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63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질라(Mozilla)에서 개발하는 웹브라우저 '불여우' 파이어폭스(Firefox)의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 또는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파이어폭스 59.0.2 버전이 윈도, 맥OS, 리눅스에서 업데이트를 통해 각각 배포되었습니다.

--

이번 업데이트에는 다음과 같은 1건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High 등급 (1)


CVE-2018-5148: Use-after-free in compositor

--


그 외에 다음과 같은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 FIXED - Invalid page rendering with hardware acceleration enabled

■ FIXED - Windows 7 users with touch screens or certain 3rd party desktop applications which interact with Firefox through accessibility services may experience random browser crashes. Known 3rd party applicatioins with issues: StickyPassword, Windows 7 touch screen

■ FIXED - Browser keyboard shortcuts (eg copy Ctrl+C) don't work on sites that use those keys with resistFingerprinting enabled

■ FIXED - High CPU / memory churn caused by third-party software on some computers

■ FIXED - Users who have configured an "automatic proxy configuration URL" and want to reload their proxy settings from the URL will find the Reload button disabled in the Connection Settings dialog when they select Preferences/Options > Network Proxy > Settings...

■ FIXED - URL Fragment Identifiers Break Service Worker Responses

■ FIXED - User's trying to cancel a print around the time it completes will continue to get intermittent crashes

■ FIXED - Broken getUserMedia (audio) on DragonFly, FreeBSD, NetBSD, OpenBSD. Video chat apps either wouldn't work or be always muted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정보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버전]

□ 파이어폭스 59.0.1 및 이하 버전 → 파이어폭스 59.0.2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www.mozilla.org/en-US/firefox/59.0.2/releasenotes/
https://www.mozilla.org/en-US/security/advisories/mfsa2018-10/

--

그러므로 파이어폭스 사용자는 자동 업데이트('메뉴 열기 → 도움말 → Firefox 정보') 기능을 통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리눅스에서는 패키지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데비안 / 우분투 기준 :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출처: http://la-nube.tistory.com/357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9 09:13

    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웹브라우저가 있습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OS별, 사용 용도별, 사용자 환경별, 기술적 지원별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을 적절하게 잘 활용하면 습관처럼 사용하던 웹브라우저에서 맛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웹브라우저에 대한 각종 설문 결과

    https://www.slant.co/search?query=web browser


    위 곳을 참고하면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안드로이드, 기타 OS, 사용자 환경, 기술 지원, 기타 개인 성향의 서비스에 맞춘 웹브라우저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크롬과 모질라를 겸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웹브라우저가 있으니 이 참에 참고해서 다양한 체험과 대안을 찾아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OS별, 용도별로 최적화 된 웹브라우저를 사용한다면 더욱 신나는 웹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 ?
    Moordev 2018.03.29 13:55
    전 그래도 정말 불여우가 좋습니다.

    네스케이프로 인터넷을 처음경험했었고 그 후속작이 모질라였으니까요. 네스케이프는 망했지만 about:mozilla의 한 구절처럼 쓰러진 괴물(네스케이프)로부터 날아오른 두마리의 새(Firebird-Firefox의 초기이름, Thunderbird)처럼 그들을 두려움에 떨게 만든 대단한 물건이니까요.

    Gecko엔진이 오래되어서 최신 하드웨어를 잘 못쓴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역으로 말하면 구형하드웨어에서 제일 잘 돌아가는게 Gecko엔진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비영리재단에서 만드는 거의 유일한 브라우저이기도 합니다. 오페라도 중국기업의 후원을 받아서 꺼림칙해 하는사람이 많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3.29 14:01

    사실 개인적으로 저도 불여우를 좋아합니다.

    오페라도 좋아했지만, 요즈음은 중국 기업으로 넘어가서 여러 가지로 개인 취향에 맞지 않고 돌아가고 있어서 예전처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비발디와 같은 류를 애용하죠.


    편견이 아니라 중국 기업으로 넘어가면 이상하게 되는 것들이 너무 많아서,

    안드로이드 OS도 개인적으로 중국에서 만들어진 리믹스OS와 피닉스OS 류 같은 것들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나름 괜찮은 작품인 것으로 인정하고 또 Distrowatch에서도 성적이 좋지만, 워낙 중국 기업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못해서리 적극 추천은 물론 일반 추천도 꺼리낌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0
521 [소식] MATE 1.14 데스크탑 환경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9 2881
520 vivaldi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3 0 기즈모 2016.04.08 5280
519 [안내] King James Pure Bible Search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2657
518 [소식] Adobe Flash Player 11.2.202.616 발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3022
517 [소식] 오픈소스 AMDGPU 리눅스 드라이버가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3495
516 [소식] 리브레 오피스 5.1.2 정식 릴리즈 (80개의 버그 수정 및 개선)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2823
515 [소식] 우분투 16.04 지니얼 제루스 기본 바탕화면 공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4246
514 [소식] 데비안 GNU/Linux 8.4 제시 다운로드 게시....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8 4230
513 [소식] Ubuntu 14.04.4 LTS Flavors 배포판 출시 6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7 5245
512 [소식] Mozilla Firefox V45.0.1 / 46.0 Beta 8 나왔습니다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7 2639
511 [소식] 앤디비아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0 행복한펭귄 2016.04.07 3683
510 [잡담] 윈도우즈10에서의 우분투 베쉬(Ubuntu's Bash) 지원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4 0 행복한펭귄 2016.04.07 6073
509 [소식] 웹브라우저 비발디 1.0 공식 출시 4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7 2888
508 [소식] KDE Plasma 5.7 데스크탑 환경 7월 5일 출시 예정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6 5281
507 [웹 브라우저] 오페라 36.0 Build 2130.46 / 37.0 Build 2178.4 Beta / 38.0 Build 2190.0 Dev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6 2831
506 [웹 브라우저] Maxthon Cloud Browser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6 3234
505 [텍스트 에디터] VIM v7.4.1689 출시 file 0 행복한펭귄 2016.04.06 2989
504 데비안,우분투,민트,하모니카, 그리고 시놀로지DSM 5 0 maumc 2016.04.05 7598
503 [생각해 보기] 누구나 생산자가 될 수 있다. 메이커 운동. 오픈소스. 리눅스 2 0 행복한펭귄 2016.04.05 5118
502 하모니카 커뮤니티는 아닌것 같습니다 19 0 Inasis 2016.04.04 5807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