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팁 & 테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 파일형식별 텍스트 컬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icolors 커맨드를 통해 설정되어 있는 컬러리스팅의 전체 리스트를 먼저 산출하고 parsing 하여 파일 형식별로 지정된 색을 확인합니다.

두개의 알파벳은 파일 '형식'의 약어(abbreviations)이고 [예. so=01;35, socket/ pi=40;33, pipe]
별표로 시작되는 것은 파일 '확장자'의 약어(abbreviations)입니다. [예. *.wav=00;36, *.ra=00;36]

(pi=40;31)의 앞의 숫자 '40'은 검은색 텍스트 배경을 뜻하고, 앞의 숫자가 '00'일 경우 배경색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 뒤의 숫자(31)는 텍스트색을 표시하며 '31'의 경우 빨간색을 뜻합니다.
* 아래에 변경 가능한 색상의 숫자가 리스트되어 있습니다.

180508_cl_colors.jpg



자신이 원하는 색상으로 바꾸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LS_COLORS 커맨드를 통해 수정사항을 export 해야합니다.

$ export LS_COLORS='rs=0:di=01;34:ln=01;36:mh=00:pi=40;33:so=01;...


커맨드 라인의 색상표시를 비활성화 하고싶다면 unalias ls 커맨드를 통해 가능합니다.
더 많은 색상표시에 대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5.09 08:37

    출처 링크가 깨져있습니다. 

    https://www.networkworld.com/article/3269587/linux/customizing-your-text-colors-on-the-linux-command-line.html

    로 제대로 세팅해야할 것 같습니다.

  • profile
    PEACH 2018.05.09 19:17

    앗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5.10 08:39

    글을 쓰고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경험해 보니 링크 부분이 잘 못 링크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이런 부분을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공식적인 무엇인가를 대변하는 글에는 이런 부분이 중요하죠.

    늘 수고가 많으십니다. 힘내십시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5.09 08:39

    파일 관리를 하다 보면 파일 형식 별로 쉽게 구분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런 방법도 있군요.

    색상으로 명확하게 구분해 주니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매우 간단하지만 유용한 팁입니다.

  • profile
    PEACH 2018.05.09 19:20

    사실 저는 아직 텍스트가 빼곡한 검은색창이 조금 두렵습니다. ^^; 저렇게 많은 텍스트를 보며 제 PC에 뭔가를 해보는것도 시도해 보지 못하는 레벨이지만요! 나중에 그럴 수 있는 유저가 된다면 활용해 보고 싶어 공유했습니다. 

  • profile
    행복한펭귄 2018.05.10 08:42

    잘은 몰라도 윈도우와 맥OS 같은 친절한 GUI 환경에 매우 익숙하신 것 같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분들이 그렇습니다.

    DOS나 유닉스, 리눅스 CLI 환경을 아주 자세하게 접해 보지 않는 사람들은 검은 바탕 화면에 하얀 글씨만 보아도 현기증이 날 수도 있습니다. ㅋㅋ

    한마디로 친숙하지 않는다는 얘기죠.

    뭐든지 친숙해지고 자기 것으로 만들려면 생각보다 상당히 시간이 걸립니다.

    차분하게 진행하세요.

    그럼 수고해 주시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결제 - 우크라이나 file 1 Kevin 2023.12.17 4226
공지 리눅스에서 자기 노트북의 모델명이 무엇인지 궁금할때는 dmidecode file 1 Kevin 2023.12.17 403
공지 하드웨어 호환성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linux-hardware.org 를 사용해보세요 file 0 Kevin 2023.11.23 705
공지 하모니카 7.0 카카오톡 hidpi 설정하기 1 file 0 Kevin 2023.11.22 499
공지 리브레오피스에서 hwp 사용하기 4 file 0 타조 2023.10.11 1125
901 해외 IT News! 1 0 식혜고양이 2017.10.24 719
900 한컴오피스2022 한글 입력후 엔터키 누르면 줄이 안바뀌는 문제 정상 해결법 6 file 0 떠똘2 2021.04.26 5170
899 한컴오피스 뷰어 통합다운로드 개시 3 file 0 행복한펭귄 2016.08.12 5495
898 한컴 뷰어 도커 이미지 설치하기 1 0 storia 2020.09.01 701
897 한글을 편하게 입력 하는 방법 3 0 세벌 2014.12.06 7946
896 한글 입력기 uim-byeoru 패키지 없어짐 4 0 la_Nube 2018.04.27 2742
895 한글 무료 서체를 찾는다면? 12 0 식혜고양이 2018.03.08 772
894 하모니카에서 카카오톡 설치 5 0 말씀 2019.08.13 2419
893 하모니카에서 시나몬(cinnamon) 사용하기 4 file 0 legoboss 2016.02.29 4280
892 하모니카에서 리눅스 민트 17.2 라파엘라로 업그레이드 하기 file 0 bagjunggyu 2015.07.16 5098
891 하모니카에서 XFCE 사용하기 4 file 0 legoboss 2016.03.02 3634
890 하모니카에 Compiz 적용하기 4 file 0 bagjunggyu 2015.04.02 7504
889 하모니카로 아두이노 프로그래밍하기 5 0 seo 2016.06.10 3731
888 하모니카, 어떻게 쓰고 계시나요? 13 file 0 고스트 2016.02.26 6289
887 하모니카 진과 우분투 20.04 cpu 정보 정보 보는 프로그램 소개 cpu-x 2 file 0 떠똘2 2021.06.06 1091
886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만화를 보게해주는 소프트웨어 1 0 행복한펭귄 2016.01.15 3014
885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델파이 RAD 사용하기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1.18 4144
884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그래픽 작업을 고민하시는 분에게 도움되는 가이드 1 file 0 행복한펭귄 2016.02.26 3079
883 하모니카 리눅스를 활용하고 싶다면 Mint Guide 0 행복한펭귄 2016.03.24 2649
882 하모니카 리눅스 원격 데스크탑 접속하기 4 0 Kevin 2018.04.09 33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7 Next
/ 47
CLOSE