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팁 & 테크

조회 수 313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ww.cnx-software.com/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5 13:12

    임베디드 시스템 뉴스네요.

    서버와 임베디드는 다릅니다.


    여하튼 간에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리눅스는 임베디드 용으로 잘 활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OS도 임베디드 용으로 포팅되어서 사용되는 OS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최적화 문제때문에 아무래도 리눅스가 애용되지요.


    최소한의 메모리로 최적의 시스템 콜을 다루는 부분에선 콜리브리OS 임베디드 버전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어셈블리로 직접 모든 것을 컨트롤하니 한 마디로 말 그대로 최적입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셈블리에 대해서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는 애로 사항이 있기는 합니다만...


    참고 사항

    • Kolibri-A: Exokernel version of KolibriOS optimized for embedded applications and hardware engineering; only few AMD APU-based platforms are currently supported.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5 15:35

    어셈블리 언어는 죽지 않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은 어떤 시대인데 어셈블리 언어를 사용하냐고 비웃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스택오버플로어 2018년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무려 7.4%의 점유율을 자랑합니다.

    GO 언어, VB.NET, R 언어보다도 더 널리 사용된다는 얘기입니다.

    정말일까요? 혹시 뻥이 아닌가 싶겠지만, 실제 개발자들이 설문 조사에 응한 결과이기 때문에 거짓으로 조작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아직도 어셈블리는 살아있습니다. 그래서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만든 OS, 앱, 각종 도구들이 여전히 인기를 얻습니다. 개발자들은 힘들겠지만 최적화 문제에 있어서는 말 그대로 최적의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어셈블리도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어서 개발자 입장에선 C 언어 다루는 것보다는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전문가 입장에선 비슷한 경험입니다. 


    여하튼 우리가 아는 상식과 많이 현실 세계는 다르게 돌아간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어셈블리 언어를 소개하면 고개를 갸유뚱하는 이런 분위기가 많이 쇄신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
    Moordev 2018.03.25 15:55
    어셈블리가 죽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실제로 인라인 어셈같은 기술이 최적화기법으로 활용되고 있고 적용된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어셈블리언어의 최대 단점은 특정 아키텍쳐용이라는 것입니다. 멀리갈것도 없이 x86용으로 짜여진 어셈블리코드는 ARM에서 작동하지 않지요. 그리고 어셈블리는 CPU의 지원 비트수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한글96의 경우 16비트 어셈코드를 썼는데 덕분에 16비트지원이 제거된 2000후반 CPU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물론 한글96이 그 때까지 쓰일리가 없긴합니다만...

    그래서 요즘은 인라인 어셈에대해서도 약간 회의적인 시각을 갖기도 합니다. 코드재활용이 어렵거든요. 유닉스의 장점이 C로 짜여져서 이식이 쉽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장점을 고스란히 받은 리눅스는 지금 여기저기에서 이식되어 구르고 있지요.

    그래도 일단 API와 컴파일러만 공개되어있다면 필요에따라 쓰는 경우가 있기는 할겁니다.
  • ?
    Moordev 2018.03.25 15:58
    일단 서버라기 보다는 마이크로PC쪽 소식이 더 많네요. 일단 하나정도 갖고있으면 재미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결제 - 우크라이나 file 1 Kevin 2023.12.17 4262
공지 리눅스에서 자기 노트북의 모델명이 무엇인지 궁금할때는 dmidecode file 1 Kevin 2023.12.17 429
공지 하드웨어 호환성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linux-hardware.org 를 사용해보세요 file 0 Kevin 2023.11.23 735
공지 하모니카 7.0 카카오톡 hidpi 설정하기 1 file 0 Kevin 2023.11.22 522
공지 리브레오피스에서 hwp 사용하기 4 file 0 타조 2023.10.11 1158
701 우분투 종합 가이드 0 행복한펭귄 2016.03.24 2916
700 우분투 시리즈 16.04.1 (64비트) 1 0 string 2016.07.22 6600
699 우분투 사용하시는 분들, 우분투 스코프 삭제하십시오. 2 0 string 2017.01.18 6362
698 우분투 빌더로 자신 만의 맞춤형 리눅스 배포판 구축하기 5 file 0 행복한펭귄 2017.08.01 1728
697 우분투 베타기반으로 뚝딱거리고 있습니다. 7 0 Moordev 2018.03.15 571
696 우분투 미러서버 어디쓰시나요? 6 0 Moordev 2018.03.12 5378
695 우분투 기반의 게이밍용 배포판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22 file 0 Moordev 2017.08.01 5330
694 우분투 기린 UKUI버전 상당히 쓸 만합니다. 12 file 0 Moordev 2017.05.22 7874
693 우분투 기린 18.04 Beta1 버전을 잠깐 써봤습니다. 2 file 0 Moordev 2018.03.19 486
692 우분투 공식 저장소에서 소스 코드 가져오기 2 0 onting 2017.10.19 1219
691 우분투 계열 리눅스 7가지 중요한 보안 패치 권고 6 file 0 행복한펭귄 2017.02.05 6828
690 우분투 20.04 폴더 주소경로 바꾸는 단축키 1 file 0 떠똘2 2020.04.27 875
689 우분투 20.04 사운드 소리안날때 해결방법 0 떠똘2 2020.10.09 3193
688 우분투 20.04 shutter 설치하는법 2 0 떠똘2 2020.05.16 816
687 우분투 20.04 ibus 버그 2 0 히나땅마지텐시 2020.09.14 585
686 우분투 20.04 gprename file 0 떠똘2 2020.05.16 829
685 우분투 18.04.2로 정착하였습니다! 5 file 0 chingu42 2019.04.24 1620
684 우분투 18.04 베타1을 잠깐 써봤는데... 4 0 Moordev 2018.03.15 654
683 우분투 18.04 LTS 및 18.10 데스크탑에서 쓰레기통 아이콘을 삭제하는 방법 0 행복한펭귄 2018.07.27 1175
682 우분투 18.04 LTS Bionic Beaver를 써보았습니다! 18 0 la_Nube 2018.04.28 16580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47 Next
/ 4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