수정 및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크롬 64.0.3282.119 버전이 윈도, 맥OS, 리눅스(64비트)에서 업데이트를 통해 각각 배포되었습니다.


--


이번 크롬 64 업데이트에서는 53개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다음의 보안 취약점은 외부의 연구자에 의해 보고되었고, 그에 따라 최고 4000달러의 상금이 수여됩니다.


[$3000] High CVE-2018-6031: Use after free in PDFium.

Reported by Anonymous on 2017-11-01


[$2000] High CVE-2018-6032: Same origin bypass in Shared Worker.

Reported by Jun Kokatsu (@shhnjk) on 2017-11-20


[$1000] High CVE-2018-6033: Race when opening downloaded files.

Reported by Juho Nurminen on 2017-12-09


[$4000] Medium CVE-2018-6034: Integer overflow in Blink.

Reported by Tobias Klein (www.trapkit.de) on 2017-11-12


[$2500] Medium CVE-2018-6035: Insufficient isolation of devtools from extensions.

Reported by Rob Wu on 2017-12-23


[$2000] Medium CVE-2018-6036: Integer underflow in WebAssembly.

Reported by The UK's National Cyber Security Centre (NCSC) on 2017-11-30


[$1000] Medium CVE-2018-6037: Insufficient user gesture requirements in autofill.

Reported by Paul Stone of Context Information Security on 2017-08-09


[$1000] Medium CVE-2018-6038: Heap buffer overflow in WebGL.

Reported by cloudfuzzer on 2017-10-12


[$1000] Medium CVE-2018-6039: XSS in DevTools.

Reported by Juho Nurminen on 2017-10-17


[$1000] Medium CVE-2018-6040: Content security policy bypass.

Reported by WenXu Wu of Tencent's Xuanwu Lab on 2017-10-26


[$500] Medium CVE-2018-6041: URL spoof in Navigation.

Reported by Luan Herrera on 2017-08-29


[$500] Medium CVE-2018-6042: URL spoof in OmniBox.

Reported by Khalil Zhani on 2017-10-12


[$500] Medium CVE-2018-6043: Insufficient escaping with external URL handlers.

Reported by 0x09AL on 2017-11-16


[$TBD] Medium CVE-2018-6045: Insufficient isolation of devtools from extensions.

Reported by Rob Wu on 2017-12-23


[$TBD] Medium CVE-2018-6046: Insufficient isolation of devtools from extensions.

Reported by Rob Wu on 2017-12-31


[$TBD] Medium CVE-2018-6047: Cross origin URL leak in WebGL.

Reported by Masato Kinugawa on 2018-01-08


[$500] Low CVE-2018-6048: Referrer policy bypass in Blink.

Reported by Jun Kokatsu (@shhnjk) on 2017-09-08


[$500] Low CVE-2017-15420: URL spoofing in Omnibox.

Reported by Drew Springall (@_aaspring_) on 2017-10-05


[$500] Low CVE-2018-6049: UI spoof in Permissions.

Reported by WenXu Wu of Tencent's Xuanwu Lab on 2017-10-13


[$500] Low CVE-2018-6050: URL spoof in OmniBox.

Reported by Jonathan Kew on 2017-10-15


[$N/A] Low CVE-2018-6051: Referrer leak in XSS Auditor.

Reported by Antonio Sanso (@asanso) on 2014-12-11


[$N/A] Low CVE-2018-6052: Incomplete no-referrer policy implementation.

Reported by Tanner Emek on 2016-05-28


[$N/A] Low CVE-2018-6053: Leak of page thumbnails in New Tab Page.

Reported by Asset Kabdenov on 2017-08-23


[$N/A] Low CVE-2018-6054: Use after free in WebUI.

Reported by Rob Wu on 2017-12-24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Releases 정보를 확인하기 바랍니다.


