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3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4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998336475A86DD202D0BF3


(이미지 출처 : https://www.phoronix.com/scan.php?page=news_item&px=Ubuntu-16.04.4-Delayed )


우분투(Ubuntu) 16.04 LTS Xenial Xerus의 4번째 포인트 릴리즈인 16.04.4가 2018년 2월 15일에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캐노니컬(Canonical)의 커널 개발자들이 현재 수억 대의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멜트다운(Meltdown) & 스펙터(Spectre) 취약점을 완화(경감)하는 작업에서 도저히 손을 뗄 수가 없게 되어 2018년 3월 1일로 연기된다고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멜트다운 & 스펙터 취약점을 완화(경감)하기 위한 우분투의 리눅스 커널 패치 작업은 계속하여 진행 중에 있으며, 다음 우분투 LTS 포인트 릴리즈인 16.04.4에 포함하여 낼 수 있을 때까지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우분투 16.04.4 LTS에는 우분투 17.10에서 사용되는 커널 4.13이 올라갈 예정이나, 현재 이 커널은 일부 PC에서 부팅 불가 또는 로그인 화면이 깨지는 문제가 보고되어 있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캐노니컬에서는 올해 3월 1일까지는 커널 패치 작업이 마무리되어 사용자에게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최악의 경우 우분투 18.04 LTS의 출시에까지 영향을 주지 않을까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즉, 다음 버전인 우분투 18.04 LTS가 이례적으로 2018년 4월에 출시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게다가 지난 2월 11일에 멜트다운 & 스펙터 취약점의 변종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CPU 취약점인 멜트다운프라임(MeltdownPrime)과 스펙터프라임(SpectrePrime)이 발견됨에 따라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 새로운 CPU 취약점 발견 : 멜트다운프라임 & 스펙터프라임 http://la-nube.tistory.com/339


한편, 우분투 16.04 LTS는 2016년 4월 26일에 출시되어 2021년 4월까지 5년 간 지원됩니다. 우분투 16.04 LTS의 마지막 포인트 릴리즈는 16.04.5이며 우분투 18.04 LTS의 GA 커널을 HWE 커널로 가져와 사용하게 됩니다.


*LTS : Long Term Support - 5년 간의 장기 지원
*HWE : Hardware Enablement -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커널로, 6개월마다 4번에 걸쳐 판올림하면서 지원
*GA : General Availability - 출시 당시의 커널로, 5년 간 판올림 없이 지원


<참고>
https://www.phoronix.com/scan.php?page=news_item&px=Ubuntu-16.04.4-Delayed
https://www.phoronix.com/scan.php?page=news_item&px=Ubuntu-16.04.4-LTS-Revised-Plan
http://news.softpedia.com/news/canonical-plans-to-release-ubuntu-16-04-4-lts-xenial-xerus-on-march-1-2018-519817.shtml



출처: http://la-nube.tistory.com/340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profile
    그럴sudo 2018.02.17 12:55

    글 잘봤습니다. 지난달 패치를 내놓은 리눅스들은 사실 좀 불안했는데, 오늘 페도라를 마지막으로 거의 모든 메이저 배포판이 패치를 마쳤습니다. 데비안 계열만 빼고요...

    단지 사용자가 많아서 보고되는 버그가 많기 때문이라고 하기에는 점유율이 그정도로 절대적이지도 않고, 중대한 보안 이슈인데 18.04까지 영향을 줄 정도면 시기적으로도 늦어도 너무 늦는 것 같습니다.

    요즘 캐노니컬과 그놈3는 점점 산으로 가는 것 같네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 몇번 하더니 자기들도 그정도 되는지 아나봅니다.

    하모니카도 영향을 받아서 걱정이네요.

  • ?
    la_Nube 2018.02.17 17:30

    감사합니다^^


    우분투에서도 사실 1월 초에 취약점에 대한 패치는 했습니다.(급한 불은 껐다고 표현하죠 ㅎㅎ)

    현재는 후속 패치 단계인데 안정화에 시일이 좀 걸리네요.

  • ?
    Playing 2018.02.19 11:31

    소식 글 잘 봤습니다

    하드웨어 자체적인 결함이니

    당연히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뭘 진행하기 꺼림직하죠


    깨진 접시에 요리를 올려놓는 기분이나 상황 같거든요


    앞으로 진통은 계속될꺼 같습니다

    AMD 전용 버전이 먼저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1
842 리눅스 천국 뮌헨시의 변심 5 0 string 2017.02.24 7809
841 우분투 시리즈 16.04.2 6 0 string 2017.02.17 7424
840 시스템 복구 유틸리티 Timeshift 추천 6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16 8131
839 하드웨어 정보를 알려주는 벤치마킹 유틸리티 Hardinfo 2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16 8071
838 Y PPA 관리자로 PPA 관리를 쉽게... 2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16 7848
837 ppa 추가가 안됩니다. 4 0 바람곰돌 2017.02.13 8095
836 하모니카 apt-get update에서 404 Not Found가 뜹니다 도와주세요ㅠ.ㅠ 9 0 미스리 2017.02.11 11698
835 Psensor 그래픽 하드웨어 온도 모니터링 유틸리티 5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9 7512
834 I nex 시스템 정보를 알려주는 프로그램 4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9 7977
833 노트북 모드 관리 도구 3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9 7684
832 비발디 1.7 웹브라우저 발표 5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9 7127
831 애플의 NightShift가 부러웠다면 추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보세요 1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8 7507
830 전 세계 OS 뉴스를 보고싶다면 5 0 행복한펭귄 2017.02.08 7342
829 Gambas RAD Tool 3.9.2버전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8 7769
828 스마트폰과 백내장 7 0 string 2017.02.07 7714
827 PXE 부팅으로 Freebsd11 설치 방법을 아시는 분 있습니까? 12 0 krhamoni 2017.02.07 8648
826 파이썬으로 게임 만들기 도전해 보세요. 1 0 행복한펭귄 2017.02.07 7924
825 인텔 XDK, 올인원 모바일 HTML5 게임 개발 환경 1 0 행복한펭귄 2017.02.07 7419
824 darktable 2.2.3 오픈소스 RAW 이미지 에디터 발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7 7052
823 HTML5 기술 활성화를 통한 웹환경 개선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4 0 행복한펭귄 2017.02.06 6542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