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묻고답하기

조회 수 5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http://la-nube.tistory.com/369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영국의 캐노니컬(Canonical)에서 개발하는 우분투(Ubuntu) 16.04 LTS Xenial Xerus 리눅스 커널의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 또는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HWE 커널 4.13.0-38 버전이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LTS : Long Term Support - 5년 간의 장기 지원
*HWE : Hardware Enablement - 하드웨어 지원 강화를 위한 커널로, 6개월마다 4번에 걸쳐 판올림하면서 지원
*GA : General Availability - 출시 당시의 커널로, 5년 간 판올림 없이 지원

--

이번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14건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우분투의 상위 커널인 업스트림 커널로부터 4.13.14 ~ 16에 이르는 수정 사항도 가져왔습니다.


linux-hwe (4.13.0-38.43~16.04.1) xenial


  * CVE-2017-17807

    - KEYS: add missing permission check for request_key() destination


  * CVE-2018-1000026 // bnx2x_attn_int_deasserted3:4323 MC assert!

    - net: create skb_gso_validate_mac_len()

    - bnx2x: disable GSO where gso_size is too big for hardware


  * CVE-2017-17448

    - netfilter: nfnetlink_cthelper: Add missing permission checks


  * CVE-2018-5332

    - RDS: Heap OOB write in rds_message_alloc_sgs()


  * CVE-2017-17806

    - crypto: hmac - require that the underlying hash algorithm is unkeyed


  * CVE-2017-17805

    - crypto: salsa20 - fix blkcipher_walk API usage


  * CVE-2017-16994

    - mm/pagewalk.c: report holes in hugetlb ranges


  * CVE-2017-17450

    - netfilter: xt_osf: Add missing permission checks


  * CVE-2017-15129

    - net: Fix double free and memory corruption in get_net_ns_by_id()


  * CVE-2018-5344

    - loop: fix concurrent lo_open/lo_release


  * CVE-2017-1000407

    - KVM: VMX: remove I/O port 0x80 bypass on Intel hosts


  * CVE-2017-0861

    - ALSA: pcm: prevent UAF in snd_pcm_info


  * CVE-2017-17741

    - KVM: Fix stack-out-of-bounds read in write_mmio


  * CVE-2018-5333

    - RDS: null pointer dereference in rds_atomic_free_op


  * Artful update to 4.13.14 stable release


  * Artful update to 4.13.15 stable release


  * Artful update to 4.13.16 stable release


자세한 업데이트 내역은 아래 링크의 Changelog 정보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영향을 받는 리눅스 커널 및 업데이트 버전]

■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 / 리눅스민트 18.x / 하모니카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

※ HWE 커널 4.13 → HWE 커널 4.13.0-38 버전으로 업데이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hwe/4.13.0-38.43~16.04.1

※ GA 커널 4.4 → GA 커널 4.4.0-116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4.4.0-116.140

※ 2021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 / 리눅스민트 17.x / 하모니카 2.1 Rosa

※ HWE 커널 4.4 → HWE 커널 4.4.0-116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lts-xenial/4.4.0-116.140~14.04.1

※ GA 커널 3.13 → GA 커널 3.13.0-143 버전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linux/3.13.0-143.192

※ 2019년 4월 지원 종료 예정

--

■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 / 리눅스민트 13 Maya

※ 2017년 4월 28일 지원 종료

--

그러므로 우분투 LTS 사용자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 sudo apt-get autoclean

그리고 리눅스민트 및 하모니카 사용자는 '업데이트 매니저 → 메뉴 중 보기(V) → 리눅스 커널' 메뉴를 실행하여 해당하는 커널 내에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바랍니다.

아울러 업데이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에 반드시 재부팅을 하기 바랍니다.

--

배포판의 종류와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을 알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기 바랍니다.
lsb_release -a && uname -a

--

리눅스민트 18, 18.1, 18.2, 18.3은 우분투 16.04 LTS Xenial Xerus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7, 17.1, 17.2, 17.3은 우분투 14.04 LTS Trusty Tahr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리눅스민트 13 Maya는 우분투 12.04 LTS Precise Pangolin을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커뮤니티 배포판 MoorDev 1.0은 리눅스민트 18.3 Sylvi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하모니카(HamoniKR) 2.1 Rosa는 리눅스민트 17.3 Rosa를 변형한 배포판입니다.



출처: http://la-nube.tistory.com/369 [la Nube's Lab. | 라 누베 연구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에 질문하기 전 읽기 - 어떻게 질문을 하는 것이 좋을까? 1 0 Kevin 2019.11.18 13010
2401 우분투에서 anbox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로 돌리기 실패후기 4 0 휘베스드님로인 2017.05.08 12202
2400 최소버젼으로 용량을 700mb 이하로도 주셨으면 3 0 kij 2016.01.29 12199
2399 하모니카 최소사양에 HDD 5GB? 5 0 세벌 2014.12.08 12089
2398 노트북인대요 한영키 어떻게 쓰죠? 2 0 꾸기 2015.01.04 12063
2397 리눅스 민트 사용시 화면 멈춤및 하드에서 소리가나는 현상.. 1 0 크루미나 2015.02.07 12036
2396 Visio같은 전문적인 순서도 및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 LibreOffice Draw (벡터그래픽 도구)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26 11864
2395 윈도우TXT문서을 민트에서 보면 한글이깸짐현상 해결방법좀 4 file 0 프리 2015.01.03 11791
2394 cmplayer 설치 후 6 0 잉구탱구 2015.01.09 11768
2393 리눅스 배포판중에 가장 깔끔한게 뭘까요? 5 file 0 KimDS 2015.01.03 11726
2392 하모니카 apt-get update에서 404 Not Found가 뜹니다 도와주세요ㅠ.ㅠ 9 0 미스리 2017.02.11 11697
2391 노트북 와이파이 그리고... 1 0 Levinas0 2014.12.07 11673
2390 프로젝트 관련 문의 1 0 Workspace 2014.12.02 11670
2389 스마트폰 연결이 안되요 ㅠㅠ 1 0 꾸기 2015.01.07 11649
2388 멀티부팅(윈8.1+하모니카) 4 0 판타레이 2014.12.17 11644
2387 업무용 국산 소프트웨어 리눅스화 5 0 Levinas0 2014.12.05 11626
2386 혹시 리눅스 크로미움에서 글씨 흐린거 어떻게 해결하는거죠? 4 0 KimDS 2015.01.06 11599
2385 와인 카카오톡 폰트 가독성 올리는 방법은 없나요? 1 0 Ohnine 2015.03.22 11591
2384 하모니카 너무 좋은 것 같아요. 1 0 yexx 2014.12.02 11581
2383 <질문> 저사양 노트북에 어떤 리눅스를 깔아야 좋을까요? 14 0 만화가엄두 2016.09.23 11406
2382 안녕하세요~ 1 0 대붕짱 2021.07.21 114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