--


[영향을 받는 크롬 및 업데이트 버전]


□ 크롬 63.0.3239.132 및 이하 버전 → 크롬 64.0.3282.119 버전으로 업데이트


※ https://chromereleases.googleblog.com/2018/01/stable-channel-update-for-desktop_24.html


--


아울러 이번 크롬 64 버전에서는 웹브라우저의 보안 측면이 강화되었습니다.


구글이 1월 초에 약속한 바와 같이, 크롬 64 버전부터는 웹 기반의 스펙터 취약점 악용 공격을 '완화/경감(MITIGATE)'하는 조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펙터(Spectre) : Intel CPU의 멜트다운(Meltdown) 취약점과 함께 발견된 Intel, ARM, AMD CPU의 보안 취약점으로,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웹 기반 공격이 가능하다고 발표됨


게다가 크롬 64 버전부터 멀버타이징 리다이렉트(악성 링크로의 재연결)을 막는 것에 효과적인, Tab-Under 행위를 막는 팝업 차단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크롬 64 버전이 악성 링크로 재연결되는 공격을 어떻게 막는 지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google-chrome-will-block-tab-under-behavior/


--


그러므로 크롬 사용자는 주소창에 chrome://settings/help 라고 입력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또는, 'Chrome 맞춤설정 및 제어 → 도움말(E) → Chrome 정보(G)')


64비트 리눅스에서는 패키지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데비안 / 우분투 기준 :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출처: http://la-nube.tistory.com/322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7365
686 vm 하모니카 설치 1 file 0 dh 2020.07.01 825
685 데비안 패키지 프로그램여는 프로그램 설치 존재 여부 3 file 0 dh 2020.07.01 825
684 사지방관련 버그리포트는 어디서하나요 1 0 한정훈 2020.07.11 819
683 로그인이 무한 반복 됩니다 3 0 레프 2020.07.22 846
682 패널 삭제 방법을 알려주세요 2 file 0 Goodsims 2020.07.23 698
681 amd cpu 피카소 apu 3400g 내장그래픽 vega11 은 해상도 높게 설정안되나요 2 0 한국사람 2020.07.23 977
680 질문드립니다 리눅스민트20 써도 하모니카os 의 여러가지 팁 같은거 참고해도 되나요? 2 0 한국사람 2020.07.23 786
679 저도 생각보다 보수적이게 되었군요. 1 0 Moordev 2020.07.25 854
678 3400g 피카소 vega11 커널업데이트 하니까 잘나옵니다 2 0 한국사람 2020.07.29 733
677 새로 설치 후 업데이트 매니저로 업데이트 하려는데 이런 오류가? 헬프미 ~ 1 0 친절한우주인 2020.07.29 705
676 업데이트하고 남은 찌끄기들 삭제하는 방법 없나요? 5 file 0 친절한우주인 2020.07.29 1000
675 하모니카OS 설치 후 입력키보드 문제 3 0 말없는벌새 2020.08.05 843
674 안녕하세요 설치하려는데 1 0 naru0619 2020.08.01 728
673 Dos용 아래아한글 3.0 버전을 설치해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좋은가요? 3 0 도원 2020.08.07 1237
672 nimf 사용 도와주세요.^^ 4 0 한개교 2020.08.10 1139
671 몇 시간을 작업하다 글을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도와주세요!!!(해결했습니다~~!!) 1 0 StephenJeon 2020.08.16 1238
670 인터넷 끊어놔도 계속되는 해킹..'비밀번호 잠금' 태블릿까지 뚫려 2 file 0 BaroPAM 2020.08.18 2116
669 유선 LAN 기반의 업무환경을 5G 기반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 2 file 0 BaroPAM 2020.08.20 1743
668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솔루션과 보안 강화를 위한 2차 인증 솔루션의 융합 2 file 0 BaroPAM 2020.08.26 1963
667 리눅스 초보라서 잘 모르겠는데요 1 0 에어컨 2020.08.29 1059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